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軾}}}수레가로나무 식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車|{{{#000,#fff 車}}}]], 6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3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2급 한자|{{{#000,#fff 2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ショク}}}}}}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しきみ}}}}}}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shì{{{#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수레 앞턱 가로 댄 나무 식(軾). '수레 앞턱 가로 나무 식', '수레가로나무 식'이라고도 부른다. 수레 앞턱 가로 댄 나무를 뜻한다. 훈이 매우 특이하고 긴데, [[김부식]]과 [[소식(시인)|소식]](소동파)이라는 역사적인 인물에 쓰이는 한자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8EFE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JJIPM(十十戈心一)으로 입력한다. 훈을 나타내는 [[車]](수레 차)와 음을 나타내는 [[式]](법 식)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 용례 == === [[인명]] === * [[김부식]]([[金]][[富]]軾) * [[소식(시인)|소식]]([[蘇]]軾) === [[고사성어]] === * 유거필견기식(有車必見其軾) : [[예기]]에 나오는 말로, 수레가 있으면 반드시 그곳에 있는 물건을 보게 된다는 의미. 속뜻으로는 어떤 일이든지 하면 성취할 수 있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 반대자 == * [[軫]](수레 뒤턱 나무 진)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弑]](윗사람 죽일 시) * [[試]](시험할 시) * [[栻]](점치는 기구 식) * [[拭]](닦을 식) [[분류:2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