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紙}}}종이 지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糸|{{{#000,#fff 糸}}}]], 4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0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7급 한자|{{{#000,#fff 7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シ{{{#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かみ{{{#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zhǐ{{{#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紙는 ''''종이 지''''라는 [[한자]]로, '[[종이]]'를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종이 || || {{{-1 '''음'''}}} ||지 || ||<-3> || ||<|6>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zhǐ || || {{{-1 '''[[광동어]]'''}}} ||zi^^2^^ || || {{{-1 '''[[객가어]]'''}}} ||chṳ́ || || {{{-1 '''[[민동어]]'''}}} ||cāi || || {{{-1 '''[[민남어]]'''}}} ||chóa / chí || || {{{-1 '''[[오어]]'''}}} ||tsr (T2) || ||<-3> || ||<|2> '''[[일본어]]''' || {{{-1 '''음독'''}}} ||シ || || {{{-1 '''훈독'''}}} ||かみ || ||<-3> || ||<-2> '''[[베트남어]]''' ||chỉ || [[유니코드]]에는 U+7D19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VFHVP'(女火竹女心)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糸]](실 사)와 소리를 나타내는 [[氏]](성씨 씨)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여기서 糸는 실, 또는 실처럼 가는 섬유조직을 뜻한다. 현재와 같이 식물의 섬유조직을 이용해서 종이를 만들기 전에 고대 중국에서는 나무나 비단을 기록 매체로 사용했다. [[후한서]]에는 [[채륜]]의 제지법 개발에 관련된 이야기가 실려 있는데, 그 가운데에 "自古書契多編以竹簡, 其用縑帛者謂之爲紙"(예로부터 글을 쓸 때는 [[죽간]]을 엮은 것이 많으며, [[겸백]]을 사용한 것을 일러 紙라고 하였다)라는 설명이 있다. [[설문해자]]에는 "紙, 絮一𥮒[* '竹' 밑에 '沾']也"(紙는 솜을 풀어 대나무체로 건진 것이다)라는 설명이 있다. 현대 한국어에서는 종이 밖에 비닐이나 가죽 [[따위]]로 만들어진 것에도 紙를 쓰기도 한다. == 용례 == === [[단어]] === * [[갱지]](更紙) * [[기관지]](機關紙) * 답안지(答案紙) * [[무가지]](無價紙) * [[문풍지]](門風紙) * 백지(白紙) * 백지장(白紙張) * [[벽지]](壁紙) * 본지(本紙) * [[봉지]](封紙) * [[색지]](色紙) * 설문지(設問紙) * [[습자지]](習字紙) * 시험지(試驗紙) * [[신문지]](新聞紙) * [[이면지]](裏面紙) * [[일간지]](日刊紙) * [[양피지]](羊皮紙) * 용지(用紙) * [[투표용지]](投票用紙) * [[원고지]](原稿紙) * [[은박지]](銀箔紙) * 장판지(壯版紙) * 제지(製紙) * [[주간지]](週刊紙) * [[지갑]](紙匣) * 지면(紙面) * [[지방(제사)|지방]](紙榜) * [[지전]](紙田/紙錢) * [[지폐]](紙幣) * [[위조지폐]](僞造紙幣) * [[지혼식]](紙婚式) * [[편지]](便紙/片紙) * [[표지]](表紙) * [[학습지]](學習紙) * [[한지]](韓紙) * [[화지(종이)|화지]](和紙) * [[휴지]](休紙) * [[휴지통]](休紙桶)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마카미 보로]]([[間]]紙 ボロ) * [[시무라 스구루]](紙[[村]] [[英]]) * [[토비이치 오리가미]]([[鳶]][[一]] [[折]]紙) === [[지명#s-2]] === * [[지축역]](紙[[杻]][[驛]]) * [[지행역]](紙[[杏]][[驛]]) === [[창작물]] === * [[紙・心・ペン・心-SHISHINPENSHIN-]] * [[折紙物語]](종이접기 이야기) === 기타 === * [[필요한지]]([[必]][[要]][[韓]]紙) === [[일본어]] === ==== [[훈독]] ==== 紙(かみ): 종이 예) 色紙(いろがみ): 색지, 색종이, 手紙(てがみ): 편지 ==== [[음독#s-1]] ==== 紙(し). 예) 紙幣(しへい): 지폐, 日刊紙(にっかんし): 일간지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衹]](가사 기) * [[軝]](수레굴통대 기) * [[祇]](지신 기) * [[眂]](볼 시) * [[䟗]](설 시) * [[䲬]](꿩 지) * [[觗]](만날 지) * [[坁]](머무를 지) * [[忯]](믿을 지) * [[汦]](붙을 지) * [[蚔]](청개구리 기) * [[扺]](칠 지) * [[舐]](핥을 지) [[분류:7급 한자]][[분류:종이]][[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