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萊}}}명아주 래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艸|{{{#000,#fff 艸}}}]], 8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2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2급 한자|{{{#000,#fff 2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ライ}}}}}}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あかざ, あれち}}}}}}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lái{{{#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萊는 ''''명아주 래''''라는 [[한자]]로, '[[명아주]]', '묵정밭'을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명아주 || || {{{-1 '''음'''}}} ||래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lái || || {{{-1 '''[[광동어]]'''}}} ||loi^^4^^ || || {{{-1 '''[[객가어]]'''}}} ||lòi || || {{{-1 '''[[민북어]]'''}}} ||lǎi || || {{{-1 '''[[민동어]]'''}}} ||lài || || {{{-1 '''[[민남어]]'''}}} ||lâi || || {{{-1 '''[[오어]]'''}}} ||le (T3) || ||<-3> || ||<|2> '''[[일본어]]''' || {{{-1 '''음독'''}}} ||{{{#c88 ライ}}} || || {{{-1 '''훈독'''}}} ||{{{#c88 あかざ, あれち}}} || ||<-3> || ||<-2> '''[[베트남어]]''' ||lai || [[유니코드]]에는 U+840A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TDOO(廿木人人)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艸]](풀 초)와 소리를 나타내는 [[來]](올 래)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 용례 == === [[단어]] === === [[고사성어]]/[[숙어]] === * 봉래약수([[蓬]]萊[[弱]][[水]]) === [[인명]] === * [[강래연]]([[姜]]萊[[燕]]) * [[고나래]]([[高]][[娜]]莱) * [[우얼카이시 둬라이티]]([[吾]][[尔]][[开]][[希]] [[多]]莱[[特]]) * 이래([[李]]莱) * [[호라이산 카구야]]([[蓬]]莱[[山]] [[輝]][[夜]]) === [[지명#s-2]] === * [[동래]]([[東]]萊) * [[동래구]]([[東]]萊[[區]]) == 유의자 == * [[藜]](명아주 려) * [[𦳞]](명아주 배) * [[蔏]](명아주 상) * [[茟]](명아주 율) * [[藋]](명아주 조)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箂]](대나무이름 래) * [[𥓜]] * [[𫇏]] * [[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