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槍}}}창 창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木|{{{#000,#fff 木}}}]], 10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4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1급 한자|{{{#000,#fff 1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ソウ}}}}}}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やり}}}}}}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qiāng{{{#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창 창(槍)'''. '창'이라는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창 || || {{{-1 '''음'''}}} ||창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qiāng || || {{{-1 '''[[광동어]]'''}}} ||coeng^^1^^ || || {{{-1 '''[[객가어]]'''}}} ||chhiông || || {{{-1 '''[[민북어]]'''}}} ||chióng || || {{{-1 '''[[민동어]]'''}}} ||chiŏng || || {{{-1 '''[[민남어]]'''}}} ||chhiuⁿ || || {{{-1 '''[[오어]]'''}}} ||qian (T1) || ||<-3> || ||<|2> '''[[일본어]]''' || {{{-1 '''음독'''}}} ||{{{#c88 ソウ}}} || || {{{-1 '''훈독'''}}} ||{{{#c88 やり}}} || ||<-3> || ||<-2> '''[[베트남어]]''' ||thương || [[유니코드]]에는 U+69CD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DOIR(木人戈口)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木]](나무 목) 자와 소리를 나타내는 [[倉]](곳집 창) 자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현대중국어에서는 이 한자가 '[[총]]'이라는 뜻을 가지며[* 사실 '총' 아니라 '현대식 총'을 의미한다], [[銃]](총 총) 자는 민남어 등 일부 방언을 제외하면 현대중국어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銃]](총 총)은 현대식 총이 아닌 화승총에만 쓰는 한자이기 때문이다. 矛가 창을 뜻한다. == 용례 == === [[단어]] === * '''[[창(무기)|창]]'''(槍) * [[삼지창]]([[三]][[枝]]槍) * [[창기병]](槍[[騎]][[兵]]) * [[창술]](槍[[術]]) * [[표창(무기)|표창]]([[鏢]]槍) === [[고사성어]]/[[숙어]] === * 창림탄우(槍[[林]][[彈]][[雨]]) * 천창만검([[千]]槍[[萬]][[劍]]) * 필마단창([[匹]][[馬]][[單]]槍) === [[인명]] === * [[천일창]]([[天]][[日]]槍) * [[후루야리 즈킨]]([[古]]槍 [[頭]][[巾]]) === [[지명#s-2]] === === [[창작물]] === * [[聖槍爆裂ボーイ]]([[성창폭렬 보이]]) == 유의자 == * [[鋅]](삼지창 결) * [[戈]](창 과) * [[戟]](창 극) * [[矛]](창 모) * [[鉈]](창 사)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牄]](먹는 소리 장) * [[鎗]](종소리 쟁) * [[𪙎]](덧니 창) * [[熗]](데칠 창) * [[獊]](두려울 창) * [[謒]](말 경하게 할 창) * [[𩝞]](먹을 창) * [[賶]](모을 창) * [[搶]](빼앗을 창) * [[䅮]](벼 이삭 창) * [[䱽]](병어 창) * [[艙]]/[[𤾙]](부두 창) * [[嵢]](산 형세 창) * [[𥏲]](상처 창) * [[𦞛]](상할 창) * [[𤚬]](소 이름 창) * [[䤌]](술 이름 창) * [[愴]](슬플 창) * [[瑲]](옥소리 창) * [[嗆]](쪼아 먹을 창) * [[螥]](집파리 창) * [[凔]](찰 창) * [[𥎄]](창 창) * [[傖]](천할 창) * [[蹌]](추창할 창) * [[滄]](큰바다 창) * [[𥻲]] * [[𦃹]] [[분류:1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