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爻}}}사귈/가로그을 효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爻, 0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4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1급 한자|{{{#000,#fff 1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コウ}}}}}}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まじ-わる}}}}}}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yáo{{{#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爻는 ''''사귈/가로그을 효''''로, '[[팔괘]]를 구성하는 기호'를 의미하는 [[한자]]다. == 상세 == 글자의 자원은 學의 본자로 고대 건축에서 지붕 위의 양끝에 X자 형으로 교차시킨 길다란 목재를 본뜬 [[상형자]]라는 견해와 교차하는 표식인 X를 두번 겹쳐 십자로 교차하다라는 뜻의 나타내는 [[지사자]]라는 견해가 있다. [[유니코드]]는 U+723B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KK(大大)로 입력한다. 또한 다음 정보도 참고하자. >Q: 수효(數爻)에서 '효'가 어떤 뜻으로 쓰여서 수가 되었나요? > >A: "爻"는 "역(易)의 괘(卦)를 나타내는 가로 그은 획. ‘-’을 양(陽)으로 하고 ‘--’을 음(陰)으로 하며 밑에서부터 세어 초효(初爻), 이효(二爻)라고 하고, 맨 위 여섯 번째의 것을 상효(上爻)<표준국어대사전>"라고 합니다. 이 효는 기본적으로 8괘를 이루고, 각각의 괘는 천지 사물의 형상과 성질을 상징하며, 이 괘들이 서로 조합하여 16괘, 32괘 등으로 복잡하게 얽히면서 사물의 변화와 세상의 이치에 대응하게 됩니다. 즉 효는 사물의 성질과 변화를 爻의 조합, 즉 數의 개념에 대응시킨 것이라 할 수 있기에, 爻가 사물에 대응하는 숫자의 의미로 쓰이게 된 것이라 보시면 되겠습니다. >---- >{{{-2 [[https://www.hanja.re.kr/|사단법인한국어문회]] > 학술연구 > 국어상담실 > 한자상담 > 10173(수효), 2018-05-06}}} == 용례 == === [[단어]] === * 괘효([[卦]]爻) * 수효([[數]]爻) * 효상(爻[[象]]) === [[인명]] === * [[마시로 메메]](ましろ 爻)[* 爻가 メ(메)를 두 개 합친 듯한 형태라는 점에 착안한 독법.] == 자형 == ||<:>[[파일:爻-oracle.svg.png]]||<:>[[파일:爻-bronze.svg.png]]||<:>[[파일:爻-bigseal.svg.png]]||<:>[[파일:爻-seal.svg.png]]|| ||<:>갑골문||<:>금문||<:>대전체||<:>소전체|| == 부수 == [include(틀:강희자전 수록 부수)] 명칭: 점괘효부 강희자전 안에 89번째에 수록된 부수로 강희자전안에 16자가 수록되었다.(49,030자 중) === 부수 예 === ||추가 획||한자|| ||기본자||爻|| ||7획||[[爽]]|| ||10획||[[爾]]|| === 나라별 부수명칭 === * 한국 : 점괘효부 * 중국: [ruby(爻部, ruby=yáobù)] * 일본 : こう * 미국 : Radical double x == 유의자 == * [[交]](사귈 교) * [[畃]](사귈 순)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父]](아비 부) [[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1급 한자]][[분류:제부수 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