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 -5px; font-size: 40px" 狂}}}미칠 광 || ||<-2> {{{#!wiki style="margin: -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犬|{{{#000,#fff 犬}}}]], 4획}}} ||<-2> {{{#!wiki style="margin: -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7획}}} || ||<-2> {{{#!wiki style="margin: -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 -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 -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 -2px" {{{#000,#fff 준3급}}}}}}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 -2px" キョウ{{{#c88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 -2px" くる-う, くる-おしい, {{{#c88 ふ-れる}}}}}}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 -2px" kuáng{{{#c88 }}}}}} || ||<-8> {{{#!wiki style="margin: -2px; font-size: 10px; text-align: 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狂은 ''''미칠 광''''이라는 [[한자]]로, '미치다', '사납다' 등을 뜻한다. 영어의 crazy, mad, maniac 등에 해당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미치다 || || {{{-1 '''음'''}}} ||광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kuáng || || {{{-1 '''[[광동어]]'''}}} ||kwong^^4^^[*도태 도태된 발음], kong^^4^^ || || {{{-1 '''[[객가어]]'''}}} ||khòng || || {{{-1 '''[[민북어]]'''}}} ||kuǎng || || {{{-1 '''[[민동어]]'''}}} ||guòng || || {{{-1 '''[[민남어]]'''}}} ||kông || || {{{-1 '''[[오어]]'''}}} ||guaan (T3) || ||<-3> || ||<|2> '''[[일본어]]''' || {{{-1 '''음독'''}}} ||キョウ || || {{{-1 '''훈독'''}}} ||くる-う, くる-おしい,[br]{{{#c88 たわ-る, ふ-れる}}} || ||<-3> || ||<-2> '''[[베트남어]]''' ||cuồng || [[유니코드]]에는 U+72C2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KHMG(大竹一土)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犬]](개 견)과 소리를 나타내는 [[往|㞷]](갈 왕)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이후 㞷의 윗부분이 생략되고 [[王]](임금 왕)만 남아 현재의 자형이 되었다. == 용례 == === [[단어]] === * -광(狂) : [[매니아]]와 용법이 같다. * 광견(狂[[犬]]) * [[광견병]](狂[[犬]][[病]]) * [[광기]](狂[[氣]]) * [[광란]](狂[[亂]]) * 광병(狂[[病]]) * [[랩소디|광시곡]](狂[[詩]][[曲]]) * [[광신]](狂[[信]]) * [[광신도]](狂[[信]][[徒]]) * [[광우병]](狂[[牛]][[病]]) * 광적(狂[[的]]) * 광전(狂[[癲]]) * [[광팬]](狂fan) * [[발광#s-2]]([[發]]狂) * 발광적([[發]]狂[[的]]) * 