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5급 한자]][[분류:다음자/표준 중국어]]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量}}}헤아릴 량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里|{{{#000,#fff 里}}}]], 5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2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5급 한자|{{{#000,#fff 5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リョウ{{{#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はか-る{{{#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liáng, liàng{{{#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量은 ''''헤아릴 량''''이라는 [[한자]]로, '[[양#s-1.1]](量, quantity)', '헤아리다', '추측하다', '재다', '수량' 등을 의미하는 [[한자]]이다. == 상세 == 갑골문에서는 보이지 않고 금문부터 자형이 나타나는 데, 태양을 뜻하는 [[日]]과 사람 밑에 짐보따리가 있는 [[重]](人 + 東)으로 표현되어있다. 태양 아래서 '(무언가를) 재다', '측정하다'라는 뜻을 가진다. 태양 대신 [[田]]이 있는 것도 있어, '(수확물이나 양식을) 재다'가 본래 뜻이고 [[糧]](양식 량)의 본자라고 풀이하는 학자들도 있다. [[설문해자]]에서는 [[曏]](접대 향, 성씨 상)가 소리를, [[重]]가 뜻을 나타내는 형성자라고 풀이했다. 후에 [[旦]](아침 단)과 [[里]](마을 리)의 모양으로 변형되었다. 이 글자는 중국어에서 다음자(多音字)로서 동사 '재다', '측정하다'의 뜻일 때는 평성으로, 동사에서 파생된 명사 '측정', '치수' ( < 측정된 것)의 뜻일 때는 거성으로 읽는다. [[유니코드]]에는 U+91CF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日一田土(AMWG)로 입력한다. == 용례 == === [[단어]] === * '''[[양]](量)''': [[측도|수를 세거나 잴 수 있는 정도]] * 가량([[假]]量) * 감량([[減]]量) * 계량([[計]]量) * [[계량경제학]]([[計]]量[[經]][[濟]][[學]]) * 다량([[多]]量) * 대량([[大]]量) * [[도량]]([[度]]量) * [[도량형]]([[度]]量[[衡]]) * [[무량]]([[無]]量) * [[무량대수]]([[無]]量[[大]][[數]]) * [[무량수불]]([[無]]量[[壽]][[佛]]) * 물량([[物]]量) * 분량([[分]]量) * 설량([[雪]]量) * [[강설량]]([[降]][[雪]]量) * 설량계([[雪]]量[[計]]) * 적설량([[積]][[雪]]量) * [[수량]]([[水]]量) * [[강수량]]([[降]][[水]]量) * [[배수량]]([[排]][[水]]量) * [[수량]]([[數]]量) * 수량경기([[數]]量[[景]][[氣]]) * 수량설([[數]]量[[說]]) * 현금잔고수량설([[現]][[金]][[殘]][[高]][[數]]量[[說]]) * [[화폐수량설]]([[貨]][[幣]][[數]]量[[說]]) * 수량지수([[數]]量[[指]][[數]]) * 수량화([[數]]量[[化]]) * 총수량([[總]][[數]]量) * [[양산(산업)|양산]](量[[産]]) * [[양자]](量[[子]]) * [[양자역학]](量[[子]][[力]][[學]]) * [[양자 조화 진동자]](量[[子]] [[調]][[和]] [[振]][[動]][[子]]) * 역량([[力]]量) * [[열량]]([[熱]]量) * 용량([[容]]量) * [[열용량]]([[熱]][[容]]量) * 우량([[雨]]量) * [[강우량]]([[降]][[雨]]量) * 등우량선([[等]][[雨]]量[[線]]) * 연우량([[年]][[雨]]量) * [[우량계]]([[雨]]量[[計]]) * 자기우량계([[自]][[記]][[雨]]量[[計]]) * 