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郭}}}둘레/외성 곽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邑|{{{#000,#fff 邑}}}]], 8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1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3급 한자|{{{#000,#fff 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カク{{{#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くるわ}}}}}}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guō{{{#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郭자는 둘레를 의미하며 한국과 중국의 성씨로 사용된다. == 상세 == * [[유니코드]]: U+90ED * [[창힐수입법]]: 卜木弓中(YDNL) * [[강희자전]]: 1273페이지 13번째 글자[[http://www.kangxizidian.com/kangxi/1273.gif| ]] * [[한자/인명용 한자표|인명용 한자]]: 등재 == 자원 == [[享]]과 [[⻏]](邑)로 쪼개지는데, 享 부분은 𩫖이 간략해진 글자다. 설문해자에서는 '제나라 곽씨의 터'라고 설명한다. 백성들이 모여 사는 곳, 즉 외성이란 뜻은 [[𩫖]]이란 글자를 해설할 때 나온다. 이대로라면 이 글자는 본디 제나라 근처에 있던 특정한 국명이나 지명, 혹은 그 땅에 살던 종족의 이름을 가리키는 글자인 것으로, 이런 지명이나 종족명에서 성씨가 유래하는 일이 많은 점을 감안하면 '성씨 곽'이 오히려 본디의 뜻에 가까운 셈이 된다. 이후 𩫖의 용례까지 이 글자가 흡수한 것. 그러나 곽씨의 기원을 '외성에 살던 사람'에서 찾는 설명도 있으므로 확언할 수는 없다. 한편 이 글자는 음이 비슷한 '범이 할퀸 모양 괵'(虢)과도 통용하여 쓴다. 그 때문에 저 한자를 이름으로 삼는 나라 [[괵나라]]가 망한 후 그 후손들은 虢보다는 주로 郭을 성씨로 썼다고 한다. ||<:>출전||<:>원문|| ||[[설문해자]]||齊之郭氏虚。善善不能進,惡惡不能退,是以亡國也。从邑聲。古博切|| ||청대[br]단옥재[br]설문해자주||(郭) 齊之郭氏虛。謂此篆乃齊郭氏虚之字也。郭本國名。虚墟古今字。郭國旣亡謂之郭氏虛。如左傳言少昊之虛、昆吾之虚、大曍之虚、祝融之虚也。郭氏虛在齊境內。善善不能進。惡惡不能退。是亡國也。郭何以爲虚。職是故也。事見韓詩外傳。新序、風俗通皆同。亦有取此說春秋者。按莊二十四年經云。赤歸于曹。郭公。公羊傳曰。赤者何。曹無赤者。葢郭公也。郭公者何。失地之君也。榖梁傳曰。赤葢郭公也。何爲名也。禮、諸矦無外歸之義。外歸、非正也。左無傳。郭今以爲城?字。又以爲恢郭字。又左傳虢國字、公羊作郭。从邑。聲。古博切。五部。|| ||[[강희자전]]||〔古文〕《唐韻》《正韻》古博切《集韻》《韻會》光鑊切,音椁。《廣韻》內城外郭。《釋名》郭,廓也。廓落在城外也。《白虎通》所以必立城郭者,示有固守也。 又《正韻》國名。《春秋·莊二十四年》赤歸于曹郭公。《公羊傳》赤者何,蓋郭公也。 又姓。《玉篇》王季之後,亦曰虢叔之後。《正字通》郭之有虢音者,周文王季第封于虢,或稱郭公,因爲氏。《春秋傳》:攻虢則虞救之。《公羊》作郭,《左》《穀》《孟子》作虢,異字轉音相近也。 又《五音集韻》苦郭切。與廓同。|| == 용례 == === [[단어]] === * 내곽([[內]]郭) * [[성곽]]([[城]]郭) * 외곽([[外]]郭) === [[고사성어]]/[[숙어]] === * 곽분양팔자(郭[[汾]][[陽]][[八]][[字]]) * 남곽남취([[南]]郭[[濫]][[吹]]) * 동곽리([[東]]郭[[履]]) - 매우 가난함 === [[인명]] === [include(틀:한국의 성씨 한자)] 15년 통계청 집계 기준 대한민국 인구 203,188명, 전체 36위의 성씨로 주요 본관으로는 [[현풍읍|현풍]](玄風), [[청주시|청주]](淸州)가 있다. 자세한 사항은 [[곽(성씨)]] 문서 참조. * [[쿠루와]](郭) * [[니노쿠루와 이스케]]([[二]]郭 [[伊]][[助]]) === [[지명#s-2]] === * [[고료카쿠역]]([[五]][[稜]]郭[[駅]]) * [[곽산역]](郭[[山]][[驛]]) * [[전라북도]] [[정읍시]] [[감곡면]] [[용곽리]]([[龍]]郭[[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곽지리]](郭[[支]][[里]]) * [[평안북도]] [[곽산군]](郭[[山]][[郡]]) * [[현풍곽씨십이정려각]]([[玄]][[風]]郭[[氏]][[十]][[二]][[旌]][[閭]][[閣]])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敦]](도타울 돈) * [[𤭞]](사발 돈) * [[𨿡]](메추라기 순) * [[鶉]](메추리 순) * [[𣮢]](기) * [[𢻓]](쟁) [[분류:3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