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유희왕 OCG]]의 일반 몬스터 카드. [include(틀:유희왕 OCG의 오리지널 카드군 스토리 시리즈)] [목차] == 설명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1938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 명칭=가가기고, 일어판 명칭=ガガギゴ, 영어판 명칭=Gagagigo, 레벨=4, 속성=물, 종족=파충류족, 공격력=1850, 수비력=1000, 효과외1=예전에는 사악한 마음을 품었지만\, 어떤 인물을 만난 이후로 정의의 마음을 깨닫게 되었다.)] 나름 우수한 공격력을 지닌 하급 몬스터로 일단 [[전설의 도시 아틀란티스]] + [[레벨 제한 B구역]] 등의 콤보가 먹힌다. 단 동일 속성, 동일 레벨에 공격력이 훨씬 더 높은 [[메가로스매셔X]]랑 편리한 서치효과까지 가진 [[전설의 도시 아틀란티스|아틀란티스의 전사]]나 동일 공격력에 수비력이 더 높고 일러스트도 더 보기 좋은데다가 이 녀석까지 함께 볼 수 있는 '[[령사|빙의장착 - 에리아]]'가 있기에 단순히 물 속성 하급 어택커를 원한다면 경쟁력은 그다지 높지 않다. 아틀란티스의 전사야 아틀란티스 서치해오는 용도로 버려진다고 쳐도 빙의장착 - 에리아와의 경쟁에서는 일반 몬스터라는 점, 메가로스매셔와는 파충류족이라는 점을 살릴 필요가 있다. 문제는 파충류족 덱에서도 이제 점점 차별화하기 힘들어지는 중이라는 것. 공격력 1900에 똑같이 일반 몬스터인 [[에일리언 솔저(유희왕)|에일리언 솔저]]까지는 땅 속성이니 어떻게 넘어간다 쳐도 물 속성 파충류족에 공격력 1900, 한정적인 관통효과를 가진 [[앨리게이터(유희왕)#라이오 앨리게이터|라이오 앨리게이터]]가 등장해버렸다. 하지만 [[환황룡]]과 [[메타버스(유희왕)|메타버스]]의 등장으로 숨통이 트였는데, 일반 몬스터밖에 굴리지 않는 환황덱의 특성을 이용해 퍼시피스와 전와를 등에 업은 메타덱에 기용되고 있는 것. 물론 같은 용도로 메가로스매셔X도 등판하기는 하나, 그쪽은 아직도 활개치는 공룡덱의 [[영혼을 먹는 오비랍토르]]에게 잡아먹힐 수 있어서 가가기고를 플랜 B로 채용하는 경우가 많다. [[플레이버 텍스트]]의 '어떤 인물'이란 후술하듯 [[선봉 대장]]을 말한다. 원작 왕의 기억 편에서는 [[대사신 조크 네크로파데스|조크]]와의 결전 중 [[혼다 히로토]]가 사용.[* 애니판에서는 레어메탈 나이트.] 카드명은 직접 언급되지 않지만, [[무토우 유우기]]의 [[블랙 매지션]], [[죠노우치 카츠야]]의 [[붉은 눈의 흑룡]]과 함께 등장한 것을 보면 나름 그의 에이스 몬스터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런 인연인지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도 [[전우혁(유희왕 듀얼링크스)|우혁]]의 전용 대사가 존재한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유희왕 듀얼몬스터즈/KC그랑프리 편|KC그랑프리 편]]에서는 카이바 랜드 미국 지부에서 듀얼 컴퓨터와 듀얼 중이던 소년이 사용. [[블레이드 나이트(유희왕)|블레이드 나이트]]를 격파했으나, 바로 다음 턴 융합 소환된 [[F·G·D]]의 공격에 파괴되면서 패배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빛의 