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xternal/p.eagate.573.jp/201506_rb_02.jpg]] ||<:>{{{+3 [ruby(踊,ruby=おど)]るフィーバーロボ}}}|| ||<:>{{{-3 {{{#808080 FEVER ROBO}}}}}}[br]'''춤추는 피버로보'''|| [목차] == 개요 == [[팝픈뮤직]] 14 피버의 수록곡. 아티스트 명의는 ダニエル&eimyとよしくん(다니엘&eimy와 요시군). 작곡 및 작사는 八戸亀生裸(얏토카메나마라)라는 명의를 사용한 [[wac]]. ダニエル(다니엘)은 팝픈뮤직의 프로그래머, eimy는 팝픈뮤직 13 카니발부터 참여한 팝픈뮤직의 디자이너이자, [[この青空の下で]]을 부른 eimy와 같은 사람. 그 외 [[Leaving... |Leaving...]], [[esrev:eR]]등 여러 노래를 부르기도 했다. 요시군은 [[DJ YOSHITAKA]]. V-RARE SOUNDTRACK vol.16에 롱버전이 수록되었고, [[KHAMEN BREAK]]에 wac을 대표하는 노래로 매쉬업되었다. [[MVA]]에 이곡의 '합체다'구간이 샘플링으로 들어간다. == 가사 == === 게임 버전 === ||<#eeddaa>(다니엘) ああ 風が語りかける 아아 바람이 말을 거네 俺に話しかける 내게 말을 거네 作ってくれたダイナミック大工さん 만들어 준 다이나믹 목수 아저씨|| ||<#aaeedd>(요시군) たかが14分の1と 고작 14분의 1이라고 侮るやつらに 깔보는 녀석들에게 指先一つで 손가락 하나로 「ミサイル発射ー!」 「미사일 발사!」|| ||<#eeaabb>(eimy) あなたの鋼の横顔見つめていた 당신의 강철의 옆얼굴을 보고 있었어 運命と(誓いと)勇気と(愛を) 운명과 (맹세와) 용기와 (사랑을) アフロに変えて! 아프로로 바꿔서!|| ||「合体だー!」 「합체다!」|| ||<#aabbee>(전체 합창) フィーバーロボ ロボ ロボロボ 피버로보 로보 로보로보 ロボは恋の合言葉 로봇은 사랑의 암호 ロボ ロボ ロボ 素敵さ 로보 로보 로보 멋져 揺れる想いこれが恋かな? 흔들리는 마음 이것이 사랑인걸까?|| ||「合体だー!」 「합체다!」|| ||<#aabbee>(전체 합창) フィーバーロボ ロボ ロボロボ 피버 로보 로보 로보로보 くっつくマシンは14機 합체한 머신은 14기 ロボ ロボ ロボ 無敵さ 로보 로보 로보 무적이야 今だ踊れ騒げフィーバーロボ 지금이다 춤춰라 소리쳐라 피버 로보|| === 롱 버전[* 출처는 [[http://blog.naver.com/waclover/40179273079|이곳]] ] === ||(나레이션) 待ってダーリン! 기다려 달링! フィーバーロボがまだ出来てないわ! 피버로보가 아직 다 안 됐어! フィーバーロボをレッツ作るのよ! 피버로보를 렛츠 만드는 거야!|| ||よくやった、フィーバーロボの完成だ! 잘 했어, 피버로보의 완성이다!|| ||<#eeddaa>(다니엘) ああ 風が語りかける 아아 바람이 말을 거네 俺に話しかける 내게 말을 거네 作ってくれたダイナミック大工さん 만들어 준 다이나믹 목수 아저씨|| ||<#aaeedd>(요시군) たかが14分の1と 고작 14분의 1이라고 侮るやつらに 깔보는 녀석들에게 指先一つで 손가락 하나로 「ミサイル発射ー!」 「미사일 발사!」|| ||<#eeaabb>(eimy) あなたの鋼の横顔見つめていた 당신의 강철의 옆얼굴을 보고 있었어 運命と(誓いと)勇気と(愛を) 운명과 (맹세와) 용기와 (사랑을) アフロに変えて! 아프로로 바꿔서!|| ||「合体だー!」 「합체다!」|| ||<#aabbee>(전체 합창) フィーバーロボ ロボ ロボロボ 피버로보 로보 로보로보 ロボは恋の合言葉 로봇은 사랑의 암호 ロボ ロボ ロボ 素敵さ 로보 로보 로보 멋져 揺れる想いこれが恋かな? 흔들리는 마음 이것이 사랑인걸까?|| ||(나레이션) まだ敵は倒れてないぞ!気を抜くな! 아직 적은 쓰러지지 않았어! 방심하지 마!|| ||<#eeddaa>(다니엘) ああ 君は知っていたか 아아 너는 알고 있었니 町の噂ですか 마을의 소문인가요 こんな時代やさかい左官屋さん 이런 시대니까 미장이 아저씨|| ||<#aaeedd>(요시군) オレが乗り込んだ右手 내가 탄 오른손으로 パンチはしないで 펀치는 하지 말아 줘 四面楚歌じゃやりきれません 사면초가는 견딜 수가 없어요 (これじゃなーい!) (이게 아니야ㅡ!)