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카드군/지정되지 않는 경우]] [include(틀:다른 뜻1, other1=가드너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Gardener, rd1=정원사, other2=메이저리그 뉴욕 양키스 소속의 야구선수, rd2=브렛 가드너)] || 한국판 명칭 ||'''가드너'''|| || 일본판 명칭 ||'''ガードナー'''|| || 영어판 명칭 ||'''Gardna'''|| [목차] == 개요 == [[유희왕/OCG]]의 카드 시리즈 중 하나. 전부 공유하는 것은 "가드너"라는 이름 뿐, 이들을 하나로 묶는 카드는 애초에 존재하지 않는다.[* 대체로 전사족이긴 하다만은 꼭 그렇지도 않으니까...] 애초에 아주 먼 옛날 나온 매직 가드너의 영판 명칭이 Magic Reflector가 되어서 일판과 다르므로, [[데몬(유희왕)|이런]] [[환상수|걸로]] 골치 썩이기 싫을 코나미는 이 카드를 묶을 생각도 없을 것이다. 이름은 정원사를 뜻하는 Gardener가 아니라 Guard + ~Er의 합성어로 추정된다. 다만 Guard는 본래 '지키다'라는 동사와 '지키는 자'라는 명사를 둘 다 포함하는 단어이기에 굳이 ~Er를 붙일 필요가 없다. 따라서 고유명사이므로, 북미 측에서도 아무 생각 없이 Guard나 Guarder를 썼다가 또 이름 분쟁에 휘말릴 것 같아서인지 역시 Gardna라는 고유명사를 사용하고 있다. 이래저래 이름 때문에 이리 채이고 저리 채이는 카드들. 이런 이상한 이름이 된 이유로 가장 유력한 추측은 그냥 '''원작자가 영어를 몰라서'''. 최초의 가드너가 원작에서 유우기가 유용히 써먹은 [[빅 실드 가드너]]인 데다, [[커스 오브 드래곤]]에서도 문법 오류를 일으킨 걸 보면 빼도 박도 못한다. 소속된 카드들은 전부 그 이름답게 상대의 공격이나 효과를 막아내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 메인 덱 몬스터 == === 효과 몬스터 === ==== [[가가가 가드너]] ==== ==== [[네크로 가드너]] ==== ==== [[데드 가드너]] ==== ==== [[레프티레스#s-2.6|레프티레스 가드너]] ==== ==== [[빅 실드 가드너#s-2|미들 실드 가드너]] ==== ==== [[빅 실드 가드너]] ==== ==== [[사막의 수호자]][* 일판에 붙어있는 루비가 "데저트 가드너"이다. 얘를 봐도 이 카드들이 카드군이 될 가능성은 저어어언혀 없단 것을 알 수가 있다(...).] ==== ==== [[선라이즈 가드너]] ==== ==== [[제로 가드너]] ==== ==== [[레드(유희왕)|레드 가드너]] ==== ==== [[록아웃 가드너]] ==== === 펜듈럼 몬스터 === ==== [[EM(엔터메이트)|EM 카드 가드너]] ==== == 엑스트라 덱 몬스터 == === 싱크로 몬스터 === ==== [[정크 가드너]] ==== === 링크 몬스터 === ==== [[시큐어 가드너]] ==== ==== [[프로토콜 가드너]] ==== == 마법 카드 == === [[매직 가드너]] === == 함정 카드 == === [[사이버 섀도우 가드너]] === == [[유희왕/OCG화되지 않은 카드|OCG화되지 않은 카드]] == === 백업 가드너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BackupGardna-OW.png]] || 한글판 명칭 ||<-4>'''백업 가드너'''|| || 일어판 명칭 ||<-4>'''バックアップ・ガードナー'''|| || 영어판 명칭 ||<-4>'''Backup Gardna'''||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유희왕/속성|어둠]] || [[전사족]] || 500 || 2200 || ||<-5>이 카드에 장착되어 있는 장착 카드를 다른 올바른 대상이 되는 몬스터 1장에 옮길 수 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도마 편|도마 편]]에서 [[라펠]]이 사용한 카드 중 하나. [[변덕스런 재단사]]의 효과를 내장한 몬스터. 효과에서부터 대놓고 [[가디언(유희왕)|가디언]]과 같이 쓰라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