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wiki style="margin: -5px; font-size: 40px" 燚}}}불 모양 역 || ||<-2> {{{#!wiki style="margin: -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火|{{{#000,#fff 火}}}]], 12획}}} ||<-2> {{{#!wiki style="margin: -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16획}}} || ||<-2> {{{#!wiki style="margin: -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 -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 -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 -2px" {{{#000,#fff 미배정}}}}}}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 -2px" {{{#c88 イチ, イツ}}}}}}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 -2px" -{{{#c88 }}}}}}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 -2px" {{{#c88 yì}}}}}} || ||<-8> {{{#!wiki style="margin: -2px; font-size: 10px; text-align: 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燚은 ''''불 모양 역''''이라는 [[한자]]로, 불의 모양[* '크다', '작다'처럼 품사가 형용사라는 의미이다. 한국어를 그대로 해석해서 어떤 모양을 뜻하는 명사로 오해하지 않도록 주의하자.]을 나타낸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71DA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FFFF(火火火火)로 입력한다. 이 글자에 대한 과거 자전의 설명은 《[[오음편해]](五音篇海)》의 "以日切,音亦。火貌。"가 전부이다. 한국의 여러옥편에 실려 있는 '일' 음은 반절법(反切法) 기록("以日切")을 따른 것이고,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의 한한대사전에 실려 있는 '역' 음은 직음법(直音法) 기록("音亦")을 따른 것인데, 해당 운서 기록은 단 하나의 음가를 두 가지 방법으로 기록한 것이고, 반절법(反切法) 기록("以日切")에서 운모(韻母)를 나타내는 반절하자 '日' 자에는 '역'의 음이 존재함이 강희자전상에서 확인되므로[* 《집운(集韻)》에 而力切,音眲。이라 하여 '역' 음이 보인다. 반대로 '亦' 자에서는 '일' 음을 찾을 수 없다. 운서에서 이렇게 한 가지 음을 두 가지 다른 방법으로 기록하는 이유는 이처럼 비교를 통해 올바른 음을 찾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국의 여러 옥편의 '일' 음은 명백한 오류이다.[* 이는 《일선》 등 근대 한국 한자 자전들의 오류를 그대로 답습한 것으로, 일본의 한자 사전인 《대한화사전(大漢和辭典)》에서도 같은 오류가 보인다.] 글자의 훈이 '불의 모양(火貌)'이지만, 한자에서 '~ 모양'의 훈을 가지는 글자들은 어떤 특정한 상황의 모양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 글자 또한 불의 특정한 모양을 가리킬 텐데 구체적으로 불의 어떤 모양을 가리키는지는 기록이 없어 알 수 없다. [[火]](불 화)가 네 개 있는 한자이다. [[炎]](불꽃 염), [[炏]](불꽃 개), [[㷋]](불꽃 염), [[焱]](불꽃 혁, 불꽃 염)의 업그레이드 버전. 비슷한 걸로 [[水]](물 수), 沝(두 갈래 강 추), 㴇(건널 섭), 淼(물 아득할 묘), [[㵘]](큰물 만)이 있다. 더 막장으로는 [[龍]](용 룡), [[龖]](나는 용 답), [[龘]](용이 가는 모양 답), [[𪚥]](말 많을 절)도 있다. 일상 용어에 쓰인 용례는 없지만 현대에 와서는 간혹 인명이나 기타 고유명사에서 쓰인다. == 용례 == === [[단어]] ===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田燚(톈이) - 중국 오디션 프로그램 明日之子 시즌2 출신 가수. === [[지명#s-2]] === === 기타 === * 大龙燚(다롱이) - 중국의 [[훠궈]] 체인점([[http://www.dalongyi.com/|#]]) [[분류:같은 한자를 네 개 합친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급수 미배정 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