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風}}}바람 풍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風, 0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9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6급 한자|{{{#000,#fff 준6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フウ, (フ){{{#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かぜ, (かざ), {{{#c88 すがた, ならわし, ふり}}}}}}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fēng{{{#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0px-風-order.gif]]}}}|| || {{{#!wiki style="margin: -5px 0px" 획순}}} || [목차] [clearfix] == 개요 == 風은 ''''바람 풍''''이라는 [[한자]]로, '[[바람]]', '[[풍속]](風俗)', '[[풍경]](風景)' 등을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98A8에 배당되어 있다. 본래 鳳으로 [[봉황]]을 의미하던 글자였으나 점차 바람이라는 의미가 혼용되었고 결국 바람이라는 의미는 風으로 갈라져 나오게 되었다. 소전체를 기반으로 뜻풀이를 한 [[설문해자]]에서는 虫(벌레 훼)를 의부로 보고 凡(무릇 범)을 성부로 보아, '바람이 불어서 움직이면 벌레가 생겨나게 되고, 이 때문에 벌레는 8일이 되면 변화하여 모양을 갖추게 된다'고 어원을 잘못 풀이했다. 풍속, 방식, 소문, [[사랑]] 등의 다양한 파생 의미를 지니고 있다. == 자형 == ||<:>[[파일:風-oracle.svg.png]]||<:>[[파일:風-bronze.svg.png]]||<:>[[파일:風-bigseal.svg.png]]||<:>[[파일:120px-風-seal.svg.png]]|| ||<:>갑골문||<:>금문||<:>대전체||<:>소전체|| == 용례 == === [[단어]] === * 가풍([[家]]風) * [[강풍]]([[强]]風) * [[계절풍]]([[季]][[節]]風) * 광풍([[狂]]風) * 기풍([[棋]]風) * [[남풍]]([[南]]風) * 돌풍([[突]]風) * [[동풍]]([[東]]風) * [[극동풍]]([[極]][[東]]風) * [[무역풍]]([[貿]][[易]]風) * 미풍([[微]]風) * 방풍([[防]]風) * [[병풍]]([[屛]]風) * [[북풍]]([[北]]風) * 서풍([[西]]風) * [[선풍기]]([[扇]]風[[機]]) * 선풍적([[旋]]風[[的]]) * [[소풍]]([[逍]]風) * [[순풍]]([[順]]風) * [[역풍]]([[逆]]風) * [[열풍]]([[熱]]風/[[烈]]風) * [[위풍]]([[威]]風) * [[중풍]]([[中]]風) * [[질풍]]([[疾]]風) * [[청풍]]([[淸]]風) * 춘풍([[春]]風) * [[태풍]]([[颱]]風) * [[통풍]]([[痛]]風) * [[파상풍]]([[破]][[傷]]風) * [[편서풍]]([[偏]][[西]]風) * [[폭풍]]([[暴]]風) * [[폭풍우]]([[暴]]風[[雨]]) * 풍격(風[[格]]) * [[풍경]](風[[景]]/風[[磬]]) * 진풍경([[珍]]風[[景]]) * 풍경화(風[[景]][[畫]]) * 풍랑(風[[浪]]) * 풍력(風[[力]]) * [[풍류]](風[[流]]) * [[풍문]](風[[聞]]) * 풍물(風[[物]]) * 풍미 * 풍상(風[[霜]]) * [[풍선]](風[[船]]) * 풍설(風[[說]]) * [[풍속]](風[[俗]]) * [[세시풍속]]([[歲]][[時]]風[[俗]]) * 풍속경찰([[風]]俗[[警]][[察]]) * 풍속기(風[[俗]][[記]]) * 풍속도(風[[俗]][[圖]]) * 풍속사범(風[[俗]][[事]][[犯]]) * 풍속소설(風[[俗]][[小]][[說]]) * 풍속업계(風[[俗]][[業]][[界]]) * 풍속업소(風[[俗]][[業]][[所]]) * 풍속업주(風[[俗]][[業]][[主]]) * 풍속영업(風[[俗]][[營]][[業]]) * [[풍속화]](風[[俗]][[畫]]) * 풍속희극(風[[俗]][[喜]][[劇]]) * [[풍속]](風[[速]]) * [[풍수]](風[[水]]) * [[풍습]](風[[習]]) * [[풍운]](風[[雲]]) * 풍정(風[[情]]) * 풍조(風[[潮]]) * [[풍진]](風[[疹]]) * 풍채(風[[采]]) * 풍취(風[[趣]]) * [[풍치]](風[[致]]) * 풍토(風[[土]]) * [[풍토병]](風[[土]][[病]]) * 풍파(風[[波]]) * 풍향(風[[向]]) * [[풍화]](風[[化]]) * 해풍([[海]]風) * [[화풍]]([[畫]]風) === [[고사성어]]/[[숙어]] === * 광풍제월([[光]]風[[霽]][[月]]): 1. 