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준7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物}}}물건 물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牛|{{{#000,#fff 牛}}}]], 4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8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7급 한자|{{{#000,#fff 준7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ブツ, モツ{{{#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もの{{{#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wù{{{#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物은 ''''물건 물''''이라는 [[한자]]로, '물건(物件)', '만물(萬物)', '것' 등의 뜻을 나타낸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물건 || || {{{-1 '''음'''}}} ||물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wù || || {{{-1 '''[[광동어]]'''}}} ||mat^^6^^ || || {{{-1 '''[[객가어]]'''}}} ||vu̍t || || {{{-1 '''[[민북어]]'''}}} ||ŏ[*文 [[문독]]] / mi̿[*白 [[백독]]] || || {{{-1 '''[[민동어]]'''}}} ||ŭk || || {{{-1 '''[[민남어]]'''}}} ||bu̍t[*文] / mi̍h[*장저우 [[백독]], 장저우 등], [br]mn̍gh[*취안저우 [[백독]], 취안저우 등], mih[*일부 [[백독]], 物仔 등의 일부 단어에서] || || {{{-1 '''[[오어]]'''}}} ||veq (T5) || ||<-3> || ||<|2> '''[[일본어]]''' || {{{-1 '''음독'''}}} ||ブツ, モツ || || {{{-1 '''훈독'''}}} ||もの || ||<-3> || ||<-2> '''[[베트남어]]''' ||vật || [[유니코드]]는 U+7269에 배당되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竹手心竹竹(HQPHH)으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牛]](소 우)와 소리를 나타내는 [[勿]](말 물)이 합쳐진 [[형성자]]'라고 설명하면 편하긴 한데, 사실 자원(字源)이 좀 복잡한 글자이다.[* 이하 『甲骨文字典』(徐中舒), 「字符 勿의 字源 考」(韓延錫, 2016) 등을 참고하면 좋다.] [[갑골문]]상에서 이 글자는 勿 단독으로도 쓰이고, 그 주변에 牛가 붙어 있는 형태도 왕왕 볼 수 있다. [[파일:물먹고싶다.png|width=200]] 그런데 物 자의 갑골문에 해당하는 勿(이하 편의상 勿A)과 勿의 갑골문(이하 勿B)은 자형이 묘하게 다르다. 勿A는 ㅋ을 상하반전시킨 형태([[刀]](칼 도)의 갑골문과 흡사)에 점이 몇 개 찍혀 있는 자형을 가지고([[利]](이로울 리)의 오른쪽과 동일), 勿B는 위에 뭔가 삐죽 튀어나온 구불구불한 선([[尸]] 자의 갑골문과 흡사)에 점이 몇 개 찍혀 있는 자형을 가진다. 이 둘은 갑골문 상에서는 구별되다가 [[금문]]에서는 勿A의 형태가 勿B의 의미(즉 부정, negation의 의미)로도 쓰이며, [[전서|소전]]에 이르면 둘의 자형이 완전히 통합된다. 勿A가 무엇을 본뜬 것인지에 대해서는 보통 두 가지 설이 있는데, 첫 번째는 刀와 마찬가지로 칼의 모습을 본뜬 것이라는 설이고, 두 번째는 쟁기로 흙을 갈아엎는 모습을 본뜬 것이라는 설이다. 