결사 편|빛의 결사 편]]에서는 [[제넥스(유희왕 GX)|제넥스]] 대회 도중 [[마루후지 쇼]]를 상대한 [[오벨리스크 블루]] 학생이 사용. [[일반 몬스터/개별 문서가 없는 카드#인어 괴물 피셔 비스트|인어 괴물 피셔 비스트]]와 함께 필드에 있었으나 직접 공격을 맞고 패배했다. == 관련 카드 == 전부 효과가 없는 [[파충류족]] 몬스터 카드로 카드의 이름으로 지정되는 정식 카드군은 아닌 그냥 시리즈 카드에 해당한다. [[파샤스]]나 [[제라토]] 시리즈처럼 한 파충류 청년의 험난한 일생을 그리고 있다. 효과가 없는 몬스터인지라 그 성능적으로는 딱히 주목받을 일이 없으나, 비극적인 배경 스토리와 여러 카드의 일러스트에서 등장한다는 점에서는 가끔 주목받는다. 또 일단 능력치가 좋아서 다들 나름대로의 존재 의의가 있는 카드들인지라 일부 마이너한 덱에서는 유용하게 사용되기도 하다. [[유희왕 태그 포스]] 6에서는 [[미스티 로라]] 노멀 버전이 이 카드들을 사용한다. 덱이 [[전설의 도시 아틀란티스]] 위주로 굴리는 파충류족 덱이라 아틀란티스와 상성이 잘 맞는 이 카드들을 쓰고 있는 듯 하다. 문제는 아틀란티스와 별로 시너지가 없는 고기가 가가기고를 쓰는 것까지는 그렇다쳐도 딱히 써먹을 구석이 없는 기고바이트까지 덱에 넣어 놨다는 것. 상대할 때는 기쁘지만 태그 파트너일 때는 속 터져 죽는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빛의 결사 편|빛의 결사 편]]에서는 퀴즈 덱 유저인 [[칸다 츠기오]]와의 듀얼에서 [[유우키 쥬다이]]에게 제시된 문제 중 가가기고, 기가 가가기고, 고기가 가가기고를 3번 빨리 말하기를 하는 과제가 있었다. 쥬다이는 3번 째에서 혀를 깨물어 아깝게 실패. === 기고바이트 === [[파일:external/img15.shop-pro.jp/59370381.jpg|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 명칭=기고바이트, 일어판 명칭=ギゴバイト, 영어판 명칭=Gigobyte, 레벨=1, 속성=물, 종족=파충류족, 공격력=350, 수비력=300, 효과외1=지금은 아직 온순한 마음을 가지고 있지만\, 사악한 마음에 지배될 운명을 짊어지고 있으니...)] 아마도 이 카드가 필드 위에 나오는 모습을 보기는 힘들 것이다. [[오샤레온]]이나 [[원 포 원]]처럼 레벨 1 카드를 서포트하는 마법 카드들이 있긴 하다만... 밝고 귀여운 느낌이 드는 일러스트만큼은 매력적. 참고로 이 카드가 가가기고의 가장 과거 모습을 그린 카드긴 하지만, 이 카드는 실제로는 '''고기가 가가기고 다음에 나왔다.'''[* '파라오의 유산'이라는 부스터 팩에서 데뷔했으나 TCG권과 한국에서는 [[천공의 성역(부스터 팩)|앞의 팩과 합본으로]] 발매되어 고기가 가가기고와 동시에 데뷔했다.] 슬픈 결말을 맞은 고기가 가가기고지만 예전엔 이런 시절도 있었다는 걸 보여주기 위한 카드라는 것. 여담으로 유희왕 GX 다크니스 편에서도 어떤 꼬마가 쓰는 카드로 나왔는데 여기서도 다크니스에 물들었다. === 기가 가가기고 === [[파일:ギガ・ガガギゴ.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 명칭=기가 가가기고, 일어판 명칭=ギガ・ガガギゴ, 영어판 명칭=Giga Gagagigo, 레벨=5, 속성=물, 종족=파충류족, 공격력=2450, 수비력=1500, 효과외1=강대한 악에 맞서기 위해\, 다양한 육체 개조를 시행한 결과 무서울만한 파워를 손에 넣었지만\, 그 대가로 정의의 마음을 잃어버렸다.)] 