전광([[癲]]狂) * 전광병원([[癲]]狂[[病]][[院]]) * 전광원([[癲]]狂[[院]]) * 창광([[猖]]狂) === [[고사성어]]/[[숙어]] === * 견광([[狷]]狂) * 광부지언(狂[[夫]][[之]][[言]]) * 광신망설(狂[[信]][[妄]][[說]]) * 광탕지인(狂[[蕩]][[之]][[人]]) * 벌성지광약([[伐]][[性]][[之]]狂[[藥]]) * 여광여취([[如]]狂[[如]][[醉]]) * 일진광풍([[一]][[陣]]狂[[風]]) * 작광작성([[作]]狂[[作]][[聖]]) === [[인명]] === 뜻이 뜻인만큼 실존인물에게 쓰이는 경우는 거의 없고 칭호나 광인 캐릭터에게 많이 사용된다. * [[마니와 케후켄]]([[真]][[庭]] 狂[[犬]]) * [[마모 쿄스케]]([[魔]][[毛]] 狂[[介]]) * [[미도리카와 쿄헤이]]([[緑]][[川]] 狂[[平]]) * [[센료 쿄시로]]([[千]][[両]] 狂[[死]][[郎]]) * [[쿠루마키 자쿠로]](狂[[巻]] ざくろ) * [[토키사키 쿠루미]]([[時]][[崎]] 狂[[三]]) * [[혼죠 쿄시로]]([[本]][[城]] 狂[[死]][[郎]]) * 노광래(盧狂來) - 불량 네티즌으로 KBS 유튜브 영상에 자주쓰는 레퍼토리가 '누구 누구 나오셨네요', '누구 누구는 가족오락관 (특히 2004년 방송분) 몇 회에 나오셨습니다'라는 반복되는 레퍼토리를 쓰고 있다. 게다가 가족오락관 2004년 방송분만 죽어라 요청하고 있다. --그래서 노狂래-- === [[지명#s-2]] === === [[창작물]] === * [[狂水一華]](광수일화) * [[광화수월|狂花水月]](광화수월) * [[玩具狂奏曲 -終焉-]]([[완구광주곡 -종언-]]) * [[Hey-day狂騒曲(カプリチオ)]][* 이의 경우, [[A라고 쓰고 B라고 읽는다|광상곡으로 쓰고 카프리치오로 읽는다.]]] * [[狂髪天を撫でて綴れ雲の綻び 五体北風に散りて痕も無し]]([[미친 머리카락 하늘을 어루만지고 누더기 구름은 해어져 오체 북풍에 흩어지어 흔적도 없이]]) === 기타 === == 유의자 == * [[瘈]](미칠 계) * [[𤢵]]^^[⿰犭厲]^^(미칠 뢰) * [[𤞚]]^^[⿰犭肖]^^(미칠 소) * [[癲]](미칠 전) * [[瘹]](미칠 조) * [[猖]](미칠 창) * [[𨽿]]^^[⿰枲隶]^^(미칠 태) * [[獝]](미칠 휼)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玨]](쌍옥 각)[* [[珏]](쌍옥 각)의 [[본자]]] * [[狅]](사람이름 경) * [[軖]](물레 광) * [[𧥶]]^^[⿰言王]^^(속일 광)[* [[誑]](속일 광)의 [[동자#s-2]]] * [[抂]](어지러운모양 광) * [[仼]](허둥지둥할 광)[* [[俇]](허둥지둥할 광)의 [[오탈자#s-1|와자]]] * [[㕵]](나라 국)[* [[國]](나라 국)의 [[고자(동음이의어)#s-7|고자]]] * [[枉]](굽을 왕) * [[蚟]](귀뚜라미 왕) * [[彺]](급히갈 왕) * [[汪]](넓을 왕) * [[忹]](부정할 왕) * [[旺]](왕성할 왕) * [[𩵭]]^^[⿰魚王]^^(참다랑어 왕) * [[拄]](버틸 주) * [[𰀤]]^^[⿰⿴尸一王]^^ * [[𡉠]]^^[⿰土王]^^ * [[𤆦]]^^[⿰火王]^^ * [[𰗳]]^^[⿰果王]^^ * [[𥘛]]^^[⿰示王]^^ * [[𪛟]]^^[⿰目王]^^ * [[𮀍]]^^[⿰石王]^^ * [[𮂴]]^^[⿰禾王]^^ * [[𰣉]]^^[⿰男王]^^ * [[𥿁]]^^[⿰糸王]^^ * [[𰪬]]^^[⿰米王]^^ * [[𧴽]]^^[⿰貝王]^^ * [[𲄘]]^^[⿰身王]^^ * [[𬫃]]^^[⿰金王]^^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𨌃]]^^[⿰車狂]^^(물레 광)[* [[軖]](물레 광)의 [[본자]]] * [[𣴥]]^^[⿰氵狂]^^(물모양 광) * [[誑]](속일 광) * [[𩷗]]^^[⿰魚狂]^^(큰물고기 광) * [[𢚯]]^^[⿰忄狂]^^(허급지급갈 광) * [[俇]]/[[𢓯]]^^[⿰彳狂]^^(허둥지둥할 광) [[분류:준3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