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 -5px; font-size: 40px" 聽}}}들을 청 || ||<-2> {{{#!wiki style="margin: -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耳|{{{#000,#fff 耳}}}]], 16획}}} ||<-2> {{{#!wiki style="margin: -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22획}}} || ||<-2> {{{#!wiki style="margin: -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 -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 -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 -2px" {{{#000,#fff 4급}}}}}}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 -2px" チョウ, {{{#c88 テイ}}}}}}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 -2px" き-く, {{{#c88 ゆる-す}}}}}}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 -2px" tīng{{{#c88 }}}}}} || ||<-8> {{{#!wiki style="margin: -2px; font-size: 10px; text-align: 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聽은 ''''들을 청''''이라는 [[한자]]로, '듣다'를 뜻한다. == 상세 == ||[[파일:durulcheong.gif]]|| || 聽의 획순 || ||[[파일:durulcheong2.jpg]]|| || 聽의 자형 || 뜻을 나타내는 [[耳]](귀 이), [[㥁]](클 덕)과 음을 나타내는 [[𡈼]](빼어날 정)[* 壬과 비슷하지만 아래 획이 위 획보다 길다. 하지만 요즘에는 잘 구분하지 않으며, 이 흔적은 [[呈]], [[廷]], [[望]], [[聖]] 등에 남아 있다.]으로 이루어진 [[형성자]]이다. 갑골문에서는 귀(耳)와 입 두 개(口)를 그려 '듣다'라는 뜻을 나타낸 회의자였으나, 전서체로 넘어오면서 㥁과 소리를 나타내는 [[𡈼]]이 추가되어 형성자로 바뀌었다. 소리가 잘 들리도록 귀(耳)를 세워(㥁) 듣는다는 뜻으로 쓰인다. 일본에서는 소리 부분인 𡈼을 빼고 㥁의 가로획을 빼서 聴으로 쓴다. [[간체자]]인 [[听]]은 원래는 '웃을 은'이라는 글자이다. 하지만 한국이든 일본이든 중국이든 '웃다'라는 의미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백이면 백 [[笑]]를 쓴다. [[유니코드]]는 U+807D에 배정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SGJWP(尸土十田心)로 입력한다. == 용례 == === [[단어]] === * 가청음([[可]]聽[[音]]) * 가청음파([[可]]聽[[音]][[波]]) * [[경청]]([[傾]]聽) * [[공청회]]([[公]]聽[[會]]) * [[난청]]([[難]]聽) * [[도청(범죄)|도청]]([[盜]]聽) * 방청([[傍]]聽) * [[방청객]]([[傍]]聽[[客]]) * [[보청기]]([[補]]聽[[器]]) * [[불청]]([[不]]聽) * 이불청심불번([[耳]][[不]]聽[[心]][[不]][[煩]]) * [[시청#s-1|시청]]([[視]]聽) * 시청각([[視]]聽[[覺]]) * 시청각실([[視]]聽[[覺]][[室]]) * [[시청료]]([[視]]聽[[料]]) * [[시청률]]([[視]]聽[[率]]) * [[시청자]]([[視]]聽[[者]]) * 애청([[愛]]聽) * 애청자([[愛]]聽[[者]]) * [[청각]](聽[[覺]]) * [[청각장애인]](聽[[覺]][[障]][[碍]][[人]]) * [[청문회]](聽[[聞]][[會]]) * 청중(聽[[衆]]) * 청취(聽[[取]]) * 청취기(聽[[取]][[器]]) * 청취료(聽[[取]][[料]]) * 청취서(聽[[取]][[書]]) * 청취율(聽[[取]][[率]]) * 청취자(聽[[取]][[者]]) === [[고사성어]]/[[숙어]] === * 도청도설([[道]]聽[[塗]][[說]]) * [[만패불청]]([[萬]][[霸]][[不]]聽) * [[수렴청정]]([[垂]][[簾]]聽[[政]]) === [[인명]] === === [[지명#s-2]] === *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파주)|적성면]] [[청송로]](聽[[松]][[路]]) * [[경기도]] [[파주시]] [[파평면]] [[청송로]](聽[[松]][[路]]) *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청금로]](聽[[琴]][[路]]) === [[창작물]] === * [[청송지남]](聽[[訟]][[指]][[南]]) * [[難聴系男子が倒せない]] * [[ねえ、聴いてる ?]] * [[S17.声を聴かせて]] * [[君はロックを聴かない]]([[너는 록을 듣지 않아]]) * [[未来の音が聴こえる]]([[미래의 소리가 들려와]]) === 기타 === * [[청취불가]](聽[[取]][[不]][[假]]) == 유의자 == * [[聆]](들을 령) * [[𤃀]]^^[⿰氵隷]^^(들을 례) * [[䏃]](들을 명) * [[聞]](들을 문)[* 뉘앙스가 약간 다른데, 聽이 '의지를 갖고 집중해 듣는 행위'를 뜻한다면, 聞은 '우연한 기회로 어떤 사실을 듣는 행위'를 뜻하는 경우가 많다. 전자는 'listen to', 후자는 'hear'와 통한다 봐도 얼추 맞는다.] * [[㕫]](들을 방) * [[䎸]](들을 오) == 상대자 == * [[聱]](듣지아니할 오)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德]](큰 덕) * [[㯖]](처마 적, 땅이름 덕) * [[聼]]/[[𦗟]]^^[⿰耳𢛳]^^(들을 청)[* 聽(들을 청)의 [[속자]]] * [[𥊸]]^^[⿰目𢛳]^^(졸린눈매 특) * [[𫣜]]^^[⿰亻𢛳]^^ * [[𭢙]]^^[⿰扌𢛳]^^ * [[𭲖]]^^[⿰氵𢛳]^^ * [[𰯕]]^^[⿰⺼𢛳]^^ * [[𱴱]]^^[⿰石𢛳]^^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廳]]/[[㕔]](관청 청) [[분류:4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