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준3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盤}}}소반 반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皿|{{{#000,#fff 皿}}}]], 10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5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3급 한자|{{{#000,#fff 준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バン, {{{#c88 ハン}}}}}}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おおざら, ま-がる, めぐ-る, わだかま-る}}}}}}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pán{{{#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盤은 ''''소반 반''''이라는 [[한자]]로, 원래는 접시나 대야를 의미한다. 여기서 의미가 파생되어 작은 밥상(소반[小盤]), 원반(또는 원반처럼 생긴 것), 받침, 선물, 에워싸다, 캐어묻다 등등 의미가 나왔다. == 상세 == [[유니코드]]는 U+76E4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HEBT(竹水月廿)로 입력한다. 훈을 나타내는 [[皿]](그릇 명)과 음을 나타내는 [[般]](가지/일반 반)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 용례 == === [[단어]] === * [[건반]]([[鍵]]盤) * 계기반([[計]][[器]]盤) * [[골반]]([[骨]]盤) * 과반([[果]]盤) * 기반([[基]]盤) * [[나침반]]([[羅]][[針]]盤) * 두리반(두리盤) * [[명반#s-2|명반]]([[名]]盤) * 목반([[木]]盤) * 반석(盤[[石]]) * [[반장#s-11]](盤[[長]]) * 배선반([[配]][[線]]盤) * 배전반([[配]][[電]]盤) * 분전반([[分]][[電]]盤) * 소반([[小]]盤) * 암반([[巖]]盤) * 옥반([[玉]]盤) * [[원반]]([[圓]]盤) * 은반([[銀]]盤) * [[음반]]([[音]]盤) * [[쟁반]]([[錚]]盤) * 종반([[終]]盤) * 중반([[中]]盤) * [[지반]]([[地]]盤) * 초반([[初]]盤) * [[태반]]([[胎]]盤) === [[인명]] === * [[강반석]]([[康]]盤[[石]]) * [[김반굴]]([[金]]盤[[屈]]) * [[토키와 타카코]]([[常]]盤 [[貴]][[子]]) === [[지명#s-2]] === * [[반곡동]](盤[[谷]][[洞]])[* 두 지역 모두 한자가 같다.] * [[반곡역]](盤[[谷]][[驛]]) * [[반송동]](盤[[松]][[洞]])[* 세 지역 모두 한자가 같다.]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여동]](盤[[如]][[洞]])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盤[[浦]][[洞]]) == 지하철역 == * [[반포역]] * [[구반포역]] * [[신반포역]] * [[반여농산물시장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