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상용한자로의 "분별할 변", rd1=辨)]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釆}}}나눌 변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釆, 0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7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특급 한자|{{{#000,#fff 특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ハン, ベン}}}}}}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c88 biàn}}}}}}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0px-釆-order.gif]]}}}|| || {{{#!wiki style="margin: -5px 0px" 획순}}} || [목차] [clearfix] == 개요 == 釆은 '''분별할, 나눌 변'''이라는 한자로, '''분별하다, 나누다''' 라는 뜻을 의미한다. 글자의 자원은 설문해자에 따르면 짐승의 손톱이 갈라져있는 형상을 본떴다 설명하고 있다. 사냥꾼이 동물의 족적으로부터 사냥감의 종류를 특정하는 것에서 분별의 의미가 생겨났다 한다. [[유니코드]]는 91C6에 배당되었다. == 자형 == || [[파일:120px-釆-oracle.svg.png]] || [[파일:120px-釆-bronze.svg.png]] || [[파일:120px-釆-bigseal.svg.png]] || [[파일:120px-釆-seal.svg.png]] || || 갑골문 || 금문 || 대전체 || 소전체 ||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来]](올 래) * [[禾]](벼 화) * [[采]](풍채 채) == 부수 == [include(틀:강희자전 수록 부수)] 명칭: 분별할변부 강희자전 안에 165번째에 수록된 부수로 강희자전안에 14자가 수록되었다.(49,030자 중) 부수의 의부로 붙을 때에는 분별에 관한 뜻을 나타낸다. 또한 采자는 본래 爪와 木자의 회의자이지만 해서에서의 자형이 釆과 닮아있어서 釆의 부수로 분류되었다 한다. === 부수 예 === ||추가 획||한자|| ||기본자||釆|| ||1획||[[采]]|| ||4획||釈|| ||5획||釉|| ||13획||[[釋]]|| === 나라별 부수명칭 === * 한국: 분별할변부[* [[采]](풍채 채)와 모양이 닮아 캘채변이라고도 한다. 중국에서 采는 [[採]](캘 채)의 [[간체자]]로 쓰인다.] * 중국: [ruby(釆部, ruby=biànbù)] * 일본: のごめ, のごめへん * 미국: Radical distinguish [[분류:특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제부수 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