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현대전/미국 함선)]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F-1040 가르시아.jpg|width=100%]]}}} || |||| {{{#fff '''Garcia-class frigate'''}}} || [목차] == 개요 == 가르시아급은 [[미국 해군]]이 운용하던 [[호위함]]으로, 1975년까지 [[호위구축함]]이었다. 이전의 [[브론스타인급 호위함|브론스타인급]]보다 크며, 이후 파생형인 [[브룩급]]이 취역했다. 1975년 미국 해군은 호위구축함(DE)을 호위함(FF)으로, 미사일 호위구축함(DEG)을 미사일 호위함(FFG)로 바꿨다. 이에 따라 가르시아급은 호위함으로 재분류되게 된다. 4척의 가르시아급 호위함은 퇴역 후, [[브라질 해군]]에 파라급 구축함으로 명명되어 재취역하게된다. == 제원 == ||<-3> {{{#fff {{{+1 '''가르시아급 호위함'''}}}[br]'''''Garcia-class'' frigate'''}}} || ||<-2> '''이전급''' ||[[브론스타인급 호위함|브론스타인급]] || ||<-2> '''다음급''' ||[[녹스급]] || ||<-2> '''경하배수량''' ||2,624톤 || ||<-2> '''전장''' ||126.34m || ||<-2> '''전폭''' ||13.44m || ||<-2> '''흘수''' ||7.47m || ||<-2> '''최고 속력''' ||27노트 (약 50km/h) || ||<-2> '''항속거리''' ||20노트 (약 37km/h) 순항 시 7,400km || ||<-2> '''출력''' ||35,000SHP || ||<|3> '''동력''' ||<|2> '''기관''' ||포스터-휠러 [[보일러]] 2기 || ||[[증기 터빈]] 1기 || || '''추진''' ||1축 [[프로펠러]] || ||<|2> '''승조원''' || '''장교''' ||16명 || || '''수병''' ||231명 || ||<|3> '''레이더''' || '''대함''' ||AN/SPS-10 || || '''대공''' ||AN/SPS-40 || || '''사격통제''' ||Mk.56 || || '''소나''' || '''함수''' ||AN/SQS-26 || ||<|3> '''무장''' || '''함포''' ||Mk.30 [[5인치 38구경장 양용포]] 2문 || ||<|2> '''대잠''' ||8연장 [[RUR-5 ASROC|Mk.16 ASROC]] 발사대 1기[* 미사일은 총 16발] || ||3연장 12.75인치 [[Mk.46 경어뢰]] 발사관 2기[* [[Mk.37 중어뢰]] 발사관 2문도 있었으나 철거] || ||<-2> '''탑재 항공기''' ||QH-50 DASH → [[SH-2]] LAMPS 1기 || == 설명 == 냉전 발발과 동시에 소련은 잠수함으로 계속 미국을 도발하였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에선 당연히 신규 구축함이 많이 필요했지만 예산이 부족하였다. 그래서 2차 세계 대전 당시의 알렌 M. 섬너급, 기어링급을 대잠용으로 개량하려고 했다. 그러나 생각해 보니 아무리 그래도 [[노인 학대#s-2.1|그런 구시대적 배를 쓰는 건 아닌 것 같아]] 예산을 쥐어짜내어 브론스테인급 호위구축함을 개발했다. [[파일:nnvvbb.png]] 하지만 소련의 잠수함 개발 능력은 예상보다 더 위협적이었다. 기존의 [[로미오급 잠수함|로미오급 디젤 잠수함]] 정도는 속력이 느려서 보통의 호위구축함으로도 쉽게 대응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렇게 안심하는 사이에 [[노벰버급 잠수함|노벰버급 핵추진 잠수함]](사진)이 등장했다.[* 수중 속력이 30노트나 되는 괴물이다. 당시 미국 호위구축함은 빨라 봐야 25노트를 겨우 넘기는 정도.] 겨우 찾아내도 추격은 불가능에 가까웠다. 심지어 소련의 장거리 대함 미사일도 꾸준히 나와서 대공 체계 향상도 필수였다. [[파일:1040-1.png]] 그래서 미국은 대잠, 대함, 대공이 가능한 미사일 호위구축함(...)을 만들기로 했는데, 그렇게 나온 게 [[가르시아급 호위함|가르시아급]](사진), [[브룩급 호위함|브룩급]]이다.[* 외형이 비슷한데, [[RIM-24 타터]] 대공 미사일을 장착하면 브룩급이다.] 증기 터빈 압력을 올려 최고 속력을 29노트로 높였다. [[파일:222A1C3A57D83E070D.jpg]] * QH-50 DASH('''D'''rone, '''A'''nti-'''S'''ubmarine '''H'''elicopter) 또한 호위구축함 최초로 무인 헬기를 탑재했다.[* FF-1041 브래들리에만 탑재됐는데, 그 마저도 딱히 좋은 실적은 없었다.] 덕분에 잠수함 추격이 훨씬 수월해졌다. 또 미사일보단 폭뢰, 어뢰를 주로 써 함미 갑판을 보다 낮게 설치했다. 이러한 설계로 인해 파도에 약해져서 평갑판과 고장력강으로 보강했다. 가르시아급의 경우, 성능은 만족스러워 11척 건조되었으나 브룩급은 성능과 건조비가 발목을 잡아 6척이 끝이다. == 동형함 목록 == ||<-7>
