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장착 마법]] [include(틀:관련 문서, top1=가디언(유희왕), top2=마력 카운터)] [목차] == 개요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장착 마법 카드. == 설명 == [[파일:ガーディアンの力.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장착=, 한글판 명칭=가디언의 힘, 일어판 명칭=ガーディアンの(ちから), 영어판 명칭=Power of the Guardians, 효과1=①: 장착 몬스터가 전투를 실행하는 공격 선언시에 발동한다. 이 카드에 마력 카운터를 1개 놓는다., 효과2=②: 장착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은\, 이 카드의 마력 카운터의 수 × 500 올린다., 효과3=③: 장착 몬스터가 전투 / 효과로 파괴될 경우\, 대신에 자신 필드의 마력 카운터를 1개 제거할 수 있다.)] 장착 몬스터가 전투를 실행하는 공격 선언시에 [[마력 카운터]]를 놓는 효과, [[마력 카운터]] 수에 따라 장착 몬스터의 강화 및 몸빵을 부여해주는 효과를 가진 장착 마법. 최초이자 유일한 [[마력 카운터]] 부여 효과를 가진 장착 마법이기도 하다. 공격 선언시마다 마력 카운터를 얹으면서 능력치를 올리며 장착 몬스터가 파괴될 경우 대신 마력 카운터를 제거할 수 있기에 마력 카운터 덱에선 꽤나 쏠쏠한 공격력 상승과 파괴 내성을 가질 수 있다. 상대의 공격 선언시에도 발동하는 덕분에 사실상 전투 파괴 내성을 부여하게 된다. 연속 공격 효과를 가진 몬스터에 장착하면 [[마력 카운터]]도 빠르게 많이 놓을 수 있으니 상승치를 극대화할 수 있다. [[중무장무사-벤 케이]]는 이 카드를 포함한 2장 이상의 장착 마법을 같이 써주면 3회 이상 공격이 가능해지니 강화 수치도 그만큼 비약적으로 늘어난다. 연속 공격 및 직접 공격이 가능한 [[LL-어셈블리 나이팅게일]]과도 궁합이 좋은 편이라 4장 이상의 엑시즈 소재만 갖고 있다면 원턴킬이 성립될 수 있다. [[문라이트 캣 댄서]]와도 궁합은 좋아서 몬스터 하나에 2번 공격이 가능하니 상대 몬스터가 2장 이상 있으면 2000 이상은 강화된다. [[거대전함]] 덱에 써보는 것도 재미있다. 소속 몬스터들이 카운터가 없는 상태에서 공격을 받아도 몸빵을 위한 마력 카운터가 생성되니 어쨌든 파괴는 막아주니까. [[No.39 유토피아]], [[마경도사 리플렉트 바운더]]도 마찬가지로 자기 효과로 자멸하는 것을 막아준다. 다만 후자의 두 몬스터들에겐 전투 파괴 내성이 없으니 다른 마력 카운터가 없으면 공격을 받을 때 그냥 전투로 파괴될 우려가 있다. [[마력 카운터]]를 다른 카드에 놓는 효과인 만큼 당연히 [[엔디미온(유희왕)|엔디미온]], [[매직비스트]] 같은 [[마력 카운터]] 관련 덱과도 상성이 좋다. 필드에 있는 다른 마력 카운터를 제거하면 장착 몬스터의 공격력을 깎는 일 없이 파괴 내성이 발휘된다. 특히 [[마법 도시 엔디미온]]은 고속으로 마력 카운터가 쌓이니 만큼 장착 몬스터의 내성을 유지시켜주며, 이 카드 자신이 파괴되면 쌓여있던 마력 카운터도 해당 카드로 옮겨간다. 내성을 얻는 건 어디까지나 장착 몬스터 뿐인 만큼 이 카드 자신은 파괴 효과를 벗어나지 못하니 주의할 것. 상술했듯 가디언이랑 별 관련 없는 효과지만 더블 공격을 부여해주는 섬광의 쌍검-트라이스와 함께 장착하면 트라이스로 내려간 공격력을 이 카드의 상승치로 커버하면서 더블 어택으로 매턴 공격력을 1000 올리는 식의 플레이가 가능하긴 하다. 또한 가디언 바오우에 장착시키면 바오우 자체의 공격력 상승 효과와 연계시켜서 바오우의 공격력을 실질적 1000포인트씩 올릴 수 있게 된다. 일본 내수판 기준으로 [[가디언(유희왕)|가디언]]이 처음 등장한 동명의 3기 부스터 팩 'ガーディアンの力'의 이름을 따온 카드로, 일러스트 역시 가디언들의 무기인 [[유성의 활-실]], [[중력의 도끼-그랄]], [[나비의 단검-엘마]], [[섬광의 쌍검-트라이스]], [[파사의 대검-바오우]], [[정적의 로드-케이스트]]가 시계 방향으로 모여있다. 효과는 기존의 [[가디언(유희왕)|가디언]] 테마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어쨌든 가디언 카드인 만큼 [[웨폰 서머너]]로 서치해올 수 있다. 