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가면라이더 목록/블레이드)] [include(틀:헤이세이 라이더/4호 라이더)] ||<-2> '''{{{#white [[가면라이더 블레이드|{{{#white 가면라이더 블레이드}}}]]의 등장 [[가면라이더|{{{#white 가면라이더}}}]]}}}''' || ||<-2> [[파일:list_image (21).png|width=70%]] || || '''명칭''' || 가면라이더 렌겔[br](仮面ライダーレンゲル)[br]KAMEN RIDER LEANGLE || || '''장착자''' || '''[[카미죠 무츠키]]'''[* 주 장착자.][br][[키류 고우]][* 본편 중반부에 잠깐 장착한 적이 있다.][br][[쿠로바 무츠키]][* [[가면라이더 디케이드]]: [[블레이드의 세계]].] || ||<-2> {{{#!folding 【 기본 스펙(에이스 폼 기준) 보기/접기 】 || '''[[변신벨트|{{{#black 변신벨트}}}]]''' || 렌겔 버클 || || '''키''' || 205cm || || '''무게''' || 111kg || || '''펀치력''' || 300AP=3t || || '''킥력''' || 490AP=4.9t || || '''도약력''' || 30m || || '''질주력''' || 100m / 5초 || || '''주요 아이템''' || [[라우즈 카드]] || || '''주무장''' || [[라우저|렌겔 라우저]] || || '''전용 비클''' || [[그린 클로버]] || || '''테마곡''' || HERO || || '''[[슈트 액터|{{{#black 슈트 액터}}}]]''' || [[오카모토 지로]] || }}} || [목차] [clearfix] == 개요 == [[가면라이더 블레이드]]의 [[가면라이더 시리즈/4호 라이더|4호 라이더]]. == 폼 == === 렌겔 === [[파일:leangle.png|width=200]] 체인지 스파이더 [[라우즈 카드]]가 삽입된 렌겔 버클을 조작해 변신한 렌겔 기본 폼. [[카미죠 무츠키]]가 장착하는 가장 후계기의 라이더 시스템·〈렌겔 크로스〉를 장착해 변신한다. 본편에서는 무츠키 말고도 전 [[BOARD]]연구원이었던 [[키류 고우]]가 잠시 변신한 적이 있었다. 주인공인 켄자키 카즈마의 경우도 변신할 뻔했지만 적합도가 낮아 바로 변신이 해제되었다. 근데 무츠키는 처음에 이사카한테 잡혀가서 적합자인지 실험을 할 때 렌겔로 변신이 안 됐는데, 어쩌면 스파이더 언데드가 무츠키를 조종하기 쉽도록 처음엔 적합자가 아닌 것처럼 보이게 하기 위해 일부러 변신을 무효화 한 것일 수도 있다. 국내판에선 미묘하게 "'''렝'''겔"이란 이름으로 개명. "렌겔"이란 이름은 어보리진의 말로 [[지팡이]]를 뜻하는 '''"leangle"'''에서 유래되었다.('''지팡이'''는 클럽(♣) 마크를 상징한다). 외관은 '''클럽(♣) 마크'''와 ♣A의 [[스파이더 언데드]]='''산왕거미(Araneus ventricosus)'''를 모티브로 디자인되었다. 기본 칼라는 초록색(보틀 그린, Bottle Green). 사실 "렌겔 크로스"는 [[이사카(가면라이더 블레이드)|이사카]](피콕 언데드)가 [[카라스마 케이]] 등의 이전 [[BOARD]]에서 라이더 시스템의 제작에 참여했던 연구원들을 [[마인드 컨트롤|조종]]해서 제작시킨 라이더 시스템이다. 하지만 문제는 사악한 [[스파이더 언데드]]가 일부러 봉인당해서 사악한 의지가 렌겔의 이마에 박힌 보석-〈스파이더 스피리티아〉를 통해 장착자에게 주입되어, 스파이더 언데드가 렌겔의 장착자를 마음대로 지배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A Change Spider」를 렌겔 버클에 내장된 〈라우즈 트레이〉에 장전하면, 버클에서 카드 형태의 벨트-〈셔플 랩〉을 자동적으로 생성하면서 허리에 버클이 장착된다. 