우량계수([[雨]]量[[係]][[數]]) * 우량도([[雨]]量[[圖]]) * 우량인자([[雨]]量[[因]][[子]]) * 유량([[流]]量) * [[유량계]]([[流]]量[[計]]) * [[원자량]]([[原]][[子]]量) * [[재량]]([[裁]]量) * 법규재량([[法]][[規]][[裁]]量) * 재량권([[裁]]量[[權]]) * 재량권일탈([[裁]]量[[權]][[逸]][[脫]]) * 재량변호([[裁]]量[[辯]][[護]]) * 재량보석([[裁]]量[[保]][[釋]]) * 재량주문([[裁]]量[[注]][[文]]) * 재량처분([[裁]]量[[處]][[分]]) * [[재량 휴업일]]([[裁]]量 [[休]][[業]][[日]]) * 편의재량([[便]][[宜]][[裁]]量) * [[전량]]([[全]]量) * 정량([[定]]量) * [[추정량]]([[推]][[定]]量) * [[불편추정량]]([[不]][[偏]][[推]][[定]]量) * [[편의추정량]]([[偏]][[倚]][[推]][[定]]量) * [[질량]]([[質]]量) * 관성질량([[慣]][[性]][[質]]量) * [[임계질량]]([[臨]][[界]][[質]]量) * 전자질량([[電]][[子]][[質]]量) * 정지질량([[靜]][[止]][[質]]量) * [[질량분석기]]([[質]]量[[分]][[析]][[器]]) * 질량비([[質]]量[[比]]) * [[질량수]]([[質]]量[[數]]) * [[질량중심]]([[質]]量[[中]][[心]]) * 핵질량([[核]][[質]]量) * 총량([[總]]量) * [[추정량]]([[推]][[定]]量) * [[측량]]([[測]]量) * [[측량기능사]]([[測]]量[[技]][[能]][[士]]) * 함량([[含]]量) === [[고사성어]]/[[숙어]] === * 기욕난량([[器]][[欲]][[難]]量) * 감개무량([[感]][[慨]][[無]]量) * 거재두량([[車]][[載]][[斗]]量) * 경세도량([[經]][[世]][[度]]量) * 계불입량([[計]][[不]][[入]]量) * 다문다독다상량([[多]][[聞]][[多]][[讀]][[多]][[想]]量) * 무량대복([[無]]量[[大]][[福]]) * 무량무변([[無]]量[[無]][[邊]]) * 무량상수([[無]]量[[上]][[壽]]) * 무량세계([[無]]量[[世]][[界]]) * 무량청정토([[無]]量[[淸]][[淨]][[土]]) * 부자양력([[不]][[自]]量[[力]]) * 분전승량([[分]][[錢]][[升]]量) * 비량([[非]]量) * 비무량심([[悲]][[無]]量[[心]]) * 사량침주([[捨]]量[[沈]][[舟]]) * 사무량심([[四]][[無]]量[[心]]) * 양체재의(量[[體]][[裁]][[衣]]) * 유주무량([[有]][[酒]][[無]]量) * 이승양석([[以]][[升]]量[[石]]) * 자무량심([[慈]][[無]]量[[心]]) * [[자유재량]]([[自]][[由]][[裁]]量) * 적재정량([[積]][[載]][[定]]量) * [[작량감경]]([[酌]]量[[減]][[輕]]) * 천사만량([[千]][[思]][[萬]]量) * 희무량심([[喜]][[無]]量[[心]]) === [[인명]] === * [[아시카가 요시카즈]]([[足]][[利]][[義]]量) === [[지명#s-2]] === * [[무량사]]([[無]]量[[寺]]) * [[무량수전]]([[無]]量[[壽]][[殿]]) == 유의자 == * [[勘]](헤아릴 감) * [[揆]](헤아릴 규) * [[料]](재료 료, 헤아릴 료) * [[慮]](생각할 려, 헤아릴 려) * [[測]](헤아릴 측, 잴 측) * [[度]](헤아릴 탁) == 상대자 == * [[質]](바탕 질)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𢘇]](슬플 달)[* [[怛]](슬플 달)의 [[동자#s-2]]] * [[童]](아이 동) * [[㝵]](그칠 애, 얻을 득, 푸른돌 의) * [[昜]](볕 양) * [[重]](무거울 중) * [[鼂]](아침 조)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𪋥]](큰사슴 경) * [[糧]]/[[𩞯]]/[[𣊼]](양식 량) * [[𡑆]] * [[𪷑]] * [[𪬨]] * [[𣛀]] * [[𤎲]] * [[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