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준3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include(틀:국명·지명 한자 약칭)]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蘇}}}되살아날 소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艸|{{{#000,#fff 艸}}}]], 16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20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3급 한자|{{{#000,#fff 준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ス, ソ}}}}}}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よみがえ-る}}}}}}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sū{{{#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蘇는 ''''되살아날 소''''라는 [[한자]]로, '되살아나다', '소생(蘇生)'하다를 의미하며 [[소련]]의 약칭, 한국과 중국의 성씨로 사용된다. * [[유니코드]]: U+8607 * [[창힐수입법]]: TNFD(廿弓火木) * [[강희자전]]: 1068페이지 7번째 글자[[http://www.kangxizidian.com/kangxi/1068.gif| ]] == 상세 == 훈을 나타내는 [[艸]](풀 초)와 음을 나타내는 [[穌]](깨어날 소)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사실 蘇의 본자가 穌(U+7A4C)이다. 穌(깨어날 소) 또한 [[禾]](벼 화)가 훈을, [[魚]](물고기 어)가 음을 나타내는 형성자이다. [[이체자]]로는 苏, 甦, 蘓가 있다. 甦는 아직도 한자문화권에서 蘇와 함께 많이 혼용된다. == 자원 == ||[[설문해자]]||桂荏也。从艸穌聲。|| || ||청대[br]단옥재[br]설문해자주||'''桂荏也。'''[br]桂上鍇本有蘇字。此複寫隷字𠜂之未盡者。蘇、桂荏。釋艸文。內則注曰。薌蘇、桂之屬也。方言曰。蘇亦荏也。關之東西或謂之蘇。或謂之荏。郭樸曰。蘇、荏類。是則析言之則蘇荏二物。統言則不別也。桂荏今之紫蘇。蘇之叚借爲樵蘇。[br]'''从艸。穌聲。'''[br]素孤切。五部。[br]|| || == 서체 == ||<:>[[파일:s00306.gif]]||[[파일:L30829.gif]]|| ||<:>소전체||<:>대전체|| == 용례 == === [[단어]] === * [[독소전쟁]]([[獨]]蘇[[戰]][[爭]]) * [[소련]](蘇[[聯]]) * [[소련군]](蘇[[聯]][[軍]]) * [[소생]](蘇[[生]]) === [[인명]] === [include(틀:한국의 성씨 한자)] 15년 통계청 집계 기준 대한민국 인구 52,427명, 전체 68위의 성씨로 [[진주]](晉州)가 유일한 본관이다. 성이 [[소(성씨)|소씨]]인 사람들이 거의 이 글자를 사용. * [[마츠바라 소가쿠]]([[松]][[原]] 蘇[[岳]]) * 사소([[娑]]蘇) * [[소가 겐조]](蘇[[我]] [[源]][[造]]) * [[소가노 에미시]](蘇[[我]] [[蝦]][[夷]]) * [[소가노 우마코]](蘇[[我]] [[馬]][[子]]) * [[소가노 이루카]](蘇[[我]] [[入]][[鹿]]) * [[소가노 토지코]](蘇[[我]] [[屠]][[自]][[古]]) * [[소격달]](蘇[[格]][[達]]) * [[소진(아바타 아앙의 전설)|소진]](蘇[[進]]) * [[연개소문]]([[淵]][[蓋]]蘇[[文]]) * [[진소방]]([[榛]]蘇[[芳]]) === [[지명#s-2]] === * [[경기도]] [[안성시]] [[신소현동]]([[新]]蘇[[峴]][[洞]])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蘇[[屹]][[邑]]) * [[대전광역시]] [[동구(대전)|동구]] [[소제동]](蘇[[堤]][[洞]]) * [[장쑤성]]([[江]]蘇[[省]]) * [[전라남도]] [[여수시]] [[소호동]](蘇[[湖]][[洞]])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蘇[[伊]][[面]]) * [[소이역]](蘇[[伊]][[驛]]) * [[충청북도]] [[충주시]] [[소태면]](蘇[[台]][[面]]) * [[소비에트|소유애]](蘇[[維]][[埃]]) * [[소련|소유애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蘇[[維]][[埃]][[社]][[會]][[主]][[義]][[共]][[和]][[國]][[聯]][[盟]]), 즉 [[소련]](蘇[[聯]]) [[러시아어]] Совет([[소비에트]])를 [[음역(번역)|음역]]한 단어이다. 본래 해당 러시아어 단어는 "[[평의회]]"를 뜻하는 단어로 지명이 아니지만, [[소련]] 건국 이후 [[러시아어]] 외의 언어에서 Совет를 음차한 단어들은 대개 소련을 가리키는 지명으로 쓰인다. * [[소래포구역]](蘇[[萊]][[浦]][[口]][[驛]]) * [[쑤저우시(장쑤성)|쑤저우]](蘇[[州]]) === 기타 === * [[친소]]([[親]]蘇) === [[일본어]] === ==== [[훈독]] ==== * 蘇る(よみがえる): 되살아나다; 소생하다. 이는 甦る로 쓰기도 한다. 둘 다 많이 쓰인다. 이 단어는 언뜻 보기에 1단동사 같지만 예외로, 5단동사이다. 따라서 蘇ります(존댓말; 되살아납니다), 蘇らない(부정형; 되살아나지 않다)와 같이 활용해야 한다. ==== [[음독]] ==== * 死者蘇生(シシャソセイ): [[죽은 자의 소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