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준3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粧}}}단장할 장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米|{{{#000,#fff 米}}}]], 6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2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3급 한자|{{{#000,#fff 준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ショウ, {{{#c88 ソウ}}}}}}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めか-す, よそお-う}}}}}}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zhuāng{{{#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粧은 ''''단장할 장''''이라는 [[한자]]로, '단장(丹粧)하다', '꾸미다'를 뜻한다. == 상세 == 뜻을 나타내는 [[米]](쌀 미)와 음을 나타내는 [[庄]](전장 장)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유니코드]]에는 U+7CA7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火木戈土(FDIG)로 입력한다. == 용례 == === [[단어]] === * [[단장]]([[丹]]粧) * 세장([[歲]]粧) * [[수장]]([[修]]粧) * 수장판([[修]]粧[[板]]) * [[자장]]([[資]]粧) * [[장도#s-1]](粧[[刀]]) * [[은장도]]([[銀]]粧[[刀]]) * [[장력]](粧[[曆]]) * 장식(粧[[飾]]) * 장찬(粧[[撰]]) * 장첩(粧[[帖]]) * 치장([[治]]粧) * [[화장]]([[化]]粧) * 화장대([[化]]粧[[臺]]) * [[화장실]]([[化]]粧[[室]]) * [[화장지]]([[化]]粧[[紙]]) * [[화장품]]([[化]]粧[[品]]) === [[고사성어]]/[[숙어]] === * 담장농말([[淡]]粧[[濃]][[抹]]) * 소복단장([[素]][[服]][[丹]]粧) * 응장성식([[凝]]粧[[盛]][[飾]]) * 칠보단장([[七]][[寶]][[丹]]粧) === [[인명]] === * [[야가미 사유]]([[夜]][[神]] 粧[[裕]]) == 유의자 == * [[捏]](꾸밀 날) * [[扮]](꾸밀 분) * [[賁]](꾸밀 비) * [[飾]](꾸밀 식) * [[縟]](꾸밀 욕) * [[裝]](꾸밀 장) * [[妝]](단장할 장) * [[靚]](단장할 정)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糠]](겨 강) * [[䂯]](옥돌 괴) * [[𨀵]](칠 당)[* [[撞]](칠 당)의 속자] * [[𠲕]](탐욕스럽게먹을 당) * [[桩]](말뚝 장, 칠 용) * [[脏]](오장/몸뚱뚱할 장) * [[賍]](장물 장)[* [[贓]](장물 장)의 속자] * [[㛇]](장) * [[𪣐]] * [[𢬂]] * [[𣆮]] * [[𤕸]] * [[𥅾]] * [[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