|| ||<#eeaabb>(eimy) あなたの針金アフロがもつれていた 당신의 철사 아프로가 엉켜 있었어 正義と(本音と)涙と(嘘を) 정의와 (본심과) 눈물과 (거짓을) 使いこなして! 충분히 발휘하며!|| ||「ガッカリだー!」 「실망이다!」[* 합체는 がったい, 실망은 がっかり로 음이 비슷한 것을 이용한 말장난.]|| ||<#aabbee>(전체 합창) フィーバーロボ ロボ ロボロボ 피버로보 로보 로보로보 合点承知の心意気 뭐든 맡겠다는 기상 ロボ ロボ ロボ 小粋さ 로보 로보 로보 멋있어 押して引いてそれが大人さ! 밀고 당기고 그것이 어른이야!|| ||(나레이션) 俺たちフィーバー戦士 ポップン14! 우리들 피버 전사 팝픈 14! 思い出をありがとう!! 추억을 줘서 고마워!! ビフィズ・ド・バクテリーウム!! 비피더스 박테리움!! オプションはじめました! 옵션 시작했습니다! イッヒ リーベ ディッヒー!! 이히 리베 디히!!|| ||<#eeaabb>(eimy) 繋いだ手と手が解ける時くるなら 잡은 손과 손이 풀릴 때가 온다면 1人と(2人と)3人(4人) 한 명과 (두 명과) 세 명 (네 명) 集め直して! 다시 모아서!|| ||「よーしお前ら! オレのアフロとお前のアフロを足して2で割ってみろ!」 "좋아 너희들! 내 아프로와 네 아프로를 더해서 둘로 나눠 봐!"|| ||「合体だー!」 "합체다ㅡ!"|| ||<#aabbee>(전체 합창) フィーバーロボ ロボ ロボロボ 피버로보 로보 로보로보 くっつくマシンは14機 합체한 머신은 14기 ロボ ロボ ロボ 無敵さ 로보 로보 로보 무적이야 今だ踊れ騒げフィーバーロボ 지금이다 춤춰라 소리쳐라 피버로보 ロボ ロボ ロボロボ 로보 로보 로보로보 ロボの中身は14人 로보 안에는 14명 ロボ ロボ ロボ ララララ... 로보 로보 로보 라라라라... 君も僕もみんなフィーバーロボ! 너도 나도 모두 피버로보!|| == [[팝픈뮤직]] == === 踊るフィーバーロボ === |||||| [[파일:external/remywiki.com/14_FEVER_ROBO.png]] ||<#FFFFD2> [[BPM]] || 160 || ||<#FFFFD2>곡명|||||||| '''踊るフィーバーロボ''' || |||||||||| フィーバーロボが完成だ!発進だ!合体だ!踊るんだ!すごいぞロボ!!好きよロボ!!! 피버 로보가 완성이다! 출발이다! 합체이다! 춤추는 거야! 굉장해 로보!! 좋아해 로보!! || ||<#FFFFD2>아티스트 명의|||||||| ダニエル&eimyとよしくん || ||<#FFFFD2>장르명|||| FEVER ROBO |||| 피버 로보 || ||<#FFFFD2>담당 캐릭터|||| FEVER ROBO |||| 피버 로보 || ||<#FFFFD2>수록된 버전|||||||| pop'n music 14 FEVER! || ||<#FFFFD2>[[팝픈뮤직/난이도 체계|난이도]]|| {{{#blue EASY}}} || {{{#green NORMAL}}} || {{{#orange HYPER}}} || {{{#red EX}}} || ||<#FFFFD2>43단계|| {{{#blue 7}}} || {{{#green 25}}} || {{{#orange 37}}} || {{{#red 42}}} || ||<#FFFFD2>50단계|| {{{#blue --}}} || {{{#green 31}}} || {{{#orange 43}}} || {{{#red 48}}} || ||<#FFFFD2>노트 수|| {{{#blue 258}}} || {{{#green 497}}} || {{{#orange 949}}} || {{{#red 1311}}} || * [[팝픈뮤직/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팝픈뮤직 14 FEVER!의 해금이벤트 '피버전사 팝픈 14'의 특수해금곡으로, 작중 컨셉인 전대물 '피버전사 팝픈14'의 합체 로봇의 테마송. 당시 [[DJ SIMON]]이 작곡한 테마송 형식의 오프닝곡과, 엔딩곡도 같이 수록됐지만 인지도는 이 곡과 넘사벽이다. [[파일:external/3ed692c2a16315d122f591a3441277b876ff4f1a933f39d6012696a471a4b304.jpg]] 해금 방법은 '피버전사 팝픈 14'의 주차별 해금이벤트와 별도로 순수하게 플레이 시간만을 합산해 게임 종료시 이 시간을 %로 계산해 게이지가 올라가고 게이지가 100%가 되면 해금되는 방식. 