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歸}}}돌아갈 귀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止|{{{#000,#fff 止}}}]], 14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8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4급 한자|{{{#000,#fff 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제4획이 정자의 제12획과 다르게 ヨ 모양으로 좌우로 튀어나오지 않는다.]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キ{{{#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かえ-る, かえ-す, {{{#c88 おく-る, とつ-ぐ}}}}}}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guī{{{#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歸는 ''''돌아갈/돌아올 귀''''라는 [[한자]]로, '돌아가다', '돌아오다'를 뜻한다. == 상세 == ||[[파일:dolagalgwi2.jpg]]|| || 歸의 자형 || ||[[파일:dolagalgwi.gif]]|| || 歸의 획순 || [[阜]](언덕 부)의 윗부분, [[止]](그칠 지), [[帚]](비 추)로 이루어진 [[회의자]]다. 여기서 帚는 [[빗자루]]를 의미하고 보통 '멈추다'라는 뜻으로 쓰이는 止는 여기서는 발의 모습을 본뜬 모양의 글자로 '가다'를 의미한다. 옛날에 남자는 장가를 들고 여자는 시집을 갔다. 이 때 남자는 신부의 집에서 3년 동안 딸을 준 것에 대한 보답을 해야 했다. 이 때 신부는 3년 동안 부모님의 품에서 살다가 3년이 지나면 신랑의 집으로 가야 했다. 따라서 歸의 전체적인 의미는 신부의 주된 역할이 빗자루(帚)를 들고서 가는(止) 것인데, 시집을 간 신부는 좀처럼 다시 부모님 품으로 돌아갈 수 없어 시댁의 풍토에 적응하기 위한 방편으로 신부의 집의 흙(阜[* 阜는 흙으로 되어 있는 언덕을 나타낸다.]의 상단)을 가져가서 물에 타서 마시는 풍속이 있었다고 한다. 이러한 결혼 풍속 때문에 歸는 '돌아가다', '시집 가다', '돌려보내다' 등의 뜻을 가지게 되었다. [[유니코드]]에는 U+6B78에 배정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竹一尸一月(HMSMB)로 입력한다. [[간체자]]와 [[신자체]] 외에 [[약자(한자)|약자]]로 皈(U+7688)이나 敀(U+6540)가 있다. 특히 敀는 한국에서만 사용되는 약자다. == 용례 == === [[단어]] === * 귀가(歸[[家]]) * 귀결(歸[[結]]) * 귀경(歸[[京]]) * 귀국(歸[[國]]) * [[귀국보증제도]](歸[[國]][[保]][[證]][[制]][[度]]) * [[귀국학생]](歸[[國]][[學]][[生]]) * 귀로(歸[[路]]) * 귀루(歸[[壘]]) * 귀부(歸[[附]]) * 귀성(歸[[省]]) * 귀소(歸[[巢]]) * [[귀소본능]](歸[[巢]][[本]][[能]]) * 귀소성(歸[[巢]][[性]]) * 귀의(歸[[依]]): 원래는 불교용어지만, 의미가 커져서 종교의 가르침을 믿고 따른다는 뜻으로도 쓰인다. * 귀향(歸[[鄕]]) * 귀환(歸[[還]]) * 재귀([[再]]歸) * [[재귀대명사]]([[再]]歸[[代]][[名]][[詞]]) * 재귀적([[再]]歸[[的]]) * [[재귀함수]]([[再]]歸[[函]][[數]]) * [[재귀호출]]([[再]]歸[[呼]][[出]]) * 복귀([[復]]歸) * [[불여귀]]([[不]][[如]]歸) * [[회귀]]([[回]]歸) * [[회귀모형]]([[回]]歸[[模]][[型]]/[[回]]歸[[模]][[形]]) * [[회귀분석]]([[回]]歸[[分]][[析]]) * 회귀선([[回]]歸[[線]]) * 회귀성([[回]]歸[[性]]) === [[고사성어]]/[[숙어]] === * 사필귀정([[事]][[必]]歸[[正]]) * 시사여귀([[視]][[死]][[如]]歸) * 의금귀향([[衣]][[錦]]歸[[鄕]]) - [[금의환향]]과 같은 뜻이다. === [[인명]] === === [[지명#s-2]] === * [[서귀포시]]([[西]]歸[[浦]][[市]]) === [[창작물]] === * [[회귀수선전(回歸修仙傳)]] * [[歸鄕]]: [[김동률]]의 앨범 * [[帰り道]] * [[帰り道は遠回りしたくなる]] * [[帰結する共犯者]] * [[きみに回帰線]] == 유의자 == * [[反]](돌아올 반) * [[返]](돌아올 반) * [[復]](다시 부/돌아올 복/회복할 복) * [[還]](돌아올 환) * [[回]](돌아올 회)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婦]](며느리 부) * [[師]](스승 사) * [[掃]](쓸 소) == 여담 == * 2002년 [[올해의 한자]]로 선정되었다.[[https://www.kanken.or.jp/project/edification/years_kanji/2002.html|#]] [[올해의 한자#2002년]] 참고. [[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4급 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