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5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買}}}살 매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貝|{{{#000,#fff 貝}}}]], 5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2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5급 한자|{{{#000,#fff 5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バイ{{{#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か-う{{{#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mǎi{{{#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買는 ''''살 매''''라는 [[한자]]로, '사다'를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사다 || || {{{-1 '''음'''}}} ||매 || ||<-3> || ||<|6>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mǎi || || {{{-1 '''[[광동어]]'''}}} ||maai^^5^^ || || {{{-1 '''[[객가어]]'''}}} ||mâi || || {{{-1 '''[[민북어]]'''}}} ||mǎi || || {{{-1 '''[[민남어]]'''}}} ||mái[*文 [[문독]]] / bóe[*白 [[백독]], 타이베이 등], bé[* 백독, 가오슝 등] || || {{{-1 '''[[오어]]'''}}} ||ma (T3) || ||<-3> || ||<|2> '''[[일본어]]''' || {{{-1 '''음독'''}}} ||バイ || || {{{-1 '''훈독'''}}} ||か-う || ||<-3> || ||<-2> '''[[베트남어]]''' ||mãi || [[유니코드]]에는 U+8CB7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田中月山金(WLBUC)으로 입력한다. [[网]](그물 망)과 [[貝]](조개 패)가 합쳐진 [[회의자]]이다. [[금문]]에서는 주로 족휘(族徽)나 인명으로 사용되었지만, 지금은 '사다'라는 뜻으로 쓰인다.[* 金信周: 〈亢鼎 銘文 研究〉, 《中國文學硏究》 제52집, 2013년, 45-75 쪽] 일본 [[신자체]]에서는 정자체인 買를 그냥 그대로 쓴다. [[賣]]가 売로 약자화된 것과는 다른 점이다. 단, 중국 [[간체자]]에서는 賣가 卖로 간화된 형태를 따라 卖에서 위의 [[十]](열 십)이 빠진 买로 간화된 형태로 쓴다. == 용례 == === [[단어]] === * [[강매]]([[强]]買) * [[구매]]([[購]]買) * [[구매대행]](購買[[代]][[行]]) * [[매매]]([[賣]]買) * [[매매혼]]([[賣]]買[[婚]]) * [[반대매매]]([[反]][[對]][[賣]]買) * [[성매매]]([[性]][[賣]]買) * [[인신매매]]([[人]][[身]][[賣]]買) * [[장기매매]]([[臟]][[器]][[賣]]買) * [[할부매매]]([[割]][[賦]][[賣]]買) * [[매수]](買[[收]]/買[[受]]/買[[售]]) * [[공매수]]([[空]]買收) * ~~[[매북|매수전북]](買收[[全]][[北]])~~ * [[주식공개매수]]([[株]][[式]][[公]][[開]]買收) * ~~[[KBO 리그 심판 최규순 금전요구 사건|프로야구 심판 매수]](Pro[[野]][[球]][[審]][[判]]買收)~~ * 매입(買[[入]]) * [[루이지애나 구입|루이지애나 매입]](Louisiana買入) * [[알래스카 조약|알래스카 매입]](Alaska買入) * 매점(買[[占]]) * [[매점매석]](買占[[賣]][[惜]]) * [[불매]]([[不]]買) * [[불매운동]](不買[[運]][[動]]) * [[예매]]([[豫]]買) * 환매([[還]]買) * [[환매조건부채권]](還買[[條]][[件]][[附]][[債]][[券]]) === [[고사성어]]/[[숙어]] === * [[매사마골]](買死馬骨) === [[인명]] === * [[석매]]([[石]]買) * [[왕매]]([[王]]買) === [[지명#s-2]] === * [[경상북도]] [[경주시]] [[재매정길]]([[財]]買[[井]]길) * [[매소홀로]](買[[召]][[忽]][[路]]) === [[창작물]] === * [[买买买]]([[마이마이마이]]) == 유의자 == * [[購]](살 구) == 상대자 == * [[賣]](팔 매) * [[販]](팔 판)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정자(한자)|정자]]''' 買 * [[罵]](꾸짖을 매) * [[賣]](팔 매) * [[員]](인원 원) * '''[[간체자]]''' 买 * [[卖]](살 매) - [[賣]]의 간체자. * [[头]](머리 두) - [[頭]]의 간체자. * [[实]](열매 실) - [[實]]의 간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