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6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習}}}익힐 습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羽|{{{#000,#fff 羽}}}]], 5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1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6급 한자|{{{#000,#fff 6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羽]](깃 우) 부분을 習의 간체자 형태 习이 나란히 있는 형태로 쓴다.]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シュウ, {{{#c88 ジュウ}}}}}}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なら-う{{{#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xí{{{#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習은 ''''익힐 습''''이라는 [[한자]]로, '익히다', '배우다', '버릇' 등을 뜻한다. == 상세 == 갑골문에서는 ⺕ 2개와 밑에 日로 이루어져 있는 자형으로 나타나는 데, ⺕ 2개는 [[彗]]의 고자(古字)로 소리를 나타낸다. 본래 習은 [[彗]]가 성부이고 [[日]]이 뜻을 나타내는 [[형성자]]이다. 그러나 구성요소가 혼동되어 윗 부분은 [[羽]](깃 우)로 바뀌었고, 아랫 부분은 [[白]](흰 백)으로 변형됐다. 가장 기본적인 뜻은 '배우다', '학습하다', '연습하다', 이고, 그 외에도 '익숙하다', '습관'의 뜻도 가지고 있다. == 용례 == === [[단어]] === * [[강습]]([[講]]習) * 강습생([[講]]習[[生]]), 강습소([[講]]習[[所]]), 강습회([[講]]習[[會]]) * [[견습]]([[見]]習) * 견습공([[見]]習[[工]]), 견습기자([[見]]習[[記]][[者]]), 견습생([[見]]習[[生]]) * [[관습]]([[慣]]習) * [[관습법]]([[慣]]習[[法]]), [[관습헌법]]([[慣]]習[[憲]][[法]]) * 교습([[敎]]習) * [[구습]]([[口]]習/[[舊]]習) * 보습([[補]]習) * [[복습]]([[復]]習) * 상습([[常]]習) * [[세습]]([[世]]習) * [[수습]]([[修]]習) * [[습관]](習[[慣]]) * 습관성(習[[慣]][[性]]), 습관적(習[[慣]][[的]]), [[습관화]](習[[慣]][[化]]) * 습득(習[[得]]) * 습득관념(習[[得]][[觀]][[念]]), 습득형질(習[[得]][[形]][[質]]) * 습성(習[[性]]) * 습작(習[[作]]) * 실습([[實]]習) * 가정실습([[家]][[庭]][[實]]習), [[교생실습]]([[敎]][[生]][[實]]習) * [[악습]]([[惡]]習) * [[연습]]([[練]]習,[[鍊]]習) * [[연습곡]]([[練]]習[[曲]]), [[연습생]]([[練]]習[[生]]), 연습실([[練]]習[[室]]), [[연습장]]([[練]]習[[帳]]) * [[노래연습장]](-[[練]]習[[場]]) * 예습([[豫]]習) * [[인습]]([[因]]習) * [[자습]]([[自]]習) * [[자습서]]([[自]]習[[書]]) * 폐습([[弊]]習) * [[풍습]]([[風]]習) * [[학습]]([[學]]習) * 가정학습([[家]][[庭]][[學]]習), [[잠재학습]]([[潛]][[在]][[學]]習), 학습발표회([[學]]習[[發]][[表]][[會]]) 학습서([[學]]習[[書]]), 학습이론([[學]]習[[理]][[論]]), 학습장([[學]]習[[帳]]), [[학습지]]([[學]]習[[紙]]), 현장학습([[現]][[場]][[學]]習) === [[고사성어]]/[[숙어]] === * 부풍모습([[父]][[風]][[母]]習) * 삼도습의([[三]][[度]]習[[儀]]) * 숙습난당([[熟]]習[[難]][[當]]) * 숙습난방([[熟]]習[[難]][[防]]) * 습속이성(習[[俗]][[移]][[性]]) * 습숙견문(習[[熟]][[見]][[聞]]) * 습여성성(習[[與]][[性]][[成]]) * [[자학자습]]([[自]][[學]][[自]]習) * 학이시습([[學]][[而]][[時]]習) * 허당습청([[虛]][[堂]]習[[聽]]) === [[인명]] === * [[가습]]([[賈]]習) * [[김시습]]([[金]][[時]]習) * [[습착치]](習[[鑿]][[齒]]) * [[시진핑]](习[[近]][[平]]) * [[츠키야마 슈]]([[月]][[山]] 習) === [[지명#s-2]] === === [[창작물]] === * [[동몽선습]]([[童]][[蒙]][[先]]習) * [[学习雷锋好榜样]]([[레이펑의 좋은 점을 배우자]]) * [[練習曲op.10-4]] === 기타 === == 유의자 == * [[練]](익힐 련) * [[肄]](익힐 이) * [[學]](배울 학) == 상대자 ==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皆]](다 개) * [[翼]](날개 익) * [[翌]](다음날 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