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4급 한자]]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豫}}}미리 예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豕|{{{#000,#fff 豕}}}]], 9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6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4급 한자|{{{#000,#fff 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ヨ{{{#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あらかじ-め, かね-て}}}}}}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yù{{{#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豫는 ''''미리 예''''라는 [[한자]]이다. [[중국어]]에서는 '즐겁다', '기쁘다'로 주로 쓰인다. 중국어에서 '미리 예'라는 뜻으로는 [[통가자]]인 [[預]](간체자로는 预)를 많이 쓴다. == 상세 == [[預]](미리 예)와 통자(通字)다. 음을 나타내는 [[予]](나 여)와 훈을 나타내는 [[象]](코끼리 상)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약자로는 予만을 따로 쓰기도 한다. [[유니코드]]에는 U+8C6B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弓弓弓日人(NNNAO)으로 입력한다. 뜻이 매우 많은 한자로, 한일의 주 의미인 '미리'나 중국의 주 의미인 '즐겁다', '기쁘다' 모두 고전 한문에서는 다 활용된다. 이외에도 '큰 코끼리', '편안하다', '게으르다', '주저하다', '참여하다', '속이다'와 같은 뜻이 있다. 지명으로는 고대 [[예주]]나, 현대의 [[허난성]]을 가리킨다. 훈음이 같은 한자로는 [[預]](미리 예), [[敍]](펼 서)가 있는데, 豫와 預는 통가자지만 일상 생활에서는 쓰임새가 미묘하게 다르니 주의해야 한다. 특히 '맡기다'라는 뜻은 豫에는 없다. '펼 서'라는 훈음으로는 敍를 통상적으로 쓰지 豫를 쓰지는 않는다. == 용례 == === [[단어]] === * 예감(豫[[感]]) * 예견(豫[[見]]) * 예고(豫[[告]]) * 예고편(豫[[告]][[篇]]) * 예과(豫[[科]]) * 의예과([[醫]]豫[[科]]) * 한의예과([[韓]][[醫]]豫[[科]]) * 예기(豫[[期]]) * [[예단]](豫[[斷]]) * 예매(豫[[賣]]) * 예매(豫[[買]]) * 예방(豫[[防]]) * 예방약(豫[[防]][[藥]]) * [[예방의학]](豫[[防]][[醫]][[學]]) * 예방의학과(豫[[防]][[醫]][[學]][[科]]) * [[예방전쟁]](豫[[防]][[戰]][[爭]]) * [[예방접종]](豫[[防]][[接]][[種]]) * [[예방주사]](豫[[防]][[注]][[射]]) * 예방책(豫[[防]][[策]]) * 예보(豫[[報]]) * [[일기예보]]([[日]][[氣]]豫[[報]]) * 예비(豫[[備]]) * [[예비군]](豫[[備]][[軍]]) * 예비금(豫[[備]][[金]]) * 예비대(豫[[備]][[隊]]) * 예비사단(豫[[備]][[師]][[團]]) * 예비소집(豫[[備]][[召]][[集]]) * 예비소집일(豫[[備]][[召]][[集]][[日]]) * [[예비역]](豫[[備]][[役]]) * 예비품(豫[[備]][[品]]) * [[예산]](豫[[算]]) * [[예산선]](豫[[算]][[線]]) * [[예산제약]](豫[[算]][[制]][[約]]) * [[예산집합]](豫[[算]][[集]][[合]]) * [[기획예산처]]([[企]][[劃]]豫[[算]][[處]]) * [[예산결산특별위원회]](豫[[算]][[決]][[算]][[特]][[別]][[委]][[員]][[會]]) * 예상(豫[[想]]) * 예선(豫[[選]]) * 예선전(豫[[選]][[戰]]) * 예습(豫[[習]]) * [[예시]](豫[[示]]) * 예심(豫[[審]]) * [[예약]](豫[[約]]) * [[예언]](豫[[言]]) * [[예언자]](豫[[言]][[者]]) * [[예열]](豫[[熱]]) * 예정(豫[[定]]) * [[예정설]](豫[[定]][[說]]) * 예정일(豫[[定]][[日]]) * 예정지(豫[[定]][[地]]) * [[예지#s-1]](豫[[知]]) * 예지력(豫[[知]][[力]]) * [[예지몽]](豫[[知]][[夢]]) * 예측(豫[[測]]) * 예행(豫[[行]]) * 예행연습(豫[[行]][[練]][[習]]/豫[[行]][[鍊]][[習]]) * 예후(豫[[後]]) * [[유예]]([[猶]]豫)[* '주저하다'의 의미로 쓰였다.] * [[기소유예]]([[起]][[訴]][[猶]]豫) * [[선고유예]]([[宣]][[告]][[猶]]豫) * 유예기간([[猶]]豫[[期]][[間]]) * [[입학유예]]([[入]][[學]][[猶]]豫) * [[집행유예]]([[執]][[行]][[猶]]豫) * 판결유예([[判]][[決]][[猶]]豫) === [[고사성어]]/[[숙어]] === * 일유일예([[一]][[遊]]一豫) 보기 드물게, 豫가 '미리'가 아닌 '놀다'의 뜻으로 쓰였다. === [[인명]] === * [[곽예]]([[郭]]豫) * [[김나예]]([[金]][[娜]]豫) * [[백예빈]]([[白]]豫[[彬]]) * [[요모츠 히사미]](豫[[母]][[都]] [[日]][[狭]][[美]]) * [[장대예]]([[張]][[大]]豫) === [[지명#s-2]] === * 豫[Yù]: [[허난성]](河南省)의 간칭. === [[창작물]] === * [[予告]] === 기타 === * [[예랑#s-2]](豫[[郞]]): '예비 신랑'의 준말 * 예신(豫[[新]]): '예비 신부'의 준말 === [[일본어]] === 비상용 [[훈독]]이 있을 뿐, 상용 훈독은 없으며 [[음독]]은 있다. ==== [[음독#s-1]] ==== よ. * [ruby(予想, ruby=よそう)] : 예상 * [ruby(予報, ruby=よほう)] : 예보 * [ruby(予定, ruby=よてい)] : 예정 * [ruby(予測, ruby=よそく)] : 예측 === [[중국어]] === 豫[yù]: 즐겁다, 편안하다, 기쁘다. 놀다. 현대 중국에서는 予를 '나', '주다'로 쓰지 豫의 약자로는 쓰지 않으니 주의해야 한다. == 유의자 == * [[敍]](펼 서) * [[預]](미리 예)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鐌]](그릇꼭지 상) * [[蟓]](누에 상) * [[像]](모양 상) * [[鱌]](물고기이름 상) * [[嶑]](산이름 상) * [[橡]](상수리 상) * [[潒]](세찰 상, 펀할 탕) * [[襐]](수식 상) * [[𩞧]](점심 상) * [[𤩪]](코끼리 상)[* [[象]](코끼리 상)의 [[동자#s-2]]] * [[䂊]](창 여, 맡길/미리 예) * [[𢠽]](방자할 탕) * [[𢒶]] * [[𢄵]] * [[𢇐]] * [[𢐣]] * [[𤡸]] * [[𪮱]] * [[𧬛]] * [[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