따라서 첫 번째 설을 적용하면 物은 소를 도살하는 모습을 본뜬 것이고, 두 번째 설을 적용하면 物은 소를 이용하여 쟁기로 흙을 갈아엎는 모습을 본뜬 것이 된다. 갑골문 시대에 物은 주로 '物牛'의 형태로 쓰여 '잡색(雜色)', 혹은 '잡색의 소'를 뜻하는 글자였다. 혹은 상고시대에 '物地'나 '物土'처럼 '땅의 색깔을 살피다'라는 뜻으로 쓰이기도 했다. 그러나 현재는 주로 '물건', '만물'이라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현재 '살피다'라는 의미가 남아 있는 단어로는 '물색(物色)'이라는 단어가 꼽힌다. == 용례 == === [[단어]] === ==== -물 부류 ==== * [[건물]]([[建]]物) * [[건물주]]([[建]]物[[主]]) * [[건어물]]([[乾]][[魚]]物) * [[고물]]([[古]]物/[[故]]物) * [[고물상]]([[古]]物[[商]]) * [[곡물]]([[穀]]物) * 공물([[貢]]物) * [[광물]]([[鑛]]物) * [[괴물]]([[怪]]物) * [[노폐물]]([[老]][[廢]]物) * [[뇌물]]([[賂]]物) * [[대물]]([[大]]物/[[對]]物) * [[독극물]]([[毒]][[劇]]物) * [[동물]]([[動]]物) * [[동물원]]([[動]]物[[園]]) * [[동물학]]([[動]]物[[學]]) * [[척추동물]]([[脊]][[椎]][[動]]物) * [[무척추동물]]([[無]][[脊]][[椎]][[動]]物) * [[애완동물]]([[愛]][[玩]][[動]]物) * [[박물관]]([[博]]物[[館]]) * [[보물]]([[寶]]物) * [[사물]]([[事]]物/[[四]]物/[[私]]物) * [[사물함]]([[私]]物[[函]]) * [[산화물]]([[酸]][[化]]物) * [[생물]]([[生]]物) * [[고생물]]([[古]][[生]]物) * [[무생물]]([[無]][[生]]物) * [[미생물]]([[微]][[生]]物) * [[생물체]]([[生]]物[[體]]) * [[생물학]]([[生]]物[[學]]) * [[생물학자]]([[生]]物[[學]][[者]]) * [[선물]]([[膳]]物/[[先]]物) * [[성유물]]([[聖]][[遺]]物) * [[소결탄화물]]([[燒]][[結]][[炭]][[化]]物) * [[속물]]([[俗]]物) * [[식물]]([[植]]物) * [[식물원]]([[植]]物[[園]]) * [[식물인간]]([[植]]物[[人]][[間]]) * [[식물학]]([[植]]物[[學]]) * [[오물]]([[汚]]物) * [[유물]]([[遺]]物/[[唯]]物) * [[유물론]]([[唯]]物[[論]]) * [[음란물]]([[淫]][[亂]]物) * [[이물질]]([[異]]物[[質]]) * [[인물]]([[人]]物) * [[등장인물]]([[登]][[場]][[人]]物) * [[장물]]([[贓]]物) * [[제물]]([[祭]]物) * [[조물주]]([[造]]物[[主]]) * [[주물]]([[鑄]]物) * [[화물]]([[貨]]物) * 경화물([[輕]][[貨]]物) * 대화물([[大]][[貨]]物) * 보세화물([[保]][[稅]][[貨]]物) * 산적화물([[散]][[積]][[貨]]物) * 세관화물취급인([[稅]][[關]][[貨]]物[[取]][[扱]][[人]]) * 소화물([[小]][[貨]]物) * 수화물([[手]][[貨]]物) * 수입화물([[輸]][[入]][[貨]]物) * 양화물([[洋]][[貨]]物) * 외국화물([[外]][[國]][[貨]]物) * 유동화물([[流]][[動]][[貨]]物) * 자유화물([[自]][[由]][[貨]]物) * 차급화물([[車]][[扱]][[貨]]物) * 통과화물([[通]][[過]][[貨]]物) * 화물기([[貨]]物[[機]]) * 화물상환증([[貨]]物[[相]][[換]][[證]]) * [[화물선]]([[貨]]物[[船]]) * 화물역([[貨]]物[[驛]]) * [[화물열차]]([[貨]]物[[列]][[車]]) * 화물자동차([[貨]]物[[自]][[動]][[車]]) * [[화물차]]([[貨]]物[[車]]) * 