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1급 한자]][[분류:다음자/표준 중국어]]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죽일 살 한자, rd1=殺)]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煞}}}감할/빠를 쇄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火|{{{#000,#fff 火}}}]], 9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3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1급 한자|{{{#000,#fff 1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サツ}}}}}}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shā, shà{{{#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매우/빠를 쇄. 어조사 및 감하다 등의 뜻을 가지고 있는 한자이다. 죽이다라는 뜻은 [[殺]] 참조. == 세부 정보 == [[灬]](연화발)이 부수이고 총 획수가 13획인 1급 한자이다. 사실 [[殺]](살)과 같은 글자이며 火(灬 불화) + 及(急의 생략형) + 攴(攵 칠복)으로 이루어져 불같이 급하게 친다는 [[회의자]]로, 이를 바탕으로 '''빠르다'''라는 뜻이 되었다. 사람을 해치는 악령을 뜻하는 의미로도 쓰였는데, 여기서 파생하여 사람에게 안 좋은 영향을 끼치는 액운이나 운명이란 뜻으로도 쓰였다. 흔히 말하는 [[역마살]](驛馬煞)이란 단어에서 '살'이 이런 뜻으로 쓰였다. 현대 한국어에서는 '죽이다'는 殺, '흉한 기운'은 煞로 완전하게 구분하여 사용한다. 예컨대 毒殺은 독약으로 죽이는 것을, 毒煞은 모질고 독한 기운을 뜻한다. [[표준국어대사전]]에 煞이 포함된 단어는 모두 액운의 뜻만 갖고 있다. [[유니코드]]에는 U+715E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弓大火(NKF)로 입력한다. == 용례 == === [[단어]] === * [[상쇄]]([[相]]煞) * 감쇄([[減]]煞) * 경쇄([[驚]]煞) * [[뇌쇄]]([[惱]]煞) * 뇌쇄적([[惱]]煞[[的]]) * 망쇄([[忙]]煞) * 매쇄([[魅]]煞) * 쇄도(煞[[到]]) * 수쇄([[愁]]煞) * 연쇄([[憐]]煞) == 유의자 == * [[适]](빠를 괄) * [[急]](급할 급) * [[敏]](민첩할 민) * [[速]](빠를 속) * [[迅]](빠를 신) * [[捷]](빠를 첩) * [[剽]](빠를 표) == 상대자 == * [[徐]](천천할 서) * [[緩]](느릴 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