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細}}}가늘 세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糸|{{{#000,#fff 糸}}}]], 5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1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4급 한자|{{{#000,#fff 준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サイ{{{#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ほそ-い, ほそ-る, こま-か,[br]こま-かい, {{{#c88 くわ-しい, ささ, ささ-やか}}}}}}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xì{{{#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細는 ''''가늘 세''''라는 [[한자]]로, '가늘다', '자세(仔細)하다', '작다' 등을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선 U+7D30에 배정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女火田(VFW)으로 입력한다. [[파일:細 자형 변천과정.jpg]] [[갑골문]], [[금문]]은 존재하지 않고 [[전서]]부터 등장한 한자이다. 지금의 자형은 [[糸]]([[가는실 멱]])과 [[田]]([[밭 전]])이 합쳐진 모양이지만 원래는 [[糸]]과 [[囟]](정수리 신)이 합쳐진 모양이었다. 그 후 [[예서]] 때 간략화 되어 지금의 [[田]]모양이 된 것. 가는 실을 나타내는 [[糸]]과 실뭉치를 나타내는 [[囟]]이 합쳐진 [[회의자]]로, '''휘감아서 만든 실타래'''를 뜻했다. 우리말에 細를 두 번 쓴 형태가 '세세하다'로, 細의 뜻이 더 강조되어 '매우 자세히'를 뜻한다. == 용례 == === [[단어]] === * 명세([[明]]細) * 모세([[毛]]細) * 모세관([[毛]]細[[管]]) * [[모세혈관]]([[毛]]細[[血]][[管]]) * 미세([[微]]細) * 상세([[詳]]細) * 섬세([[纖]]細) * [[세균]](細[[菌]]) * 세면(細[[麵]]) * 세밀(細[[密]]) * [[세부]](細[[部]]) * 세분(細[[分]]) * 세분화(細[[分]][[化]]) * 세빙(細[[氷]]) * 세세(細細) * 세심(細[[心]]) * [[가랑비#s-1|세우]](細[[雨]]) * 세점토(細[[粘]][[土]]) * [[세포]](細[[胞]]) * [[세포막]](細[[胞]][[膜]]) * [[세포벽]](細[[胞]][[壁]]) * [[세포질]](細[[胞]][[質]]) * 영세([[零]]細) * 자세([[仔]]細) === [[고사성어]]/[[숙어]] === * 간세지배([[奸]]細[[之]][[輩]]) * 세미지사(細[[微]][[之]][[事]]) * 영세농민([[零]]細[[農]][[民]]) === [[인명]] === * [[일본의 성씨]] 및 이름 * 미사이즈([[美]]細[[津]]) * 호소노(細[[野]]) * [[호소다]](細[[田]]) * 호소야마(細[[山]]) * 호소이(細[[井]]) - [[호소이 오사무]] (細[[井]] [[治]])··· * [[호소카와]](細[[川]]) * 호소키(細[[木]]) * [[호소야]](細[[谷]]) * [[세군]](細[[群]]) * [[호소고에 유지]](細[[越]] [[裕]][[治]]) * [[호소로기 하루미]](細[[呂]][[木]] [[晴]][[海]]) === [[지명#s-2]] === *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세류동]](細[[柳]][[洞]]) === [[창작물]] === * [[일하는 세포]]([[はたらく細胞]]) * [[細氷]] === 기타 === * [[세특]](細[[特]]):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의 준말 == 유의자 == * [[微]](작을 미) * [[密]](빽빽할 밀) * [[森]](빽빽할 삼) * [[纖]](가늘 섬) * [[小]](작을 소) * [[仔]](자세할 자) == 상대자 == * [[巨]](클 거) * [[大]](큰 대) * [[泰]](클 태)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累]](여러 루) * [[緦]](시마 시) * [[縯]](길 연) * [[佃]](밭갈 전) * [[鈿]](비녀 전) * [[鿬]](테네신 전) * [[畑]](화전 전) * [[紬]](명주 주) * [[緇]](검을 치) [[분류:준4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