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櫻}}}앵두 앵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木|{{{#000,#fff 木}}}]], 17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21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1급 한자|{{{#000,#fff 1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オウ{{{#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さくら{{{#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yīng{{{#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櫻은 ''''앵두 앵''''이라는 [[한자]]로, '앵두나무', '벚나무' 등을 뜻한다. == 상세 == 뜻을 나타내는 [[木]](나무 목)과 음을 나타내는 [[嬰]](어린아이 영)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유니코드]]에는 6AFB로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木月金女(DBCV)로 입력한다. [[한국 한자음]]으로 '앵'으로 읽는 KS 상용한자는 櫻 외에 鶯([[꾀꼬리]] 앵), 鸚([[앵무새]] 앵), 罌(양병 앵)으로 그다지 많지 않다.[* 단국대에서 발간한 전문가용 한자사전 '한한대사전'에 따르면 한국 한자음으로 '앵'이라 읽는 글자는 한자 전체에서 총 33자에 불과하다.] 앵순(櫻筍)이라고 하면 앵두와 [[죽순]]을 아울러 일컫는 말로 쓰인다. 음력 3월 무렵에 앵두와 죽순이 중국 시장에 올라왔기 때문에 봄철의 상징으로 한 쌍처럼 통용되었다고 한다. 일본에서는 여성의 인명에 간혹 쓰인다. 보통 おう 또는 [[사쿠라|さくら]]로 읽으나, [[하루|はる]] 등으로도 읽는다. === [[이체자]] === 桜(유니코드 685C, 木부 6획, DFV(木火女) 樱(유니코드 6A31, 木부 11획, DBOV(木月人女) 桜은 櫻의 신자체로 [[일본]]에서 사용하고, 樱은 櫻의 간체자로 [[중국]]에서 사용한다. == 용례 == === [[단어]], [[고사성어]] === * 앵화(櫻[[花]]) * [[앵두]]: 제2음절의 '두'는 '호두'처럼 桃(도)가 변한 것으로 보인다. === 작품명 === * [[벚꽃정원의 에뜨와르]] (Audio drama CD 処女はお姉さまに恋してる -櫻の園のエトワール- ) * [[사쿠라 TV]] (日本文化チャンネル桜) * [[MXY-7 오카]] (MXY-7 桜花) * [[그것은 흩날리는 벚꽃처럼]] (それは舞い散る桜のように) * [[벚꽃의 비]] (桜ノ雨) * [[러키☆스타 료오학원 앵등제]] (らき☆すた~陵桜学園桜藤祭~) * [[박앵귀]] (薄桜鬼, 하쿠오키) * [[벚꽃사중주]] (夜桜四重奏 〜ヨザクラカルテット〜) * [[벚꽃의 희무녀]] (桜花の姫巫女) * [[벚꽃 지는 계절에 그대를 그리워하네]] (葉桜の季節に君を想うということ) * [[오란고교 호스트부]] (桜蘭高校ホスト部) * [[사쿠사쿠|사랑이 싹틀 무렵의 벚꽃철]] (恋がさくころ桜どき) * [[BEMANI]]시리즈의 수록곡 사쿠라([[桜(BEMANI 시리즈)|桜]]) * 最後の医者は桜を見上げて君を想う([[마지막 의사는 벚꽃을 바라보며 그대를 그리워한다]]) === [[단어]] === * [[사쿠라]](桜/櫻) * [[오우카]](桜花/桜華/櫻花/櫻華 등) * [[벚꽃의 비]](桜ノ雨) * [[시로자쿠라]](白桜) * [[오니가리노류오]](鬼狩柳桜) * [[천본앵]](千本桜) * [[홍앵]](紅桜, べにざくら) * [[앵룡]](桜竜) * [[앵화월]](桜華月) === [[인명]] === * [[사쿠라이]](桜井/櫻井) * [[우류 사쿠노]](瓜生 桜乃) * [[오사와 미미나]](桜沢 みみな) * [[오우세 유미코]](桜瀬 由美子) * [[오타 고사쿠]](桜多 吾作) * [[오우마 슈]](桜満 集) * [[오라나랍 여의]]: 본래 이름은 "청앵(青櫻)" * [[키타하라 미오]](北原 美桜) * [[키자쿠라 코이치]](黄桜 公一) * [[킨토키 사쿠라코]](金時 桜子) * [[코자쿠라 에츠코]](小桜 エツコ) * [[사쿠라가와 메구]](櫻川めぐ)[*구자체] * [[강백호(슬램덩크)]]: 