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준6급 한자]][[분류:다음자/한국어]][[분류:다음자/표준 중국어]][[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省}}}살필 성, 덜 생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目|{{{#000,#fff 目}}}]], 4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9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6급 한자|{{{#000,#fff 준6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セイ, ショウ{{{#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かえり-みる, はぶ-く{{{#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shěng, xǐng{{{#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省은 ''''살필 성'''' 또는 ''''덜 생''''이라는 [[한자]]로, '살피다', '덜다'를 뜻한다. == 상세 == ||<-4><#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덜다 ||살피다 || || {{{-1 '''음'''}}} ||생 ||성 || ||<-4> || ||<|6>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shěng ||xǐng || || {{{-1 '''[[광동어]]'''}}} ||saang^^2^^ ||sing^^2^^ || || {{{-1 '''[[객가어]]'''}}} ||sén[* 중국의 자치단위로서의 '성'(省)] / sáng[* '덜다'] ||siáng || || {{{-1 '''[[민동어]]'''}}} ||sēng[*文 [[문독]]] / sāng[*白 [[백독]]] ||sīng || || {{{-1 '''[[민남어]]'''}}} ||séng ||séng || || {{{-1 '''[[오어]]'''}}} ||san (T2) ||xin (T2) || ||<-4> || ||<|2> '''[[일본어]]''' || {{{-1 '''음독'''}}} ||ショウ[*A セイ는 [[일본 한자음|오음]], ショウ는 [[일본 한자음|당음]]이다. 어쩌다보니 '덜다'라는 의미로 쓸 때는 당음으로, '살피다'라는 의미로 쓸 때는 오음으로 읽는다.] ||セイ[*A セイ는 [[일본 한자음|오음]], ショウ는 [[일본 한자음|당음]]이다. 어쩌다보니 '덜다'라는 의미로 쓸 때는 당음으로, '살피다'라는 의미로 쓸 때는 오음으로 읽는다.] || || {{{-1 '''훈독'''}}} ||はぶ-く ||かえり-みる || ||<-4> || ||<-2> '''[[베트남어]]''' ||<-2>tỉnh || [[유니코드]]에는 U+7701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FHBU(火竹月山)로 입력한다. [[갑골문]] 상에서는 [[生]](날 생)과 [[目]](눈 목)으로 이루어져있으며 目이 뜻을, 生이 소리를 나타내는 형성자로 본다. 그러다가 [[소전]]체 때 부터 生 부분이 '屮+丿 모양으로 변형되었고 [[예서]]에 와서는 아예 少로 바뀐 것이 지금의 [[해서]]체로 전승되었다. 이 글자는 다음자(多音字)로 '살펴보다'의 뜻일 때는 息井切(한국어 '성', 만다린 xǐng)로, '생략하다', '덜다'의 뜻일 때는 所景切(한국어 '생', 만다린 shěng)으로 읽는다. 