그를 개조한 자는 역시 몬스터 카드로 존재하는 마도학자 '[[코잣키]]'. [[플레이버 텍스트]]를 보자면 '''정의를 위해 자신을 희생했으나 정의의 마음을 잃어버린''' 어찌보면 상당히 슬프고 안쓰러운 스토리다. 레벨 5에 공격력 2450이라는 수치 자체도 나쁘지 않지만 이 카드의 진가는 '''[[전설의 도시 아틀란티스]]와 함께 사용하는 것.''' 릴리스도 없이 단번에 공격력 2450+200짜리 몬스터가 튀어나와 난리를 치는 것이 가능. 이런 짓이 가능한 몬스터 중 최강의 스펙을 지니고 있으므로 아틀란티스 주축의 덱에서는 주력 카드가 된다. 아틀란티스 없이 어드밴스 소환하더라도 기본 스펙만으로도 어지간한 레벨 6까지의 몬스터는 때려잡는 것이 가능하다. [[사이바테크 와이반]] 다음으로 강한 레벨 5 일반 몬스터니까. 자매품으론 같은 레벨 5의 물 속성 몬스터인 [[제노사이드 킹 새먼]]이 있다. 이 몬스터의 경우에는 어류족이고 기본 공격력이 2400. === 고기가 가가기고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1859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 명칭=고기가 가가기고, 일어판 명칭=ゴギガ・ガガギゴ, 영어판 명칭=Gogiga Gagagigo, 레벨=8, 속성=물, 종족=파충류족, 공격력=2950, 수비력=2800, 효과외1=이미 정신은 붕괴하여\, 육체는 더한 힘을 찾아서 폭주한다. 그 모습 속에 예전의 면모는 없으니...)] 가가기고 시리즈의 최종형태. 레벨이 7도 아니고 8이라 전설의 도시 아틀란티스의 득을 볼 수 없고 레벨 8이면 이보다 더 강한 카드가 넘쳐나는지라 어드밴스 소환하기도 좀 아깝다. 카드의 내용과 함께 활용도마저 비극으로 치닫아버린 카드. 다른 고레벨 고스펙 일반 몬스터 쓰듯 [[고대의 룰]]이나 [[정통한 혈통(유희왕)|정통한 혈통]] 등으로 써먹는 것은 일단 가능하니 사용한다면 그쪽을 노리는 것이 좋다. 오랫동안 파충류족 중 최강의 원래 공격력을 지켜온 카드이다. 2021년 [[명세계]] 테마의 에이스 몬스터인 명세계신-오그도어비스가 원래 공격력 3100으로 이를 갱신하였다. 반대로 말하자면 그만큼 파충류족 몬스터들의 타점이 3000을 넘는 카드가 하나도 없었던 셈이니 이 종족의 불우함을 몸소 증명해주었다고 할 수 있다. 일반 몬스터 중 공격력 2위라는 점에서는 의미가 크다. 물론 공격력은 [[푸른 눈의 백룡]]이 1위. 단 수비력은 그 백룡보다 높아서 [[소생 혼]]을 쓸 경우엔 백룡보다 잠깐이나마 우월한 기분을 맛볼 수 있다. 이 점때문에 아틀란티스를 쓰는 물 속성 덱보다는 레벨8 바닐라 몬스터를 모아 싸우는 정통 바닐라 덱에서 4장째의 백룡으로 채용되던 카드였으나, 공격력은 같으나 수비력이 더 높은 상위호환 [[라비 드래곤]]이 나옴에 따라 이 자리마저도 빼앗기고 말았다. 게다가 이후 [[은룡의 굉포]] 같은 카드까지 나오면서 레벨 8 바닐라를 7장 이후까지 넣는다 해도 [[트라이혼 드래곤]] 같은 것과 저울질해봐야 할 상황이 되었다. 이 카드를 활용한다면 파충류족 덱에서 2800라인을 발라먹는 용도로 채용하거나, 물 속성 일반 몬스터 덱을 만드는 쪽을 생각해보자. 이쪽도 [[스파이럴 드래곤]]과 세트를 이루어 백룡 - 라비 드래곤 조합처럼 사용할 수는 있다. 