일본명 사쿠라기 하나미치(桜木 花道) * [[사쿠라기 쿄코]](桜木 京子) * [[사쿠라기 마노]](櫻木真乃)[*구자체] * [[사쿠라기 마이]](桜木 舞) * [[사쿠라기 마츠리]](桜木 茉莉) * [[사쿠라기 유카리]](桜木 ゆかり) * [[사쿠라기 로쿠로타]](桜木 六郎太) * [[사쿠라코지 고토쿠]](桜小路 剛徳) * [[사쿠라코지 사쿠라코]](桜小路 桜子) * [[사쿠라코지 호타루]](桜小路 螢) * [[사쿠라코지 유키]](桜小路 ユキ) * [[사쿠라자카 하즈키]](桜坂 葉月) * [[사쿠라자와 이즈미]](桜沢 いづみ) * [[사쿠라다 준]](桜田 ジュン) * [[사쿠라다 준코]](桜田 淳子) * [[사쿠라지마 마이]](桜島 馬衣) * [[사쿠라다 노리]](桜田 のり) * [[사쿠라다 히로무]](桜田 ヒロム) * [[사쿠라다 마온]](桜田 麻音) * [[사쿠라즈카 세이시로]](桜塚 星史郎) * [[사쿠라노 크림]](桜野 くりむ) * [[사쿠라모리 카오리]](桜守 歌織) * [[사쿠라바 카오루]](桜庭 薫) * [[사쿠라바 카즈시]](桜庭 和志) * [[사쿠라바 하루미]](桜庭 晴海) * [[사쿠라바 히카루]](桜庭 ひかる) * [[사쿠라바 히로시]](桜庭 浩) * [[사쿠라바 유키]](桜庭 友紀) * [[사쿠라이 모모카]](櫻井 桃華)[*구자체] * [[사쿠라이 쇼]](櫻井 翔)[*구자체] * [[사쿠라이 타카히로]](櫻井 孝宏) * [[사쿠라우치 리코]](桜内 梨子) * [[사쿠라마이리 시라호]](桜参 白穂) * [[사쿠라미 쿄코]](桜身 鏡子) * [[사와타리 사쿠라코]](沢渡 桜子) * [[스기모토 사쿠라코]](杉本 桜子) * [[타카시나 나오]](高科 奈桜) * [[토노 사쿠라코]](冬野 桜子) * [[하자쿠라인 아야메]](葉桜院 あやめ) * [[하루카제 치하루]](春風 千桜) * [[마츠이 나오코]](松井 菜桜子) * [[미츠요시 요자쿠라]](光良 夜桜) * [[모리무라 사쿠야]](守村 桜弥) * [[야에 카오리]](八重 花桜梨) * [[야자쿠라 하즈키]](八桜 はづき) * [[MAKO]]: 본명 사쿠라이 마코(桜井 真子) * [[사쿠라가오카 고등학교]](桜が丘女子高等学校), [[사쿠라고 경음부]](桜高軽音部) * [[사쿠라다문밖의 변]](桜田門外の変) * [[오무로 사쿠라코]](大室 櫻子)[*구자체] * [[Paladins]] - [[잉]](樱)[* 櫻의 간체자이다.] * [[앵지]] === [[지명#s-2]] === * [[사쿠라이시]](桜[[井]][[市]]) * [[사쿠라시]](桜[[市]]) * [[사쿠라가와역]](桜[[川]][[駅]]) * [[사쿠라노미야역]](桜[[ノ]][[宮]][[駅]]) * [[사쿠라다몬역]](桜[[田]][[門]][[駅]]) * [[사쿠라미즈역]](桜[[水]][[駅]]) * [[사쿠라사와역]](桜[[沢]][[駅]]) * [[사쿠라신마치역]](桜[[新]][[町]][[駅]]) * [[사쿠라역]](桜[[駅]]) * [[사쿠라오카역]](桜[[岡]][[駅]]) * [[사쿠라이역]](桜[[井]][[駅]]) * [[사쿠라자와역]](桜[[沢]][[駅]]) * [[사쿠라자카역]](桜[[坂]][[駅]]) * [[사쿠라조스이역]](桜[[上]][[水]][[駅]]) * [[사쿠라지마역]](桜[[島]][[駅]]) * [[사쿠라카이도역]](桜[[街]][[道]][[駅]]) * [[사쿠라혼마치역]](桜[[本]][[町]][[駅]]) * [[세이세키사쿠라가오카역]]([[聖]][[蹟]]桜[[ヶ]][[丘]][[駅]]) * [[와카사역]]([[若]]桜[[駅]]) === 기타 === * [[사쿠라자카46|櫻坂46]] * [[そこ曲がったら、櫻坂?]] * [[峯岸みなみ卒業コンサート~桜の咲かない春はない~]]: [[미네기시 미나미]]의 졸업 콘서트 == 유의자 == * [[梒]](앵두 함)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𥌽]](광채없을 앵) * [[嚶]](꾀꼬리소리 앵) * [[𧮆]](성낼 앵) * [[𪈤]](앵무새 앵) * [[纓]](갓끈 영) * [[蠳]](거북이름 영) * [[巊]](산높은모양 영) * [[𤜉]](소이름 영) * [[孾]](어린아이 영) * [[瓔]](옥돌 영) * [[孆]](어릴 영) * [[䙬]](어울릴 영) * [[瀴]](질펀할 영) * [[𤣎]](짐승이름 영) * [[𥐑]](짧을 영) * [[攖]](찌를 영) * [[䑍]](혹 영) * [[𡓫]] * [[𢖠]] * [[𨰃]] * [[𩽢]] [[분류:1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