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雙}}}두/쌍 쌍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隹|{{{#000,#fff 隹}}}]], 10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8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3급 한자|{{{#000,#fff 준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ソウ{{{#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ふた, {{{#c88 たぐい, なら-ぶ, ふた-つ, もろ}}}}}}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shuāng{{{#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雙은 ''''두/쌍 쌍''''이라는 [[한자]]로, '[[둘]]', '[[쌍]](雙)', '[[짝수]]' 등을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96D9에 배정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人土水(OGE)로 입력한다. [[隹]](새 추) 2개와 [[又]](또 우)가 합쳐진 [[회의자]]로 오른손에 새 2마리, 즉 한 쌍을 올리고 있다는 뜻으로 '쌍'을 뜻하게 되었다. 雙에서 새 한 마리가 날아가서 隹 1개와 又가 합쳐진 [[隻]](외짝 척)이 있다. 유래는 雙과 똑같다. == 용례 == === [[단어]] === * '''[[쌍]](雙)''' * [[무쌍]]([[無]]雙) * [[순서쌍]]([[順]][[序]]雙) * [[쌍검]](雙[[劍]]) * [[쌍곡선]](雙[[曲]][[線]]) * 쌍구균(雙[[球]][[菌]]) * [[쌍권총]](雙[[拳]][[銃]]) * 쌍극자(雙[[極]][[子]]) * [[쌍대 공간]](雙[[對]] [[空]][[間]]) * [[쌍륙]](雙[[六]]) * [[쌍반점]](雙[[半]][[點]]) * 쌍방(雙[[方]]) * 쌍벌죄(雙[[罰]][[罪]]) * 쌍벽(雙[[璧]]) * [[쌍성]](雙[[星]]) * [[쌍수도]](雙[[手]][[刀]]) * [[쌍시목]](雙[[翅]][[目]]) * [[쌍십절]](雙[[十]][[節]]) * [[쌍안경]](雙[[眼]][[鏡]]) * 쌍윤(雙倫) * [[쌍이효과]](雙[[耳]][[效]][[果]]) * [[쌍자궁]](雙[[子]][[宮]]) * [[쌍자음]](雙[[字]][[音]]) * [[쌍절곤]](雙[[節]][[棍]]) * [[쌍점]](雙[[點]]) * 쌍지리(雙地理) * [[쌍화점]](雙[[花]][[店]]) * [[쌍화탕]](雙[[和]][[湯]]) === [[고사성어]]/[[숙어]] === * 고금무쌍([[古]][[今]][[無]]雙) * [[국사무쌍]]([[國]][[士]][[無]]雙) * 변화무쌍([[變]][[化]][[無]]雙) * 일전쌍조([[一]][[箭]]雙[[鵰]]) === [[인명]] === * [[김쌍수]]([[金]]雙[[秀]]) * [[무토우 스고로쿠]]([[武]][[藤]] 双[[六]]) * [[스고로쿠 하지메]](双[[六]] [[一]]) * [[스고로쿠 히토시]](双[[六]] [[仁]][[志]]) * [[아소기 카즈마]]([[亜]]双[[義]] [[一]][[真]]) * [[아자시로 소야]]([[痣]][[城]] 双[[也]]) * [[쌍기]](雙[[冀]]) * [[왕쌍]]([[王]]雙) * [[제로자키 소시키]]([[零]][[崎]] 双[[識]]) * [[취솽]]([[瞿]]雙) === [[지명#s-2]] === * [[광주광역시]] [[서구(광주광역시)|서구]] [[쌍촌동]](雙村洞) * [[쌍촌역]](雙村驛) * [[서울특별시]] [[도봉구]] [[쌍문동]](雙門洞) * [[쌍문역]](雙門驛) * [[소즈쿄온센역]](雙[[津]][[峡]][[温]][[泉]][[駅]]) * [[전라북도]] [[순창군]] [[쌍치면]](雙置面) * [[쌍용역]]([[장항선]], [[병기역명]]은 [[나사렛대학교|나사렛대]]) * [[청두 솽류 국제공항]]([[成]][[都]][[雙]][[流]][[國]][[際]][[機]][[場]]/[[成]][[都]]双[[流]][[国]][[际]][[机]][[场]]) * [[후타바]](雙[[葉]]/双[[葉]]) * [[우수리스크|쌍성자(雙城子)]] === [[창작물]] === * 용성쌍의록([[龍]][[城]]雙[[義]][[錄]]) * [[双子の男女がわからない]]([[쌍둥이의 남녀를 모르겠어]]) * [[落第賢者の学院無双]]([[낙제 현자의 학원 무쌍]]) * [[双翼の独奏歌]] === 기타 === * [[무쌍#s-2]]([[無]]雙): 쌍꺼풀이 없는 것 * 쌍사(雙[[史]]): [[사회탐구 영역]]에서 [[동아시아사]]와 [[세계사(교과)|세계사]]를 선택하는 것 * [[쌍꺼풀 수술|쌍수]](雙[[手]]): [[쌍꺼풀 수술]]의 준말 * [[쌍쌍바]](雙雙bar) * [[쌍용그룹]](雙龍group) * 쌍윤(雙[[倫]]): [[사회탐구 영역]]에서 [[생활과 윤리]]와 [[윤리와 사상]]을 선택하는 것 * 쌍지(雙[[地]]): [[사회탐구 영역]]에서 [[한국 지리]]와 [[세계 지리]]를 선택하는 것 * 우쌍약철([[又]][[双]][[叒]][[叕]]): 중국에서 사용되는 인터넷 [[신조어]]다. [[又]](또 우)를 반복해서 무언가 자주 바뀌거나 어떤 일이 자주 일어나는 것을 강조하는 표현. * 유쌍([[有]]雙): 쌍꺼풀이 있는 것 == 유의자 == * [[兩]](두 량) * [[二]]/[[貳]](두 이) * [[再]](두 재) == 상대자 == * [[單]](홑 단)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讐]](원수 수) == 여담 == * [[喫]](먹을 끽), [[氏]](성씨 씨)와 함께 [[한국 한자음]]이 [[된소리]]인 몇 안 되는 한자 중 하나이다. [[분류:준3급 한자]][[분류:같은 한자를 두 개 합친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