##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方}}}모 방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方, 0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4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7급 한자|{{{#000,#fff 준7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ホウ{{{#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かた, {{{#c88 かく, まさ-に}}}}}}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fāng{{{#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方-order.gif]]}}}|| || {{{#!wiki style="margin: -5px 0px" 획순}}} || [목차] [clearfix] == 개요 == '''모 방(方)'''. 모, [[네모]]라는 뜻부터 [[방위]], [[장소]],[[방법]], [[둘레]], [[바야흐로]], 본뜨다 등등 뜻이 굉장히 많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모 || || {{{-1 '''음'''}}} ||방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fāng || || {{{-1 '''[[광동어]]'''}}} ||fong^^1^^ || || {{{-1 '''[[객가어]]'''}}} ||fong || || {{{-1 '''[[민북어]]'''}}} ||hó̤ng[*文 [[문독]]] / bó̤ng[*白 [[백독]]] || || {{{-1 '''[[민동어]]'''}}} ||huŏng[*文] / bŭng[*白] || || {{{-1 '''[[민남어]]'''}}} ||hong[*文] / hng, png[*白] || || {{{-1 '''[[오어]]'''}}} ||faan (T1) || ||<-3> || ||<|2> '''[[일본어]]''' || {{{-1 '''음독'''}}} ||ホウ || || {{{-1 '''훈독'''}}} ||かた, {{{#c88 かく, まさ-に}}} || ||<-3> || ||<-2> '''[[베트남어]]''' ||phương || [[상형자]]로 양쪽에 손잡이가 달린 쟁기의 모양에서 따왔다. 두 사람이 가지고 갈기 때문에 좌우(左右), 한 줄로 늘어 놓다, 비교하다의 뜻이 생겼고 다시 방위, 방법 등 여러 가지 뜻으로 변하였다. 方(방)자의 기원(起源ㆍ起原)은 통나무 배 두 척을 나란히 한 모양이라고도 하며, 또 십자가에 못 박은[[예수|?]] 모양이라고도 일컬어 진다. == 자형 == ||[[파일:60px-方-oracle.svg.png]]||[[파일:60px-方-bronze.svg.png]]||[[파일:60px-方-seal.svg.png]]||[[파일:60px-方-bigseal.svg.png]]|| ||<:>갑골문||<:>금문||<:>소전체||<:>대전체|| == 용례 == === [[단어]] === * 각방(各方) * 공방(孔方/公方) * [[공방전(가전체)|공방전]](孔方傳) * [[근방]](近方) * 금방(今方/禁方) * [[남방]](南方) * [[노가다]](← 土方) * 다방면(多方面) * [[동방]](東方) * 동방예의지국(東方禮儀之國) * 등방(等方) * 방도(方到/方途/方道) * [[방면]](方面) * 다방면(多方面) * [[방법]](方法) * [[방석]](方席) * 방술(方術) * [[방식]](方式) * 방안(方案/方眼/方顔) * [[방언]](方言) * 방우(方隅) * [[방위]](方位) * 방전(方田) * 방정(方正/方程/方釘) * [[방정식]](方程式) * 방제(方劑) * [[방주]](方舟) * 방진(方陣) * [[마방진]](魔方陣) * 방책(方策) * 방촌(方寸) * 방칙(方則) * [[방침]](方枕/方針) * 방편(方便) * 임시방편(臨時方便) * [[방향]](方向) * [[방형]](方形) * [[정방형]](正方形), 평방형(平方形) * 변방(邊方) * 북방(北方) * [[상대방]](相對方) * [[서방]](西方) * 서방극락(西方極樂), 