비가 갠 뒤의 맑게 는 바람과 밝은 달/마음이 넓고 쾌활하여 아무 거리낌이 없는 인품. * 당구풍월([[堂]][[狗]]風[[月]]): 風에 諷의 뜻도 있는데, '서당 개가 月자를 (보고 [[멍#s-3|월]]이라고) 읊는다'라는 [[언어유희]]적 해석도 할 수 있다. * [[마이동풍]]([[馬]][[耳]][[東]]風) * 만리동풍([[萬]][[里]][[同]]風) * 미풍양속([[美]]風[[良]][[俗]]) * [[위풍당당]]([[威]]風[[堂]][[堂]]) * 일진광풍([[一]][[陣]][狂]]風) * 즐풍목우([[櫛]]風[[沐]][[雨]]) * [[청풍명월#s-1]]([[淸]]風[[明]][[月]]) * 추풍낙엽([[秋]]風[[落]][[葉]]) * 풍기문란(風[[紀]][[紊]][[亂]]) * 풍비박산(風[[飛]][[雹]][[散]]) * 풍수지탄(風[[樹]][[之]][[嘆]]) * 풍전등화(風[[前]][[燈]][[火]]) * 풍타낭타(風[[打]][[浪]][[打]]) * 호마의북풍([[胡]][[馬]][[依]][[北]]風) * [[화조풍월]]([[花]][[鳥]]風[[月]]) === [[인명]] === * [[미도리카제 후와리]]([[緑]]風 ふわり) - [[프리파라]] * [[사쿠라자카 후가]]([[桜]][[坂]] 風[[雅]]) * [[아쿠지키노 카제]]([[惡]][[食]]の風) * [[이치무라 스즈카]]([[市]][[村]] [[涼]]風) * [[이치무라 아야카]]([[市]][[村]] [[彩]]風) * [[전태풍]]([[田]][[颱]]風) - 전 [[농구선수]] * [[카자마츠리 고우]](風[[祭]] [[豪]]) * [[카자마 토오루]](風[[間]] トオル) * [[카자키리 효우카]](風[[斬]] [[氷]][[華]]) * [[하루카제 도레미]]([[春]]風 どれみ) - [[꼬마마법사 레미|오자마녀 도레미]] * [[하루카제 폿프]]([[春]]風 ぽっぷ) - [[꼬마마법사 레미|오자마녀 도레미]] * [[호우오우지 후]]([[鳳]][[凰]][[寺]] 風) - [[마법기사 레이어스]] * [[후우라 카나토]](風[[楽]] [[奏]][[斗]]) * [[후지와라노 오키카제]]([[藤]][[原]] [[興]]風) * [[후지이 카제]]([[藤]][[井]] 風) - 싱어송라이터 === [[지명#s-2]] === *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玄]]風[[邑]]) *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제천)|청풍면]]([[淸]]風[[面]]) * 충청북도 영동군 추풍령면([[秋]]風[[嶺]][[面]]) * [[추풍령]]([[秋]]風[[嶺]]) * 서울특별시 송파구 [[풍납동]](風[[納]][[洞]]) === [[창작물]] === * [[풍요]](風[[謠]]) * [[風街ろまん|카제마치 로망]](風[[街]]ろまん) * [[強風オールバック|강풍 올백]]([[強]]風オールバック) * [[狂髪天を撫でて綴れ雲の綻び 五体北風に散りて痕も無し|미친 머리카락 하늘을 어루만지고 누더기 구름은 해어져 오체 북풍에 흩어지어 흔적도 없이]]([[狂]][[髪]][[天]]を[[撫]]でて[[綴]]れ[[雲]]の[[綻]]び [[五]][[体]][[北]]風に[[散]]りて[[痕]]も[[無]]し) === 기타 === * [[풍월주]](風[[月]][[主]]) * [[풍납토성]](風[[納]][[土]][[城]]) * 횡풍([[橫]]風) == 부수 == [include(틀:강희자전 수록 부수)]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鳳]](봉새 봉) * [[夙]](이를 숙) * [[虱]](이 슬) - 蝨의 동자이다. == 여담 == * 風을 두 개 합치면 [[䬕]](바람 소리 강/항), 세 개 합치면 [[飍]](큰바람 휴), [[𩙡]](큰바람 퓨)가 된다. * '[[나는 바담 풍 해도 너는 바람 풍 해라]]'라는 속담이 있다. '[[선생은 바담 풍 해도 생도는 바람 풍 하라는 격이다]]'의 형태로도 알려져 있다. 해당 문서 참고. [[분류:준6급 한자]][[분류:제부수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