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 -5px; font-size: 40px" 裃}}}한 벌의 옷 롱 || ||<-2> {{{#!wiki style="margin: -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衣|{{{#000,#fff 衣}}}]], 6획}}} ||<-2> {{{#!wiki style="margin: -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11획}}} || ||<-2> {{{#!wiki style="margin: -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 -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 -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 -2px" {{{#000,#fff 미배정}}}}}}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 -2px" -{{{#c88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 -2px" {{{#c88 かみしも}}}}}}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 -2px" -{{{#c88 }}}}}} || ||<-8> {{{#!wiki style="margin: -2px; font-size: 10px; text-align: 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카미시모'''(かみしも, 裃)는 [[일본]]의 [[국자(한자)|국자]](國字)인 와세이칸지(和製漢字, 화제한자)로, [[한국]]과 [[중국]] 등 다른 [[한자문화권]]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일본어]] 고유의 한자이다. 이 한자가 나타내는 카미시모는 카타기누(肩衣, 어깨뽕이 심하게 들어간 민소매옷)라고 하는 '''상의'''와 [[하카마]]([[袴]])라고 하는 '''하의'''가 같은 색으로 이루어진 세트를 가리키며, 주로 [[사무라이]]의 예복으로 쓰였다. 당초에는 한자로 쓸 때도 上下, 말 그대로 '위아래'라고 썼으나, 일상적인 의미의 '위아래'와 구별하기 위해 옆에 衤(옷의변)을 붙여서 𧘕𧘔라고 쓰게 되었다. 그리고 이후 두 글자가 하나로 합쳐져 裃, 즉 지금의 형태가 되었다. 비록 한국어로는 훈도 음도 없는 한자이나, 이 나무위키 문서에서는 네이버 한자 사전을 기준으로 '한 벌의 옷 롱'이라는 음과 뜻을 적용하였다. [[유니코드]]에는 U+88C3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에서는 中卜一卜 (LYMY)으로 입력한다. 일본에서 만든 한자다 보니 [[강희자전]]에도 수록되지 않았는데, 만약 수록한다면 [[http://www.kangxizidian.com/kangxi/1116.gif|1116쪽]]에 수록해야 하겠다. == 상세 == == 용례 == === [[단어]] === === [[고사성어]]/[[숙어]] === * 裃(かみしも)を着(き)る: 격식을 차리다, 긴장한 모습을 하다[* 직역하면 '카미시모를 입다'] * 裃(かみしも)を脱(ぬ)ぐ: 격식을 차리지 않다, 소탈해지다[* 직역하면 '카미시모를 벗다'] === [[인명]] === === [[지명#s-2]] === === [[창작물]] === == 유의자 == == 상대자 ==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峠]] * [[垰]] == 여담 == [[네이버]] 한자사전에서는 '한 벌의 옷 롱'으로 표기하고 있으나 일본 고유 한자이므로 제대로 된 훈음이 있는 것은 원래 아니다. 裃의 음을 '롱'으로 표기한 것은 裃의 오른쪽 부분의 [[𠧗]](희롱할 롱)[* [[고자(동음이의어)#s-9|고자]]이다.] 때문으로 보인다. [[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일본 고유 한자]][[분류:음을 알 수 없는 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