유개화물차([[有]][[蓋]][[貨]]物[[車]]) * 화물창([[貨]]物[[艙]]) * 화물통지서([[貨]]物[[通]][[知]][[書]]) * 화물항([[貨]]物[[港]]) * 화물환증([[貨]]物[[換]][[證]]) ==== 물- 부류 ==== * [[물가]](物[[價]]) * [[물건]](物[[件]]) * [[물류]](物[[流]]) * [[물리]](物[[理]]) * [[물리학]](物[[理]][[學]]) * [[물리학과]](物[[理]][[學]][[科]]) * [[물리학자]](物[[理]][[學]][[者]]) * 물색(物[[色]]) * 물자(物[[資]]) * [[물물교환]](物物[[交]][[換]]) * [[물주]](物[[主]]) * [[물질]](物[[質]]) * [[물질대사]](物[[質]][[代]][[謝]]) === [[고사성어]]/[[숙어]] === * [[격물치지]]([[格]]物[[致]][[知]]) * [[견물생심]]([[見]]物[[生]][[心]]) * [[낭중취물]]([[囊]][[中]][[取]]物) * [[물아일체]](物[[我]][[一]][[體]]) * 물의(物[[議]]) * [[완물상지]]([[玩]]物[[喪]][[志]]) === [[인명]] === * [[모노노베노 후토]](物[[部]] [[布]][[都]]) * [[모노마 네이토]](物[[間]] [[寧]][[人]]) === [[지명#s-2]] === * '''한자문화권의 모든 화물역들''' * [[교토 화물역]]([[京]][[都]]貨[[物]][[駅]]), [[사가미 화물역]]([[相]][[模]]貨[[物]][[駅]]) 등 === [[창작물]] === * [[남환박물]]([[南]][[宦]][[博]]物) * [[居並ぶ穀物と溜息まじりの運送屋]]([[늘어선 곡물과 한숨 섞인 운송업자]]) * [[이야기 시리즈|〈物語〉シリーズ]]([[이야기 시리즈]]) === 기타 === * '''장르를 나타내는 말 '~물'''' * [[근친물]]([[近]][[親]]物), [[착각물]]([[錯]][[覺]]物), [[추방물]]([[追]][[放]]物) 등 수많은 용례가 있다. * [[건어물녀]]([[乾]][[魚]]物[[女]]) * [[고추보집물]]([[固]][[抽]][[普]][[集]]物) * [[물포자]](物[[抛]][[者]]) * [[물화]](物[[化]]) * [[물화생지]](物[[化]][[生]][[地]]) * 성착취물([[性]][[搾]][[取]]物) * [[성형 괴물]]([[成]][[形]] [[怪]]物) === [[일본어]] === * [[모노]](物)-: 형용사 앞에 붙어 쓰인다. '모노스고이'(物凄い), '모노타리나이'(物足りない) 등이 있다. * [[모노가타리]](物[[語]]): 이야기 * 모노오키(物置): 창고 * [[바케모노]](化け物): 괴물 * 붓소(物騒): 뒤숭숭함 == 유의자 == * [[件]](물건 건) * [[品]](물건 품) == 상대자 == * [[心]](마음 심)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𥝤]](이할 리)[* [[利]](이할 리)의 [[고자(동음이의어)#s-7|고자]]] * [[魩]](물고기꼬리 말) * [[䀛]](멀리볼/새벽 매, 어두울 물) * [[圽]](죽을 몰)[* [[歿]](죽을 몰)의 [[동자#s-2]]] * [[歾]](죽을 몰, 자를 문) * [[伆]](끊을 문) * [[𨟸]](술그릇이름 문) * [[吻]]/[[肳]](입술 문) * [[粅]](고운가루 물) * [[岉]](산높을 물) * [[昒]](새벽 물/홀) * [[沕]](아득할 물) * [[𨋊]](병거 팽) * [[𪊖]](범 호)[* [[虎]](범 호)의 [[고자(동음이의어)#s-7|고자]]] * [[𢗘]](갑자기 홀)[* [[忽]](갑자기 홀)의 [[동자#s-2]]] * [[𤆞]](불기운성할 훌) * [[𤬱]](훌) * [[𠖳]] * [[𡛁]] * [[𢪱]] * [[𥘨]] * [[𤤅]] * [[𤰿]] * [[𧉚]] * [[𥾸]] * [[𫇅]] * [[𧦍]] * [[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