한마디로 플레이한 시간이 길면 해금이 빨라지는 방식이다. 당시 해금을 빨리하기 위해 기계 대여 후 1곡 설정으로 바꾼다든지, [[e-motion]]같이 짧은 곡[* 결국 피버로보를 빨리 뽑으려면 긴곡을 많이 하는게 유리하다는 결론이 나온다.]만 플레이하는 경우가 많아서 도입했던 듯. 단, 팝픈뮤직 14까지는 해금이 기계별 해금이였기 때문에 같은 게임장이라도 다른 기계에서는 해금이 되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이렇게 완성된 피버로보를 타고 [[HELL(팝픈뮤직)|지옥]]으로 내려가 최후의 결전을 치른다는 이벤트 설정 때문에 원래는 7주차 쯤[* 최종 페이즈 공개까지 8주 정도 걸리는 이벤트다.] 해금돼야 적절했지만. 그러나 저러나 결국엔 장사 잘되는게 깡패라고(...) 번화가에 위치한 게임장에서는 플레이 타임이 순식간에 차버려서 이벤트 시작 2주 만에 피버로보를 해금해버리는 경우도 비일비재 했다. 덕분에 곡 자체는 금방 알려진 편. 위 문단에 나와있는 설정상 7주차까지 피버로보를 완성하지 못하면 HELL14 코스 해금을 위한 7주차 최종 이벤트 '地獄でフィーバー! ポップン14'가 시작되지 않았다. 위쪽 롱버전 가사에 있는 待ってダーリン! フィーバーロボがまだ出来てないわ! (기다려 달링! 피버로보가 아직 다 안 됐어!)가 미완성시 나왔던 대사. 말은 이렇지만 사실 이벤트 최종까지 해금을 안한 곳이 거의 없어 아케이드에서는 이 메세지를 보기 힘들었고, 이벤트가 그대로 이식됐던 PS2버전에서 이벤트만 쭉쭉 달성 할 경우 이 메세지를 보면서 더 이상 진행이 안되기도 한다. [youtube(tyzKEkHbrVA, width=420, height=315)] EX채보는 연타, 계단, 동시치기 등 여러가지 보면 요소가 섞인 종합력 보면. 다만, 3연타 동시치기를 적당히 뭉개다가는 한번에 서너개씩 틀리게되는 경우가 많으니 주의. 확실하게 쳐줘야 게이지를 유지하기에 편할것이다. 이 패턴때문에 초견살이 심한편. 랜덤 난이도는 동 레벨에서는 어려운 편에 속해있다. 하이퍼 채보는 전체적으로 EX의 열화판으로 43중에선 그럭저럭 쉬운 편이다. ==== [[踊るフィーバーロボ/코멘트|아티스트 코멘트]] ==== [[踊るフィーバーロボ/코멘트]] 참조. === 踊るフィーバーロボ Eu-Robot mix === |||||| [[파일:external/remywiki.com/17_FEVER_ROBO_REMIX.png]] || [[BPM]] || 163 || ||곡명|||||||| '''踊るフィーバーロボ Eu-Robot mix''' || |||||||||| フィーバーロボリミックスが完成だ!前にもまして踊るんだ!すごいぞロボ!!いい加減にしなさいよロボ!!! 피버 로보 리믹스 완성이다! 이전보다도 춤추는거야! 굉장해 로보! ! 적당히 하라고 로보! ! ! || ||아티스트 명의|||||||| D&E&Y Rmx by [[kors k|kors k as disconation]] || ||장르명|||| FEVER ROBO REMIX |||| 피버 로보 리믹스 || ||담당 캐릭터|||| [[MZD]] |||| MZD || ||수록된 버전|||||||| pop'n music 17THE MOVIE || ||[[팝픈뮤직/난이도 체계|난이도]]|| {{{#blue EASY}}} || {{{#green NORMAL}}} || {{{#orange HYPER}}} || {{{#red EX}}} || ||43단계|| {{{#blue 14}}} || {{{#green 24}}} || {{{#orange 32}}} || {{{#red 41}}} || ||50단계|| {{{#blue --}}} || {{{#green 28}}} || {{{#orange 38}}} || {{{#red 47}}} || ||노트 수|| {{{#blue 265}}} || {{{#green 448}}} || {{{#orange 840}}} || {{{#red 1361}}} || * [[팝픈뮤직/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유로비트]]로 리믹스 된 버전이 팝픈뮤직 17 THE MOVIE에 수록되었다. 