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永}}}길 영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水|{{{#000,#fff 水}}}]], 1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5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6급 한자|{{{#000,#fff 6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エイ, {{{#c88 ヨウ}}}}}}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なが-い, {{{#c88 とこしえ}}}}}}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yǒng{{{#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길 영(永). 길다([[長]])는 뜻이다. 주로 무한히 긴 [[시간]]을 나타내는 데 쓰인다. 사람이 물을 헤엄치는 모습을 본뜬 [[상형자]]이다. 때문에 처음에는 '헤엄치다'라는 뜻이었으나, '길다'로 [[가차]]되었다. 그래서 본래 뜻인 '헤엄치다'라는 뜻을 나타내기 위하여 永 옆에 [[삼수변]]을 붙여 [[泳]](헤엄칠 영)이 만들어졌다. 과거 평균 수명이 짧았던 시절에는 아이가 오래 살기를 바라는 뜻에서 이 글자를 많이 넣었다. 1940년대에 [[출생신고]]된 사람들(특히 할아버지)의 이름 중 영수, 영호, 영식, 영철, 영준, 영훈, 영석, 영환, 영원, 영빈, 영길, 영근 등의 이름이 많이 보이는 이유. 그런데 어감이 썩 나쁘지는 않아서 그 이후 세대나 여자들도 영 자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는 편이다. 대표적인 경우가 축구선수 [[박주영]]. [[일본]]에서 [[연호/일본|연호]]에 가장 많이 쓰인 한자이다. 가장 최근에 이 한자가 연호에 쓰인 것은 1848년부터 1854년까지 쓰였던 연호인 [[가에이|카에이(嘉永)]]였다. == 용례 == === [[단어]] === * [[영겁]](永劫) * [[영구]](永久) * [[영구기관]](永久機關) * [[영구기체]](永久氣體) * 영구동토(永久凍土) * 영구성(永久性) * 영구자석(永久磁石) * 영구적(永久的) * [[영구치]](永久齒) * 영구화(永久花) * 영년(永年) * [[영락]](永樂) * [[영면]](永眠) - TVA 마법천자문 시즌1 26화에서 삼장이 외친 마법이다. ~~죽을 사 대신 영면을 써서 어린이들이 눈치 못하게 하는 잔인한 만화~~ * 영별(永別) * [[영생]](永生) * 영속(永續) * 영속성(永續性) * [[영원]](永遠) * [[영자팔법]](永字八法) * [[영주]](永住) * [[영주권]](永住權) * [[영원|영항]](永恒) - 영원과 같은 뜻. 중국에선 영원보다 이쪽이 더 많이 쓰인다. * [[청구영언]](靑丘永言) === [[고사성어]]/[[숙어]] === * 영수길소(永綏吉邵) * 영원무궁(永遠無窮) * 일로영일(一勞永逸) === [[인명]] === * [[강영식]](姜永植) * [[Young K|강영현]](姜永晛) * [[고영민]](高永民) * [[고영욱]](高永旭) * [[고영표]](高永表) * [[권영호(야구선수)|권영호]](權永浩) * [[김관영]](金寬永) * [[김영광(축구선수)|김영광]](金永光) * [[김영덕]](金永德) * [[김영대(배우)|김영대]](金永大) * [[김영무]](金永珷) * [[강지섭|김영섭]](金永燮) * [[김영옥(군인)|김영옥]](金永玉) * [[김영인]](金永寅) * [[김영진(성우)|김영진]](金永振) * [[김영직]](金永稷) * [[김영철(배우)|김영철]](金永哲) * [[각별(인터넷 방송인)|김일영]](金一永) * [[김재영(배우)|김재영]](金宰永) * [[김필영]]([[金]][[畢]]永) * [[나가세 렌]](永瀬廉) * [[나가이 고]](永井豪) * [[류영수]](柳永洙) * [[박영길]](朴永吉) * [[박영진]](朴永振) * [[박주영]](朴主永) * [[박진영]](朴軫永) * [[박헌영]](朴憲永) * [[서영은(Kep1er)|서영은]](徐永恩) * [[설영(수호전)|설영]]([[薛]]永) * [[영제이|성영재]](成永在) * [[송영길]](宋永吉) * [[쉬융웨]]([[许]]永[[跃]]) * [[안영명]](安永命) * [[오영국]](吳永國) * [[유영(피겨 스케이팅)]](劉永) * [[유영경]](柳永慶) * [[유영철]](柳永哲) * [[유영혁]](劉永赫) * [[이기영(배우)|이기영]](李基永) * [[이범영]](李範永) * [[이영민(1973)|이영민]](李永敏) * [[이영수(야구)|이영수]](李永守) * [[이영욱(투수)|이영욱]](李永旭) * [[이휘재|이영재]](李永宰) * [[이재영(야구선수)|이재영]](李在永) * [[저우융캉]]([[周]]永[[康]]) * [[전영록]](全永祿) * [[정영규]](鄭永圭) * [[정영기]](鄭永基) * [[정영숙]](鄭永琡) * [[진영(배우)|정진영]](鄭振永) * [[진영(정치인)|진영]](陳永) * [[태영호]](太永浩) * [[홍영표]](洪永杓) * [[허영생]](許永生) * [[나가오카 레오]](永[[岡]][[蓮]][[王]]) === [[지명#s-2]] === * 경상북도 [[영천시]](永川市)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永登浦區) * [[영평군#s-2]](永平郡) * 경기도 포천시 영중면 *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 * 충청북도 [[영동군]](永同郡) * [[영등포역]] * [[영등포구청역]] * [[영등포시장역]] * [[카미나가야역]]([[上]]永[[谷]][[駅]]) === [[창작물]] === * [[永恒之光]] * [[永遠]] * [[永遠という名の媚薬]] * [[永遠なる四銃士]] * [[永遠にゲームで対戦したいキリタン]]([[영원히 게임에서 대전하고 싶은 키리탄]]) * [[永遠に幸せになる方法、見つけました。]]([[영원히 행복해지는 방법, 찾았습니다.]]) * [[永遠に続く道]] * [[永遠の7日-終わりなき始まり]] * [[永遠の不在証明]] * [[永遠の花]]([[영원의 꽃]]) * [[永遠の銀]] * [[永遠(박용하)]] === 기타 === * [[영원히 고통받는|영고]](永[[苦]]) * [[영구 정지|영정]](永[[停]]) == 유의자 == * [[久]](오랠 구) * [[長]](길 장)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氷]](얼음 빙) * [[水]](물 수) == 여담 == [[영자팔법]](永字八法)이라고 해서 永 한 글자로 한자의 여덟 가지 획의 모양을 연습하는 방법이 있다. [[분류:6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