{{{#fff 미국 해군}}} || || || '''함번''' || '''함명''' || '''취역''' || '''퇴역''' || '''재취역''' || '''재퇴역''' || || '''1''' || FF-1040 ||[[https://en.wikipedia.org/wiki/Fernando_Luis_Garc%C3%ADa|가르시아]] (Garcia)[*P 재취역 및 퇴역일은 [[파키스탄 해군]] 기준] || 1964년 12월 21일 || 1989년 1월 31일 || 1975년 6월 30일 || 1989년 1월 31일 || || '''2''' || FF-1041 ||[[https://en.wikipedia.org/wiki/Willis_W._Bradley|브래들리]] (Bradley)[*B 재취역 및 퇴역일은 [[브라질 해군]] 기준] || 1965년 5월 15일 || 1988년 9월 30일 || 1989년 9월 25일 || 2004년 3월 11일 || || '''3''' || FF-1043 ||[[https://en.wikipedia.org/wiki/Edward_Orrick_McDonnell|에드워드 맥도넬]] (Edward McDonnell)[*U 재취역 및 퇴역일은 미국 해군 기준] || 1965년 2월 15일 || 1988년 9월 30일 || 1975년 6월 30일 || 1992년 12월 15일 || || '''4''' || FF-1044 ||[[https://en.wikipedia.org/wiki/Frank_H._Brumby|브럼비]] (Brumby)[*U] || 1965년 8월 5일 || 1989년 3월 31일 || 1975년 6월 30일 || 1994년 7월 1일 || || '''5''' || FF-1045 ||[[https://en.wikipedia.org/wiki/Lyal_A._Davidson|데이비슨]] (Davidson)[*B] || 1965년 12월 1일 || 1988년 12월 8일 || 1989년 7월 25일 || 2002년 7월 26일 || || '''6''' || FF-1047 ||[[https://en.wikipedia.org/wiki/Richard_George_Voge|보게]] (Voge) || 1966년 11월 25일 || 1989년 8월 23일 |||| || || '''7''' || FF-1048 ||[[https://en.wikipedia.org/wiki/William_Sample|샘플]] (Sample)[*B] || 1968년 3월 23일 || 1988년 9월 23일 || 1989년 4월 15일 || 2004년 11월 ?일 || || '''8''' || FF-1049 ||[[https://en.wikipedia.org/wiki/John_Kelvin_Koelsch|코엘슈]] (Koelsch)[*P] || 1968년 10월 19일 |||| 1989년 5월 31일 || 1994년 8월 19일 || || '''9''' || FF-1050 ||[[https://en.wikipedia.org/wiki/Albert_David|앨버트 데이비드]] (Albert David)[*B] || 1968년 10월 19일 || 1988년 9월 28일 || 1989년 9월 18일 || 2008년 11월 12일 || || '''10''' || FF-1051 ||[[https://en.wikipedia.org/wiki/Joseph_T._O%27Callahan|오캘러헌]] (O'Callahan)[*P] || 1968년 7월 13일 || 1988년 12월 20일 || 1989년 2월 8일 || 1993년 12월 11일 || || '''11''' || FF-1098 ||[[https://en.wikipedia.org/wiki/John_Glover_(general)|글로버]] (Glover) || 1965년 11월 13일 || 1990년 6월 15일 |||| ||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전/브라질 함선)] [include(틀:현대전/파키스탄 함선)] [include(틀:해상병기 둘러보기)] [[분류:호위함]][[분류:해상 병기/현대전]][[분류:미군/군함]][[분류:브라질군/군함]][[분류:파키스탄군/군함]][[분류:1964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