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1급 한자]][[분류:다음자/표준 중국어]]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町}}}밭두둑 정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田|{{{#000,#fff 田}}}]], 2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7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1급 한자|{{{#000,#fff 1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チョウ, {{{#c88 テイ}}}}}}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まち, {{{#c88 あぜみち}}}}}}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dīng, tǐng{{{#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町은 ''''밭두둑 정''''이라는 [[한자]]로, '밭두둑'[* 밭 가장자리에 경계를 이룰 수 있도록 쌓아 만든 것.], '빈 터'를 나타낸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753A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田一弓(WMN)으로 입력한다. 훈을 나타내는 [[田]](밭 전)과 음을 나타내는 [[丁]](고무래/장정 정)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 용례 == 한국에서의 사용례는 극히 드물지만, 일본에서는 매우 흔하게 사용되며, 중국에서는 간간히 사용례가 보인다. === [[단어]] === * [[시정촌]]([[市]]町[[村]]): 일본의 행정구역 단위 중 기초자치단체에 해당하는 단계를 통틀어 부르는 말이다. * 정당(町[[當]]): 수량이 1정보에 다다름을 이르는 말이다. * 정보(町[[步]]): 1정보는 3000평(약 9,917.4㎡)을 말한다. === [[인명]] === * [[마치다 우시오]](町[[田]] [[右]][[潮]]) * [[마치야마 토모히로]](町[[山]] [[智]][[浩]]) * [[소가 마치코]]([[曽]][[我]] 町[[子]]) * [[소리마치 다카시]]([[反]]町 [[隆]][[史]]) * [[에즈마치 후데]]([[畫|画]][[図]]町 [[筆]]) * [[쥬니초 야부미]]([[十]][[二]]町 [[矢]][[文]]) * [[코마치]]([[小]]町) * [[토노마치 히로토]]([[殿]]町 [[宏]][[人]]) * [[햐쿠초 하마야]]([[百]]町 [[破]][[魔]][[矢]]) === [[지명]] === * 일본의 町급 행정구역 전체 * [[완딩 통상구]](畹町口岸) - 미얀마와 접한 중국의 국경검문소 명칭 * 싼후딩(三湖町) - 윈난성 헝양시 헝양현의 향급행정구인 싼후진(三湖镇)의 별명 * 시먼딩(西門町) - 타이베이 내에 위치한 지명 === [[창작물]] === * [[衰色小町メランコリア]] === 기타 === === [[일본어]] === * [[고마치잔]]([[小]]町[[算]]): 숫자 놀이의 일종 * 마치(町, まち): 집이나 상점이 많이 모여있는 곳이라는 뜻으로, 동네, 마을, 길거리, 시가지 정도의 의미를 가진다. 똑같이 まち라고 읽으며 [[街]]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상점들이 늘어선 거리'의 뉘앙스가 크다. 한편 음독으로 チョウ라고 읽는 경우도 뜻은 같은데, 보통 합성어에서 쓰인다. 일본에서는 이 한자로 표기되는 단어가 '동네'라는 의미로 쓰여 일상에서도 많이 쓰이고 지명에 많이 들어가며, [[행정구역]] 단위 중의 하나로까지 사용된다. [[학년별한자배당표]]에 '''1학년 한자'''로 배당되어 있을 정도.[* 반대의 사례는 [[邑]]. 한국에서는 7급 한자이고 [[읍(행정구역)|행정구역의 단위]]로도 쓰일 만큼 널리 쓰이는 한자이지만, 일본에서는 비상용한자이다.] === [[중국어]] === 중국에서도 지명으로 사용한다. 지명으로 사용할 때에 쓰이는 독음은 dīng으로, 주로 [[윈난성]]의 지명에서 자주 발견된다. 다만 일본처럼 이게 공식 행정구역이거나 하지는 않아서 자주 보이지는 않는다. tǐng으로 읽을 때에는 전답으로 사용할 때에 쓰는 독음이다. == 유의자 == * [[𤱳]](밭두둑 광) * [[㽛]](밭두둑 구) * [[𡊻]](밭두둑 렬) * [[壟]](밭두둑 롱) * [[䅹]](밭두둑 루) * [[疄]](밭두둑 린) * [[佰]](밭두둑 맥) * [[畔]](밭두둑 반) * [[塄]](밭두둑 방) * [[塍]](밭두둑 승) * [[埸]](밭두둑 역) * [[𤱩]](밭두둑 조) * [[仟]](밭두둑 천) * [[畦]](밭두둑 휴)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𠄖]](칠 령) * [[䟓]](가는모양 정) * [[糽]](곧을 정) * [[耵]](귀지 정) * [[帄]](기울 정) * [[矴]](닻 정)[* [[碇]](닻 정)의 [[동자#s-2]]] * [[𧰩]](돼지모양 정) * [[靪]](등자 정) * [[灯]](등잔 정, 등 등) * [[盯]](똑바로볼 정) * [[釘]](못 정) * [[汀]]/[[𠀩]]/[[𢆊]](물가 정) * [[䰳]](물고기이름 정) * [[訂]](바로잡을 정) * [[𢬫]](받들 정) * [[圢]](밭고랑 정) * [[𦨍]](배이름 정) * [[耓]](보습 정) * [[𧹙]](붉을 정) * [[𤿆]](살갗땅길 정) * [[𨊡]](수레멈출 정) * [[酊]](술취할 정) * [[叮]](신신당부할 정) * [[𥸧]](쌀로만든음식 정) * [[䦺]](언덕이름 정) * [[奵]](얼굴좋을 정) * [[㓅]](얼음언모양 정) * [[玎]](옥소리 정) * [[㣔]]/[[仃]](외로울 정) * [[忊]](원망할 정) * [[飣]]/[[𦘭]](음식괼 정) * [[𠄚]](의논할 정) * [[虰]](잠자리 정) * [[𧯫]](천막칠 정) * [[朾]](칠 정) * [[𢗈]](서로등질 조/초) * [[𤘖]](관청 청)[* [[廳]](관청 청)의 [[동자#s-2]]] * [[𩨑]](정강이뼈 청) * [[打]](칠 타) * [[𧢴]](쇠뿔곧을 형) * [[𩡯]](정) * [[𠁂]] * [[𡴵]] * [[𫞻]] * [[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