서방세계(西方世界), 서방십만억토(西方十萬億土), 서방안락국(西方安樂國) * 오방(五方/午方) * [[오방색]](五方色) * 일방(一方) * 일방적(一方的) * [[일방통행]](一方通行) * [[직사각형|장방형]](長方形) * 전방([[전방|前方]]/傳方) * [[최전방]](最前方) * [[정사각형|정방형]](正方形) * [[지방(지리)|지방]](地方) * [[지방자치]](地方自治) * 처방(處方) * [[처방전]](處方箋) * 하방(下方) * [[한방]](漢方/韓方) * 향방(向方) * 해방(亥方/海方) * 행방(行方) * [[행방불명]](行方不明) * [[후방]](後方) === [[고사성어]]/[[숙어]] === * [[사후약방문]]([[死]][[後]][[藥]]方[[文]]) * 시방세계([[十]]方[[世]][[界]]) * 천방지축([[天]]方[[地]][[軸]]) * [[팔방미인]]([[八]]方[[美]][[人]]) === [[인명]] === * [[김방경]]([[金]]方[[慶]]) * [[난포 쿄지]]([[南]]方 [[恭]][[次]]) * [[둥팡줘]]([[董]]方[[卓]]) * [[무라카타 노노카]]([[村]]方 [[乃]][[々]][[佳]]) * [[사도지마 호우지]]([[佐]][[渡]][[島]] 方[[治]]) * [[사방지]]([[舍]]方[[知]]) * [[소방지]]([[蕭]]方[[智]]) * [[여방]]([[呂]]方) * [[오가타 가게토시]]([[緒]]方 [[景]][[俊]]) * [[오보카타 하루코]]([[小]][[保]]方 [[晴]][[子]]) * 옹방강([[翁]]方[[綱]]) * [[요모 렌지]]([[四]]方 [[蓮]][[示]]) * [[이의방]]([[李]][[義]]方) * [[토프|토프 베이퐁]]([[北]]方 [[拓]][[芙]]) * [[히지카타 토시로]]([[土]]方 [[十]][[四]][[郎]]) ==== 성씨 ==== [include(틀:한국의 성씨 한자)] 15년 통계청 집계 기준 대한민국 인구 94,831명, 인구 순위 55위의 성씨로 주요 본관으로는 온양(溫陽), 군위(軍威), 경주(慶州), 남원(南原), 원영(原榮)이 있다. 자세한 사항은 [[방(성씨)]] 문서 참조. === [[지명#s-2]] === * [[내방역]]([[內]]方[[驛]]) * [[대방동(서울)|대방동]]([[大]]方[[洞]]): 서울의 행정구역 * [[방배동]](方[[背]][[洞]]) * [[대방역]]([[大]]方[[驛]]) * [[방배역]](方[[背]][[驛]]) * [[신대방동]]([[新]][[大]]方[[洞]]) * [[신대방삼거리역]]([[新]][[大]]方[[三]]거리[[驛]]) * [[신대방역]]([[新]][[大]]方[[驛]]) === [[창작물]] === * [[방법서설]](方[[法]][[敍]][[說]]) * [[수운잡방]]([[需]][[雲]][[雜]]方) * [[창진방촬요]]([[瘡]][[疹]]方[[撮]][[要]]) * [[永遠に幸せになる方法、見つけました。]]([[영원히 행복해지는 방법, 찾았습니다.]]) === 기타 === * '''나무위키의 관리 방침 명칭''' * [[문관방]]([[文]][[管]]方) * [[운관방]]([[運]][[管]]方) * [[이관방]]([[利]][[管]]方) * [[토관방]]([[討]][[管]]方) * [[지방충]]([[地]]方[[蟲]]) * [[打开INTO1的N种方式]]: 중국의 예능 == 부수 == [include(틀:강희자전 수록 부수)] 명칭: 모방부 [[강희자전]]의 70번째 부수로서 강희자전 안에 이 부수를 사용하는 자는 94자가 수록되었다. [[설문해자]]에서 별도 부수로 세운 [[㫃]](깃발 나부끼는 모양 언)을 方+人으로 분석해 方부에 병합했다. 따라서 方자가 부수로 쓰이는 글자들은 '방향'보다는 [[깃발]]과 관련된 의미를 지닌다. 그렇지 않은 한자는 [[旁]](곁 방), [[於]](어조사 어) 등밖에 없다.[* [[施]](베풀 시)도 方+㐌 형태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㫃+也 형태이다.] 하지만 於도 원래 [[烏]](까마귀 오)의 이체자로, 자형상 方이나 㫃과 관련이 없다. 결국 方과 관련이 있는 상용 한자는 旁뿐이다. 벽자까지 범위를 넓히면 斺(맺을 개)와 旀(하물며 며)도 포함된다. [[분류:준7급 한자]][[분류:제부수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