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 -5px; font-size: 40px" 灣}}}물굽이 만 || ||<-2> {{{#!wiki style="margin: -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水|{{{#000,#fff 水}}}]], 22획}}} ||<-2> {{{#!wiki style="margin: -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25획}}} || ||<-2> {{{#!wiki style="margin: -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 -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 -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 -2px" {{{#000,#fff 2급}}}}}}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 -2px" ワン{{{#c88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 -2px" {{{#c88 いりえ}}}}}}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 -2px" wān{{{#c88 }}}}}} || ||<-8> {{{#!wiki style="margin: -2px; font-size: 10px; text-align: 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灣은 ''''물굽이 만''''이라는 [[한자]]로, '물굽이'를 뜻한다. == 상세 == 겸성회의자로, 굽을 만([[彎]])과 물 수([[水]])를 합쳐 물이 굽이치는 지형을 뜻함과 함께 음은 彎에서 따온 글자다. [[유니코드]]에는 U+7063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EVFN(水女火弓)으로 입력한다. == 음의 와전 == * [[속음]] 문서도 참고. '대만 = 타이완'에서와 같이 본래라면 이 글자는 '완'으로 읽어야 하는 글자이다. [[강희자전]]에서는 '烏關切('''ㆆ'''ㅗ+ㄱ'''ᅟᅪᆫ''')'로 설명하고 있는데, 이는 한자 음운학상으로 影聲山攝刪韻二等에 해당하며, 상고음-현대음에 이르기까지, 그 음가는 /wan/으로 '''완'''이었다. [[일본어]]에서도 마찬가지로 '완'으로 읽힌다. 그런데 한국어에서만은 이 한자의 음이 '만'으로 고정되었다. 이는 한자음의 변천 가운데 '무지에 의한 와음'에 해당하는데, [[蠻]](만)에서 그 음을 무리하게 유추한 것이다. 蠻이야 '만'으로 읽는 게 맞지만, 이 한자에서 '虫(훼)'가 빠진 '䜌'은 '란(←롼)'으로 읽어야 맞는다.[* 예를 들어 '단란(團欒)하다.' 등 표현에 이 글자가 들어간다.] 그런데 이게 잘 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彎, 巒과 같이 䜌(란←롼)이 들어간 한자를 䜌(란←롼)이 아니라 蠻(만)을 따라 '만'으로 읽는 것으로 착각하였다. 이후 글자에 彎이 들어간 灣 역시 '만'으로 읽게 되었고, 나중에는 반절이 오관절烏關切('''ㆆ'''ㅗ+ㄱ'''ᅟᅪᆫ''')인 모든 한자들이 '만'이 되었다. 그래서 많은 옥편들이 灣의 원음은 '완'이라고 달아놓는다. == 용례 == === [[단어]] === * 만안(灣[[岸]]) * [[항만]]([[港]]灣) * [[걸프 전쟁|페르시아만 전쟁]](페르시아灣 戰爭)[* 한국에서의 통칭은 '걸프 전쟁'이다.][* 북한에서는 '페르샤만전쟁(Persia灣戰爭)', 중화권에서는 '해만전쟁([ruby(海灣戰爭,ruby=hǎiwān zhànzhēng)])', 일본에서는 '만안전쟁([ruby(灣,ruby=わん)][ruby(岸,ruby=がん)][ruby(戰,ruby=せん)][ruby(爭,ruby=そう)], ''완간센소ー'')'이라고 한다.]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손만]]([[손완]]) - 손휴의 장남. 비 우(雨) 머리에 홑 단(單)이 들어간 형태의 글자를 쓰며, 문헌에는 灣과 통자(通字) 관계라고 전해지므로 여기에 쓴다. * [[완나이 키누호]](湾[[内]] [[絹]][[保]]) === [[지명#s-2]] === * [[대만]]([[臺]]灣/[[台]]灣) * [[완차이역|완차이]](灣[[仔]]) * 기타 여러 지명에서 육지로 둘러싸인 바다를 뜻하는 뒤 어근으로 들어간다. 경기만, 영일만 등. === [[창작물]] === * [[완간 미드나이트]] * [[완간서]] === 기타 === * [[친대만]]([[親]][[台]]灣) * [[台灣大哥大]] == 이체자 == * 𡿞^^[⿰山彎]^^(U+21FDE) == 유의자 == * [[乪]](물굽이 낭) * [[𤅷]](물굽이 령) * [[汭]](물굽이 예) * [[澳]]/[[隩]](물굽이 오) * [[𨸰]]^^[⿰⻖尻]^^(물굽이 외) * [[𡵿]]^^[⿰山幻]^^(물굽이 유) * [[㳁]]/[[汄]](물굽이 측)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𨈊]]^^[⿰𧾷彎]^^(구부릴 만) * [[𣡩]]^^[⿰木彎]^^(굽은나무 만) * [[𡿞]]^^[⿰山彎]^^/[[𢺯]]^^[⿰扌彎]^^(물굽이 만) * [[䘎]](벌레이름 만) * [[壪]](조그만평지 만) * [[𡤶]]^^[⿰女彎]^^ * [[𬣗]]^^[⿰言彎]^^ * [[𱇋]]^^[⿰魚彎]^^ [[분류:2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