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준4급 한자]][[분류:다음자/표준 중국어]] [include(틀:국명·지명 한자 약칭)]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麗}}}고울 려, 나라 이름 리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鹿|{{{#000,#fff 鹿}}}]], 8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9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4급 한자|{{{#000,#fff 준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レイ{{{#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うるわ-しい, {{{#c88 うら-ら, うら-らか}}}}}}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lí, lì{{{#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麗는 ''''고울 려''''라는 [[한자]]로, '곱다', '아름답다' 등을 뜻한다. == 상세 == [[鹿]](사슴 록)을 써서 뿔 부분을 강조한 사슴의 모습을 나타낸 글자이다. '아름답다'라는 뜻을 가질 때는 거성으로 읽고, '고려', '고구려'의 구성자로 쓰일 때는 평성으로 읽는다. 세종대왕은 1443년 한글을 창제하고 2년 뒤인 1445년 그 한글로 된 첫 책 ‘용비어천가’를 완성한다. 조선왕조의 창업을 기린 용비어천가 제6장에 ‘麗運이 衰ㅎ、거든’이라는 표현이 등장한다. ‘고려의 운이 다 쇠퇴하였음으로’라는 뜻의 이 표현에 한문주석이 달려 있다. ‘麗音离高麗也.’ ‘麗는 리(离)로 발음하고 高麗를 말한다’는 뜻이다. 한마디로 ‘고려’로 읽지 말고 ‘고리’로 읽으라는 소리다. 연암 박지원은 1780년 청나라 사행단을 따라 다녀온 뒤 쓴 ‘열하일기’에서 ‘고린내가 난다’는 우리말 표현이 중국인이 고려를 비하하려고 쓰기 시작한 ‘高麗臭’라는 한자어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했다. 여기서 우리는 악취가 난다는 뜻의 형용사 ‘고리다’ 역시 고리라는 나라 이름에서 유래했을 개연성을 엿보게 된다. 어쩌면 ‘고리타분하다’는 말도 조선시대 들어 고려시대를 비하해 쓰던 표현이 굳어진 것일 수 있다.(고리적, 고리타분하다, 고린내) 때문에 한자 자전들을 보면 '''나라 이름 리'''라는 훈음이 제시되어 있다. 한국 내 기록들만이 아니라, 당나라, 송나라 시대에는 麗 자의 발음은 '려'에 가까워져서, 당대에 쓰인 사서에서 고구려의 이름을 표기할 때는 항상 주가 붙어서 리로 발음하라고 써 있다.[* '高句麗'와 '高麗'의 소릿값(音價)에 관한 연구] 그러나 전자의 설만을 토대로 고려의 원래 발음이 '고리'라고 추정하는 것은 어렵다. 《[[삼강행실도언해]](1481)》 등 동시대에 간행된 다른 '''한글 서적'''에는 고구려와 고려의 이름이 '''한글로 '고구려', '고려'라고 분명히 적혀있다'''. 조선후대의 《오륜행실도(1797)》 등에도 '''한글로 '고려적', '고려'라고 적힌 표기'''가 있어 한글 '고려'표기가 이어지는 것은 마찬가지다. 따라서 '고구려', '고려'라는 발음 역시 상당한 역사성이 있는 것은 분명하며, 전술한 사례만으로 '고구리'라는 음가만이 정당한 발음이라고 제시하고 이를 단정하거나, 나아가 현대에 통용되는 발음까지 바꿔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학문적으로는 위험한 일이다. == 용례 == === [[단어]] === * [[고구려]]([[高]][[句]]麗) * [[고려]]([[高]]麗) * [[고려가요]]([[高]]麗[[歌]][[謠]]) *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 * [[고려도경]]([[高]]麗[[圖]][[經]]) * [[고려양]]([[高]]麗[[樣]]) * [[고려장]]([[高]]麗[[葬]]) * 고려조([[高]]麗[[朝]]) * [[고려청자]]([[高]]麗[[靑]][[瓷]]) * 기려([[奇]]麗) * 미려([[美]]麗) * 수려([[秀]]麗) * 청려([[淸]]麗) * 화려([[華]]麗) * [[화려체]]([[華]]麗[[體]]) * [[후고구려]]([[後]][[高]][[句]]麗) === [[고사성어]]/[[숙어]] === * 금생여수([[金]][[生]]麗[[水]])[* [[천자문]]의 11번째 구절.] * 미사여구([[美]][[辭]]麗[[句]]) === [[인명]] === * [[김미려]]([[金]][[美]]麗) * [[나카무라 레노]]([[中]][[村]] 麗[[乃]]) * [[레이(영원한 7일의 도시)|레이]](丽): [[영원한 7일의 도시]]의 등장인물 * [[모리야 레나]]([[守]][[屋]] 麗[[奈]]) * [[미나미 우루카]]([[三]][[波]] 麗[[花]]) * [[시시오 레오]]([[獅]][[子]][[王]] 麗[[雄]]) * [[오노데라 레이]]([[小]][[野]][[寺]] 麗) * [[오다쿠라 레이나]]([[小]][[田]][[倉]] 麗[[奈]]) * [[오이카와 츠라라]]([[及]][[川]] [[氷]]麗) * [[우라라카 오챠코]](麗[[日]] お[[茶]][[子]]) * [[우에다 레이나]]([[上]][[田]] 麗[[奈]]) * [[이여형]]([[李]]麗[[炯]]) * [[전여옥]]([[田]]麗[[玉]]) * [[마유(tripleS)|코우마 마유]]([[高]]麗 [[真]][[友]]) * [[텐노지 미레이]]([[天]][[王]][[寺]] [[美]]麗) * [[하쿠레이 레이무]]([[博]]麗 [[霊]][[夢]]) === [[지명#s-2]] === * [[전라남도]] [[여수시]](麗[[水]][[市]]) * [[여수엑스포역]](麗水엑스포驛) * [[여천역]](麗川驛) * [[한려수도]]([[閑]]麗[[水]][[道]]) === [[창작물]] === * [[고려사]]([[高]]麗[[史]]) *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 휘찬여사([[彙]][[纂]]麗[[史]]) * [[麗 ~うらら~]] * [[麗しのナイチンゲール]] * [[麗破唖甦 ~rebirth~]] * [[華麗なる誘惑]] * [[華麗なる大犬円舞曲]] * [[華麗なるニョアの剣舞]] * [[一番綺麗な私を]] === 기타 === * [[고려대학교]]([[高]]麗[[大]][[學]][[校]])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간체자]]''' 丽 * [[朋]](벗 붕) * [[雨]](비 우) * [[冊]](책 책) == 여담 == HSK 4급에 출제되는 한자이다. 2021년 중국공안부의 인명통계에 따르면 외자이름을 쓰는 국민중에 다섯 번째로 흔한 이름이 丽이며 99%이상이 여자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