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5급 한자]][[분류:다음자/표준 중국어]][[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査}}}조사할 사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木|{{{#000,#fff 木}}}]], 5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9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5급 한자|{{{#000,#fff 5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サ{{{#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しら-べる}}}}}}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chá, zhā{{{#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査는 ''''조사할 사''''라는 [[한자]]로, '조사(調査)하다', '검사(檢査)하다', '살피다' 등을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조사하다 || || {{{-1 '''음'''}}} ||사 || ||<-3> || ||<|6>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chá || || {{{-1 '''[[광동어]]'''}}} ||caa^^4^^ || || {{{-1 '''[[객가어]]'''}}} ||chà || || {{{-1 '''[[민동어]]'''}}} ||că || || {{{-1 '''[[민남어]]'''}}} ||chhâ[*文 [[문독]]] / cha[*白 [[백독]]] || || {{{-1 '''[[오어]]'''}}} ||zo (T3) || ||<-3> || ||<|2> '''[[일본어]]''' || {{{-1 '''음독'''}}} ||サ || || {{{-1 '''훈독'''}}} ||- || ||<-3> || ||<-2> '''[[베트남어]]''' ||tra || [[유니코드]]에는 U+67FB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木月一(DBM)로 입력한다. [[木]](나무 목)과 [[且]](또 차)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원래는 '뗏목'을 뜻하는 한자로 [[槎]](떼 사), [[楂]](뗏목 사)와 같은 뜻이었으나, 지금은 주로 '조사하다'라는 뜻으로 쓰고 있다. [[강희자전]]에서는 且 대신 [[旦]](아침 단)이 쓰인 查[* 유니코드 U+67E5, 창힐수입법 DAM(木日一)]의 형태로 실려 있으며, 중화권에서는 이 이체자를 표준 자형으로 삼는다. == 용례 == === [[단어]] === * [[사돈]](査[[頓]]) * [[사정]](査[[定]]) * [[사찰]](査[[察]]) * 사출(査[[出]]) * [[감사]]([[監]]査) * [[감사원]]([[監]]査[[院]]), [[국정감사]]([[國]][[政]][[監]]査), [[회계감사]]([[會]][[計]][[監]]査) * [[검사]]([[檢]]査) * [[비파괴검사]]([[非]][[破]][[壞]][[檢]]査), [[시력검사]]([[視]][[力]][[檢]]査), [[신체검사]]([[身]][[體]][[檢]]査), [[청력검사]]([[聽]][[力]][[檢]]査), [[항공신체검사]]([[航]][[空]][[身]][[體]][[檢]]査) * [[고사]]([[考]]査) * [[모의고사]]([[模]][[擬]][[考]]査), [[본고사]]([[本]][[考]]査), [[중간고사]]([[中]][[間]][[考]]査) * [[내사]]([[內]]査) * [[수사(법률)|수사]]([[搜]]査) * [[수사기관]]([[搜]]査[[機]][[關]]) * [[실사]]([[實]]査) * [[조사]]([[調]]査) * 가계조사([[家]][[計]][[調]]査), 간접조사([[間]][[接]][[調]]査), [[국정조사]]([[國]][[政]][[調]]査), [[세무조사]]([[稅]][[務]][[調]]査), 시장조사([[市]][[場]][[調]]査), 실태조사([[實]][[態]][[調]]査), [[여론조사]]([[輿]][[論]][[調]]査), 재조사([[再]][[調]]査), 조사국([[調]]査[[局]]), 조사단([[調]]査[[團]]), 조사위원회([[調]]査[[委]][[員]][[會]]) * [[탐사]]([[探]]査)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렌사]]([[恋]]査) * [[사라쿠]](査[[楽]]) === [[지명#s-2]] === === [[창작물]] === * [[空想探査計画]]([[공상탐사계획]]) * [[嗜好に関する世論調査]] === 기타 === * [[산사춘]]([[山]]査[[春]]) * [[조사병단]]([[調]]査[[兵]][[団]]) == 유의자 ==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李]](오얏 리) * [[䯶]](다리꼭지 만) * [[宜]](마땅 의) * [[㚗]](큰 입 자) * [[苴]](암삼 저) * [[罝]](짐승그물 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