다만 '관청', '부서', 또는 행정단위로서의 省은 한국어에서는 '성'으로 읽지만 만다린에서는 shěng으로 읽는다. == 용례 == === [[단어]] === ==== 성 ==== * [[국방부|국방성]]([[國]][[防]]省) * [[귀성]]([[歸]]省) * 귀성객([[歸]]省[[客]]) * 금서성([[禁]][[書]]省) * [[내무성]]([[內]][[務]]省) * [[대장성]]([[大]][[蔵]]省) * 도성([[都]]省) * 상서도성([[尙]][[書]][[都]]省) * [[문부성]]([[文]][[部]]省) * 문하성([[門]][[下]]省) * 내사문하성([[內]][[史]][[門]][[下]]省) * [[반성]]([[反]]省) * [[반성문]]([[反]]省[[文]]) * 비서성([[祕]][[書]]省) * [[상서성]]([[尙]][[書]]省) * 성도(省[[都]]) * [[성묘]](省[[墓]]) * [[성부]](省[[府]]) * 성찰(省[[察]]) * 자아성찰([[自]][[我]]省[[察]]) * 신성([[晨]]省) * [[육군성]]([[陸]][[軍]]省) * [[일본 외무성|외무성]]([[外]][[務]]省) * [[일성록]]([[日]]省[[錄]]) * [[해군성]]([[海]][[軍]]省) ==== 생 ==== * [[생략]](省[[略]]) * 생획(省[[劃]]) === [[고사성어]]/[[숙어]] === * 조석정성([[朝]][[夕]][[定]]省) * 혼정신성([[昏]][[定]][[晨]]省) === [[인명]] === * [[마스다 쇼지]]([[桝]][[田]] 省[[治]]) * [[쥬후쿠 미호]]([[重]][[福]] 省[[帆]]) * [[카와시마 쇼고]]([[川]][[島]] 省[[吾]]) === [[지명#s-2]] === * [[중국]]의 행정단위이자 지방자치단체이다. [[한국]]의 도(道)에 해당되며 의외로 [[원나라]] 때 행성(行省)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도입되었다. 자세한 건 [[성(행정구역)|문서]] 참조. === 기타 === * [[일본]]의 정치 기관의 명칭이다. [[문부과학성]]([[文]][[部]][[科]][[学]]省), [[법무성]]([[法]][[務]]省) 등 총 '''11성'''이 있다. == 유의자 == * '''살피다''' * [[審]](살필 심) * [[察]](살필 찰) * [[懺]](뉘우칠 참) * [[悔]](뉘우칠 회) * '''덜다''' * [[減]](덜 감) * [[略]](줄일 략) * [[損]](덜 손) * [[除]](덜 제) == 상대자 == * [[加]](더할 가) * [[益]](더할 익) * [[增]](더할 증) * [[添]](더할 첨)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㝹]](토끼새끼 누) * [[劣]](못할 렬) * [[毟]](물어뜯을 모) * [[𡭝]](쌀 미)[* [[米]](쌀 미)의 [[고자(동음이의어)#s-7|고자]]] * [[𩵮]](문절망둑 사) * [[𡭟]](적을 사)[* [[些]](적을 사)의 [[동자#s-2]]] * [[雀]]/[[䲵]](참새 작) * [[尖]](뾰족할 첨) * [[𡭸]](란) * [[𦕉]](사) * [[𥅷]](수) * [[𭎇]]^^[⿱少𡈽]^^ * [[𫴻]]^^[⿱少內]^^ * [[𡭲]] * [[𡭺]] * [[𡮑]] * [[𡮯]] * [[𫵊]]^^[⿱少結]^^ * [[𪨆]]^^[⿱少煨]^^ * [[𱚪]]^^[⿱少稚]^^ * [[𱚫]]^^[⿱少雉]^^ * [[𭻂]]^^[⿱少田]^^ * [[𰢫]]^^[⿱少生]^^ * [[𨚒]] * [[𮙷]]^^[⿱少貝]^^ * [[𮫝]]^^[⿱少鬼]^^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𣦉]](그칠 갑) * [[㾪]]/[[𩩭]](야윌 생) * [[㗂]](입다물고말하지않을 생, 살필 성) * [[𢜫]](깨달을 성)[* [[惺]](깨달을 성)의 [[동자#s-2]]] * [[𡨽]](관아 성) * [[𨵥]](궁궐의관아 성) * [[𨲓]](긴모양 성) * [[偗]](길 성) * [[𨜜]](내이름 성) * [[渻]](내이름 성, 덜 생) * [[𡞞]](덜 성) * [[㼳]](물장군 성) * [[𦔄]](보리 성) * [[箵]](종다래끼 성) * [[䚇]](종아리드러날 성) * [[㮐]](쳇다리 성, 도마 시) * [[㨘]](코풀 성) * [[𭖶]]^^[⿰山省]^^ * [[𰊄]]^^[⿰土省]^^ * [[𫵆]]^^[⿰省司]^^ * [[𪱐]]^^[⿰音省]^^ * [[𦳗]] * [[𫆦]]^^[⿰⺼省]^^ * [[𪻻]]^^[⿰⺩省]^^ * [[𰥟]]^^[⿰省乜]^^ * [[𪾱]]^^[⿰目省]^^ * [[𧍖]] * [[𫍂]]^^[⿰言省]^^ * [[𬥇]]^^[⿰省𦊽]^^ * [[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