이 경우 공격력도 딸리고 서로 종족도 다르고 애초에 은룡의 굉포 같은 서포트도 없으니 물 속성 서포트를 얼마나 잘 살려내느냐가 관건이다. 여담으로 이름이 [[회문]]이다. 다만 이름 중간에 [[띄어쓰기]]를 표시하는 [[가운뎃점]]이 있어서 엄밀한 의미에서의 회문은 아니고, 정확히 같은 이유로 [[유희왕 ZEXAL|훗날]] 등장한 [[가가가]] 카드군에도 속하지 않는다. 한글판 카드를 일본인에게 보여주면 카드명이 'エフフ フフフエ' 내지는 '[[ヱ]]フフ フフフ[[ヱ]]' 같다며 재미있어한다. === [[각성의 용사 가가기고]] === 가가기고가 정의를 되찾은 [[엑시즈 소환|엑시즈]] 바닐라 몬스터 카드이다. 문서 참조. === [[지고바이트]] === 수령사 에리아의 사역마로 환생한 가가기고. 문서 참조. === [[령사#수령사 에리아|수령사 에리아]] === == 기타 == 한창 수덱의 현역이던 시절 동레벨 일반 몬스터의 공격력 상한에서 50 낮은걸로 통일되어 있다는 특징이 있다. 기고바이트는 당시 1레벨 상한이 400이었고, 4레벨은 1900, 5~6레벨은 2500, 7레벨이상은 3000으로 각 레벨대의 공격력에서 딱50만 빼면 해당 카드군의 공격력이라는 특징이 있었다. ||[[파일:PlayerIcon_0018.webp]]||[[파일:PlayerIcon_0019.webp]]||[[파일:PlayerIcon_0020.webp]]|| [[유희왕 크로스 듀얼]]에는 미션으로 획득할 수 있는 프로필 아이콘 중에 기고바이트, 가가기고, 기가 가가기고를 의인화한 것이 있다. === 스토리 === 그가 출연하는 카드들과 마스터 가이드의 내용에 의해 다음과 같은 내용들을 알 수 있다. 잘 보면 알겠지만 일반 몬스터 주제에 쓸데없이 설정이 자세하다. 심지어 일생에 분기 루트까지 있다. [[괴축일색|허구한 날 다른 몬스터들에게 깨지는게 일상인]] [[약육일색|약소 몬스터들 중 하나]]였던 기고바이트는 [[트라이앵글 파워]]에 의해 가가기고로 진화한 후, 악행을 벌이기 시작한다. 그러던 어느 날, 가가기고는 사람들을 습격하던 사악한 몬스터인 [[대목인18]][* 대목인 18의 텍스트 참조.][[더블 어택(유희왕)|들을]] [[증원(유희왕)|토벌]]하고 있던 [[선봉 대장]]을 만나게 되었고, 그 와중에 [[대목인18|화염목인18]]이 습격해 오면서, 결국 [[투맨 셀 배틀|선봉대장과 함께 힘을 합쳐 화염목인18에게 맞서 싸우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선봉대장이 [[내몸을 방패로|화염목인18의 공격을 대신 맞아주어, 가가기고를 구해주었고]], 자신을 희생해서 남을 구하는 그의 모습을 본 가가기고는, 자신도 선봉 대장과 같은 정의로운 마음을 깨닫게 된다. 화염목인18과의 싸움이 끝난 뒤, 가가기고는 선봉대장의 상관인 [[프리드(유희왕)|방랑의 용자 프리드]]와도 만나게 되었고, 프리드와 친해져서 서로 대련도 하고 경쟁도 하는 사이인 일종의 라이벌 관계가 되었다. 전적은 가가기고 시점에서 50전 24승 26패 라고.[* 선봉대장이 쓰러진 것을 본 프리드가 가가기고를 오해하여, 그를 공격했다는 해석도 있다.] 그러던 어느 날, 어김없이 [[프리드(유희왕)|프리드]]와 가가기고가 대련을 하던 중, 하필이면 가가기고가 있던 장소에 [[차원 유폐|이차원의 문이 열려버렸고]], 그로 인해 가가기고는 [[이차원의 경계선]]으로 넘어가 버리고 말았다. 다른 세상으로 넘어간 가가기고는 그곳에서 사람들을 공격하는 [[암흑의 침략자]]를 목격하고는 [[절체절명|사람들을 지키기 위해 그와 맞서게 되었다.]] 