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other1=曹의 이체자이자 한국에서 쓰이는 한자,rd1=曺)]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曹}}}무리 조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曰|{{{#000,#fff 曰}}}]], 7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1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1급 한자|{{{#000,#fff 1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ソウ, {{{#c88 ゾウ}}}}}}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cáo{{{#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曹는 ''''무리 조''''로, '무리'를 뜻하는 한자며 중화권의 성씨로도 쓰인다. 한국의 [[창녕 조씨]]는 曹에서 한 획을 줄인 [[曺]]를 쓴다. * [[유니코드]]:66F9 * [[창힐수입법]]:TWA(廿田日) * [[강희자전]]:미수록 == 이체자 == * [[曺]] : 한국의 성씨 == 자원 == [[파일:曹(소전체).svg|width=100]] ||<:>출전||<:>원문||<:>해설|| ||[[설문해자]]||獄之兩曹也 在廷東 从㯥 治事者 从曰[* 가로 왈] 昨牢切||소송의 양조(원고와 피고)다. 법정 동쪽에 있으니 㯥을 따른다. 사건을 다스리니 曰(왈)을 따른다. [[반절]]은 昨牢다.|| == 용례 == === [[단어]] === * [[군조]](軍曹) * 법조([[法]]曹) * 법조계([[法]]曹[[界]]) * [[법조인]]([[法]]曹[[人]]) * [[육조]]([[六]]曹) * 육조판서([[六]]曹[[判]][[書]]) * [[조계종]](曹[[溪]][[宗]]) * [[중조]]([[重]]曹) === [[고사성어]]/[[숙어]] === === [[인명]]/[[지명]]/[[창작물]] === * 춘추시대의 [[조나라#s-2]] * 중국의 [[조(성씨)|조씨]] - 삼국지에서는 조조, 초한지에서는 조참이 대표적. * [[사나기 군조]]([[佐]][[奈]][[樹]] [[軍]]曹) * [[조어(상)|자조어]]([[子]]曹[[圉]]) * [[조계사]](曹[[溪]][[寺]]) * [[조계산]](曹[[溪]][[山]]) * [[조국장공주]](曹[[國]][[長]][[公]][[主]]) * 차오다위안(曹[[大]][[元]]) - 중국의 바둑 기사. == 유의자 == * [[群]](무리 군) * [[黨]](무리 당) * [[隊]](무리 대) * [[徒]](무리 도) * [[等]](무리 등) * [[類]](무리 류) * [[輩]](무리 배) * [[屬]](무리 속) * [[儕]](무리 제) * [[儔]](무리 주) * [[衆]](무리 중) * [[彙]](무리 휘) [[분류:1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