당작의 해금이벤트인 팝픈영화제의 해금곡. 리믹스 담당은 [[kors k]]. [youtube(KHEVwiz5FvY, width=480, height=360)] 원곡에 비해 세로연타, 24비트 계단이 줄어들었다. 그대신 꾸준히 내려오는 발광배치와 마지막의 이중 트릴은 주의. == [[리플렉 비트 시리즈]] == ||신진기예 (였지만 그 이후 전혀 보이지 않는) 작곡가 [[wac|얏토카메나마라(八戸亀生裸) 선생님]]과 유쾌한 동료들이 벌였던 일생일대의 초 멋있는 로봇 송입니다. 이 [[DJ YOSHITAKA|요시군]]의 열창이 후에 [[VENUS|VENUS]]의 탄생으로 이어졌다고 말해도 과언입니다. - [[wac]], BEMANI MUSIC FOCUS 아티스트 코멘트|| |||||||||||||| [[리플렉 비트]] 난이도 체계 || || [[BPM]] |||||||||||| 난이도 || ||<|2> 160[BR]163(SP) || {{{#green BASIC}}} || {{{#orange MEDIUM}}} || {{{#red HARD}}} || {{{#FF0090 S}}}{{{#FFAA08 P}}}{{{#08AFDB E}}}{{{#FF0090 C}}}{{{#08AFDB I}}}{{{#FFAA08 A}}}{{{#08AFDB L}}} || || {{{#green 4}}} || {{{#orange 7}}} || {{{#red 10}}} || {{{#08AFDB 11}}} || || 오브젝트 || {{{#green -}}} || {{{#orange 278}}} || {{{#red 569}}} || {{{#08AFDB 846}}} || || 수록버전 ||||||||<#F6EC01> [[리플렉 비트 그루빈 어퍼]] || [[BEMANI MUSIC FOCUS]] 9회 wac's SELECTION의 최종 해금곡으로 등장했다. SPECIAL 패턴에서는 Eu-Robot mix의 음원이 사용되며 자켓도 MZD와 피버로보가 같이 나오는 것으로 변경된다. [youtube(7jA1kh2bjeM)] HARD 패턴 영상 [youtube(AiNapyenZ9A)] SPECIAL 패턴 영상 == [[사운드 볼텍스]] == ||<-2> '''[[POLICY BREAK]][br]([[팝픈뮤직|pop'n music]])''' || || 3 || [[BabeL ~Next Story~]] || || 4 || [[恋はどう?モロ◎波動OK☆方程式!!]] || || 10 || [[朱と碧のランページ]] || || 22 || [[踊るフィーバーロボ]] || || 26 || [[恋歌疾風!かるたクイーンいろは]] || || 31 || [[cobalt]] || || 32 || [[НУМЛ]] || ||<-4> [[사운드 볼텍스]] 난이도 체계 || || 난이도 || NOVICE || ADVANCED || EXHAUST || || 자켓 || [[파일:Odoru_Fever_Robo.png|width=150]] || [[파일:Odoru_Fever_Robo.png|width=150]] || [[파일:Odoru_Fever_Robo.png|width=150]] || || 레벨 || 06 || 11 || 16 || || 체인 수 || 585 || 779 || 1397 || || 일러스트 담당 ||<-3> pop'n team || || [[사운드 볼텍스/이펙터|이펙터]] ||<-3> [[Megacycle]] || || 수록 시기 ||<-3><#ffe20d> __[[POLICY BREAK|{{{#black POLICY BREAK}}}]]__[* III 67(2016. 07. 14)] || || [[BPM]] ||<-3> 160 || [youtube(4fnxOkNmLDI, width=420, height=680)] EXH 패턴 PUC 영상 총평은 16레벨 상위권. 중간 중간의 1,4BT 연타나 FX 칩 연타만 조심하면 무난하게 클리어 가능하나 한손 컨트롤이 산재되어 있어서 해당 레벨대에선 어려운 축에 속한다. [[분류:팝픈뮤직 14 FEVER!의 수록곡]][[분류:리플렉 비트 그루빈 어퍼의 수록곡]][[분류:사운드 볼텍스 III 그래비티 워즈의 수록곡]][[분류:제목이 일본어인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