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而}}}말이을 이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而, 0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6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3급 한자|{{{#000,#fff 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ジ}}}}}}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しこう-して, なんじ}}}}}}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ér{{{#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0px-而-order.gif]]}}}|| || 획순 || [목차] [clearfix] == 개요 == 而는 ''''말이을 이''''라는 [[한자]]로, 말 그대로 [[한문]]에서 말을 이어줄 때 사용되는 글자이다. == 상세 == 원래 而 자는 뺨의 수염을 의미하며 길게 늘어진 털의 모습을 본뜬 [[상형자]]이다. 그러나 훗날 [[가차]] 되어 문법적 기능을 하는 글자로 바뀌게 되었다. 而 자는 정확히 말하면 연사(連詞, 접속사)에 해당하며, 주로 동사성 성분(형용사도 이어 주기는 한다)을 이어 준다. 의미 상으로는 순접(~하고, ~하며 등)과 역접(~하지만, ~하나 등)이 모두 가능한 유연한 연사이다.[* 얼핏 이게 어떻게 가능한 것인지 의아할 수 있지만, 논리학적으로 따지면 순접과 역접의 기능은 모두 '그리고'로 해석이 가능한 연언 명제 형식으로 같다. 그 예로, '철수는 빵을 먹'''지만''' 영희는 우유를 마신다'나 '철수는 빵을 먹'''고''' 영희는 우유를 마신다'는 순/역접 뉘앙스만 다를 뿐, 상황상 의미 그 자체는 똑같다.] 영어의 'and'가 사용된 문장을 한국어로 번역할 때를 생각하면 된다. 그 외에 드문 경우지만(주로 한문이 정립되기 이전의 고대 중국어에서) [[汝]], [[爾]]처럼 '너'라는 뜻의 2인칭 대명사로 쓰이기도 한다. 그 외에 2인칭 대명사로 쓰이는 글자로 [[女]], [[若]], [[乃]] 등이 있는데, 이들은 공통적으로 상고한어에서 n계열 성모를 가지고 있다. [[유니코드]]는 U+800C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一月中中(MBLL)으로 입력한다. [[중세 한국어]] 당시 이 한자의 [[한국 한자음]]은 '{{{#!html ᅀᅵ}}}'였다. [[훈몽자회]]가 그 근거이며, ㅿ의 발음을 알려준다. == 용례 == === [[단어]] === * 이후(而[[後]]): 지금부터. 흔히 쓰는 '지금보다 뒤', '그보다 뒤'를 뜻하는 '이후'는 [[以]](써 이)를 써서 以後로 쓴다. === [[고사성어]]/[[숙어]] === * 날이불치([[涅]]而[[不]][[緇]]) * [[사이비]]([[似]]而[[非]]) * 애이불비([[哀]]而[[不]][[悲]]) * 화이부동([[和]]而[[不]][[同]]) === [[인명]] === * [[윤가이]]([[尹]][[可]]而) === 기타 === * [[사이비 종교]]([[似]]而[[非]] [[宗]][[敎]]) == 자형 == ||<:>[[파일:120px-而-oracle.svg.png]]||<:>[[파일:120px-而-bronze.svg.png]]||<:>[[파일:120px-而-bigseal.svg.png]]||<:>[[파일:120px-而-seal.svg.png]]|| ||<:>갑골문||<:>금문||<:>대전체||<:>소전체|| == 부수 == [include(틀:강희자전 수록 부수)] 명칭 : 말이을이부 강희자전 안에 126번째에 수록된 부수로 강희자전안에 22 자가 수록되었다. 부수의 의부로 붙을 때에는 수염에 관한 뜻을 나타낸다. === 부수 예 === ||추가 획||한자|| ||기본자||而|| ||3획||[[耐]], [[耑]]|| === 나라별 부수명칭 === * 한국 : 말이을이부 * 중국: [ruby(而部, ruby=érbù)] * 일본 : しこうして * 미국 : Radical and [[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3급 한자]][[분류:제부수 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