하지만 [[스피릿 배리어|암흑의 침략자는 너무나도 강했고]], [[스텀블링|결국 가가기고는 패배하고 말았다.]] 악에 맞서기 위해선 더욱 강해질 필요가 있다고 느낀 가가기고는 [[코잣키]]로부터 [[레벨 변환 실험실|레벨 변환 수술]]을 받게 되었고, 이후 강대한 힘을 얻는 데까지는 성공했지만 생체실험의 부작용으로 가가기고의 정신은 정의로운 마음을 잃고 붕괴되기 시작했다. 코잣키는 [[강제 탈출 장치]]를 이용해 난폭해진 가가기고를 날려버린다. 그 후 기가 가가기고는 [[몬스터 게이트(유희왕)|몬스터 게이트]]를 타고 본래 차원으로 돌아와선 프리드를 습격했다. 그러나 가가기고가 없는 사이에 이전보다 강해져 있었던 프리드는 [[드레인 실드|기가 가가기고의 공격을 막아내고]], [[데스 카운터|오히려 튕겨내 버렸다.]] 정의의 마음도 잃고 프리드에게도 패배한 기가 가가기고는 계속 떠돌던 도중 [[베놈(유희왕)|베놈 코브라]]에게 [[베놈(유희왕)#s-9.2.2|물리게 되었는데]], 베놈 코브라의 독은 기가 가가기고의 몸을 이전보다 강화시켰지만 그와 동시에 그의 정신을 붕괴시켜 폭주하게 만들어서 고기가 가가기고로 변화시켰다. 기가 가가기고가 떠도는 사이에 세월이 흘러 [[프리드(유희왕)|무적장군 프리드]]가 되어있던 프리드는 이성을 잃고 폭주하며 마구 날뛰게 된 고기가 가가기고를 [[돌격지령|막으려고 했지만]], 이미 [[대목인18|대목인]]은 물론 이전의 강적이었던 [[암흑의 침략자]]마저 쓰러트린 고기가 가가기고에게 프리드는 더 이상 상대가 되지 못했다. 그러나 이때 [[전사의 생환|죽은 줄로만 알았던 선봉 대장이]] [[호적수의 기억|고기가 가가기고의 앞에 나타났고]], 폭주하던 고기가 가가기고는 자신을 가로막는 선봉대장을 보며 [[전우의 맹세|옛 기억을 다시 떠올리게 된다.]] 정신을 차린 가가기고는 스스로를 [[신비의 중화냄비|제물의 제단]]의 제물로 바치는 것으로 최후를 맞이하게 된다. 이렇게 워낙 비참한 모습만 계속 나와서 꽤 오랫동안 암울한 이야기만이 나돌아다녔지만, [[령사|사령사]] 중 한명인 수령사 에리아가 데리고 다니는 사역마가 기고바이트의 모습이고, 에리아가 빙의장착 상태가 되면 기고바이트도 가가기고의 모습으로 변하는 것으로 보아, 고기가 가가기고가 사망한 뒤 에리아의 정령으로 환생한 듯 하며, 이 외에도 가가기고가 폭주하지 않고 온전하게 힘을 얻은 듯한 모습인 각성의 용사 가가기고가 나와주기도 했다. 그런데 다른 카드인 [[차원 장벽]]의 일러스트를 보면, 각성의 용사 가가기고의 스토리 라인에서는 원래 세계로 돌아오는데 실패한 모양이다.[* 그나마 다행인건 예전처럼 비극적인 결말이 아니라 제대로 성장한 모습을 선봉대장에게 보여줄 수 있었던 것 정도.] NDS용 게임 [[유희왕 월드 챔피언쉽 2008]]에서 이 스토리를 일부 재현한 이벤트가 벌어진다. 단 여기서는 기고바이트에서 바로 기가 가가기고로 넘어가버린다. 그밖에 [[https://yugioh.fandom.com/wiki/Card_storylines#%22Gagagigo%22|영어 유희왕 위키의 카드 스토리 페이지의 가가기고 문단]]에는 에리아를 포함하여 가가기고가 등장하는 모든 카드를 사용해 스토리를 예상해놓았으니 영어 실력이 된다면 한번 읽어보자. [[분류:유희왕/OCG/파충류족]][[분류:유희왕/OCG/일반 몬스터]][[분류:유희왕/OCG/오리지널 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