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급 한자]][[분류:갖은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2]] [include(틀:숫자 한자)]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貳}}}두/갖은두 이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貝|{{{#000,#fff 貝}}}]], 5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2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2급 한자|{{{#000,#fff 2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ニ, {{{#c88 ジ}}}}}}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ふた, ふた-つ}}}}}}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èr{{{#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둘, 갖은둘 || || {{{-1 '''음'''}}} ||이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èr || || {{{-1 '''[[광동어]]'''}}} ||ji^^6^^ || || {{{-1 '''[[객가어]]'''}}} ||ngi || || {{{-1 '''[[민북어]]'''}}} ||nī || || {{{-1 '''[[민동어]]'''}}} ||nê || || {{{-1 '''[[민남어]]'''}}} ||lī[* 타이베이 등] / jī[* 가오슝 등] || || {{{-1 '''[[오어]]'''}}} ||hher(T3)[*文 [[문독]]] / nyi(T3)[*白 [[백독]]] || ||<-3> || ||<|2> '''[[일본어]]''' || {{{-1 '''음독'''}}} ||ニ, {{{#c88 ジ}}} || || {{{-1 '''훈독'''}}} ||{{{#c88 ふた, ふた-つ}}} || ||<-3> || ||<-2> '''[[베트남어]]''' ||nhị || [[유니코드]]에는 U+8CB3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戈心一一金(IPMMC)으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貝]](조개 패)와 소리를 나타내는 弍(두 이)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여기서 弍는 [[二]](두 이)의 고자(古字)이므로 [[회의자]]로도 볼 수 있다. 본래의 뜻은 '버금가다', '부차적이다'이나, '마음이 둘이다', '배신하다'와 같은 뜻도 가지고 있으며, 현대에는 二 자의 [[갖은자]]로 제일 흔하게 쓰인다. == 용례 == === [[단어]] ===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권이원]]([[權]]貳[[元]]) * [[니헤이 츠토무]](弐[[瓶]] [[勉]]) * [[아오니사이]]([[蒼]]弐) * [[이공삼(약한영웅)|이공삼]](貳[[凌]][[三]]) === [[지명#s-2]] === == 유의자 == * [[兩]](두 량) * [[二]](두 이) * [[再]](두 재)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신자체]]''' 弐 * [[式]](법 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