특정 개념의 수에 따라 장착 몬스터의 능력치를 올리는 효과는 [[단결의 힘]], [[마도사의 힘]] 등을 의식한 것으로도 보인다. === [[유희왕 듀얼링크스]] === 훌륭한 성능에 비해서 등급이 낮은 N 사양으로 발매되었다.[* 등급과 성능이 비례하지 않는 카드야 많지만 거의 등급에 비해 성능이 쓰레기인 카드들이며, 등급에 비해 성능이 좋은 카드는 드물다.] 덕분에 초보들이 많은 실버, 골드 등에서는 많이 쓰인다.[* 물론 공격이 아닌 다른 방법으로 파괴 가능하다. 다만 등급 대비 성능이 뛰어나 채용율이 높은 것이다.] 한가지 약점은 '''장착 몬스터는 확실하게 지켜주지만 가디언의 힘 자체는 아무런 내성이 없다는 것.''' 따라서 아머 브레이크 등의 대장착마법 카드는 물론, 평범한 리버스 카드 파괴 효과, 필드상 지정 카드 파괴/제외에는 카운터 수와 관계없이 아무런 힘을 못쓰고 파괴/제외된다. 때문에 티어권에서는 마함 대처 능력이 뛰어나 가디언의 힘은 제 기능을 발휘하기 힘들다.[* 간단한 예로 [[푸른 눈]] 덱에서는 [[하얀 영룡]]으로 마법 / 함정을 제외하고, [[유벨]] 덱에서는 [[네프티스의 봉황신]]으로 마법 / 함정을 전부 파괴하며, [[서브테러]] 덱에서는 서브테러마리스 리그리어드로 제외하거나 서브테러마리스 바레스애시로 몬스터를 뒤집어 장착 카드를 자괴시키고, [[아로마(유희왕)|아로마]] 덱에서는 아로마지-카낭가(되돌리기)나 [[아로마세라피-로즈마리]](무효화)로 마력 카운터를 제거할 수 있으며, [[앤틱 기어]] 덱은 [[기어 타운]]을 빨리 파괴하기 위해 마법 / 함정 파괴 카드들이 필수적으로 채용되며 데스페라도 속사포 드래곤 덱들은 전투를 해야 마력 카운터가 쌓이는 이 카드를 전투를 안하고 파괴시킨다. 더 간단하게 채용률이 높은 [[버제스토마|버제스토마 카나디아]], [[코즈믹 싸이크론]]으로 해결된다.] 그래도 전투로 장착 몬스터를 파괴할 수 없다는 것만으로도 강력한 장점이며, 특히 [[붉은 눈의 흑인룡]] 같은 몬스터와의 조합은 상당히 훌륭하다. 대상 지정 내성을 얻게 되어 붉은 눈 덱에 채용률이 상당히 증가하였다. 2020년 중반기 기준으로 온갖 범용 카드들이 범람하면서, 가디언의 힘이 활약하던 시기와 비교도 안 될 정도로 파괴 이외의 수단 및 마함 파괴 수단이 늘어났고, 이 카드는 상위 랭킹에선 완전히 자취를 감췄다. 그나마 시너지가 좋아 잘 조합되던 붉은 눈 덱은 티어에서 밀려난지 오래. 길거리 오토용으로 애용받는 카드지만 주의할 것이, 엑스트라 덱과 고렙 몬스터를 사용하지 않는 방향으로 짜야 한다. '''형편없는 AI는 가디언의 힘에 마력 카운터가 만 개, 억 개 쌓여있어도 오로지 하급 몬스터의 원래 스탯만으로 그 몬스터의 가치를 판단하며,''' 고화력 + 파괴 내성의 몬스터를 그냥 싱크로, 엑시즈 소재 또는 어드밴스 소환용 제물로 처분시키는 트롤링을 한다. 랭킹 듀얼이면 모를까 길거리 오토용에서 이러는 건 거의 손해다. 길거리 CPU가 고렙이면 포스나 몬스터 효과 발동 무효 및 파괴 효과도 사용하기 때문에 엑스트라 덱에서 불러온 몹이 그냥 터져 큰 손해를 보는 일이 적지 않게 발생한다. 만약 안정적인 승률이 보장되는 가디언의 힘 길거리 오토용 덱을 짜고 싶다면 하급 몬스터만으로 비트덱을 짜야 한다. [[가디언(유희왕)|가디언]] 카드인 덕분에 [[미궁형제(유희왕 듀얼링크스)|미궁 형제]]의 스킬인 '가디언 호출'로도 서치할 수 있다는 것 역시 장점. == 수록 팩 일람 == ||수록 시리즈 || ||<(> 2017-10-1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EXFO-JP060 | '''[[극한의 힘|EXTREME FORC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8-01-17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EXFO-KR060 | '''[[극한의 힘]]'''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8-02-02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EXFO-EN060 | '''[[극한의 힘|EXTREME FORC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18-08-3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MP18-EN208 | 2018 MEGA-TINS MEGA PA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