그리고 버클부의 〈미스릴 게이트〉를 왼쪽으로 열면, 「OPEN UP」음성과 함께 "렌겔 크로스"를 분해한 빛의 게이트-〈스피리티아 엘레먼트〉가 장착자의 전면에 방출된다. 그리고 엘리먼트가 자동적으로 장착자를 통과하면서 1/500초안에 렌겔로 변신한다. 변신할때 엘리먼트 발생시의 충격파로 적을 튕겨내버릴수도 있다. 기존의 [[BOARD]]제 라이더 시스템을 한단계 발전시킨 시스템으로, 작중에선 [[이사카(가면라이더 블레이드)|이사카]]가 '''"최강~~[[온두루어|(웃음)]]~~의 라이더"'''라고 소개하기도 했다. 슈츠와 장갑이 초금속 〈스피리티아 에메랄드〉로 제작되어있는 등 기존의 [[BOARD]]제 라이더 시스템과는 차이가 있다. 클럽(♣)의 [[라우즈 카드]]를 지니고 있으며, 카드를 다량으로 사용해 상대를 압도하는 전법과 「♣6 BLIZZARD」에서 발생하는 '''"[[얼음]]"'''의 에너지를 주축으로 해서 싸우며, 「♣10 REMOTE」를 이용해 [[언데드(가면라이더 블레이드)#s-3|상급 언데드]]와 협력하는 전법도 구사한다. 특정 라우즈 카드를 연달아 라우즈하는 것으로 카드콤보가 발동되며, 콤보가 발동했을 시 라우저에서 콤보명이 음성으로 나온다.[* 단, 정식 콤보명이 없는 경우, 콤보용으로 라우즈한 카드의 효과명만 음성으로 나온다.] 후반부에 나와서 그런지 콤보가 상당히 적은 편이고 3장 이상 사용하는 콤보도 하나 밖에 나오지 않았다.[* 특히 블레이드, 갸렌, 카리스가 다 가지고 있는 3장짜리 강화형 라이더 킥 필살기가 렌겔은 없다.] 35화에서 우연히 카리스의 카드를 입수하게 되어 카리스의 스피닝 댄스를 사용한 적이 있는데, 이 때 기술명은 라우저의 음성이 아니라 무츠키 본인이 직접 외쳤다. 중반부 이후엔 무츠키가 스파이더 언데드에게 거의 완전히 지배당하나, 나중에 --무츠키의 삽질-- 갸렌용 라우즈 업소버를 사용하여 킹폼으로 변신하려 했을 때, 오히려 변신이 풀려 버리면서 불완전하게 봉인되었던 스파이더 언데드의 봉인이 풀려버린다. 이것은 [[죠 히카루|타이거 언데드]]의 힘을 빌려서 [[시마 노보루|타란튤라 언데드]]가 그를 스파이더 언데드의 족쇄에서 풀어준 것으로, 그 상태의 무츠키는 외형은 사람이지만 힘 자체는 타란튤라 언데드의 힘을 사용하고 있었다. 자세한건 밑에 킹폼(?) 참고 후에 이 렌겔 시스템을 기초로 만들어진 것이 [[극장판 가면라이더 블레이드 MISSING ACE]]의 '''신세대 라이더''' 3인방인 [[가면라이더 글레이브|글레이브]], [[가면라이더 라르크|라르크]], [[가면라이더 랜스|랜스]]다. 그래서 변신 방법과 변신음도 렌겔과 동일하다. *변신음 || '''{{{#!html OPEN UP!}}}''' || *무장 - '''{{{#!html 성장 렌겔 라우저}}}''': 불교에서 쓰이는 [[석장]]같은 모습을 하고있다. 초기 AP수치는 6000AP. 끝부분에는 〈클로버 엣지〉가 달려있으며 반대편 끝부분에 설치된 〈슬래쉬 리더〉에 [[라우즈 카드]]를 라우즈해서 카드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지팡이의 길이는 조절할 수도 있으며, 짧은 지팡이 형태의 〈대거 모드〉와 지팡이를 늘리고 끝부분의 엣지를 3날로 전개한 〈재퍼 모드〉 2개의 모드로 사용할 수 있다. *필살기 - '''{{{#!html 블리자드 게일}}}''': ♣3+♣6(스크류+블리자드). 소용돌이치는 냉기를 주먹에 휘감아 강력한 스크류 펀치를 날린다. 그밖에도 강력한 냉기를 주먹에서 발사해서 상대를 얼려버릴 수도 있다. AP 1800 (위력 18톤). - '''{{{#!html 블리자드 크러시}}}''': ♣5+♣6(바이트+블리자드). 공중으로 높이 점프하면서 냉기를 내뿜어 상대를 얼려버린 다음, 얼음의 에너지를 실은 양다리로 마치 상대를 물어뜯듯이 크로스킥을 날려 산산조각낸다. AP수치 : AP 2400 (위력 24톤). - '''{{{#!html 블리자드 베놈}}}''': ♣4+♣6+♣8(러쉬+블리자드+포이즌). 렌겔 라우저에서 냉기를 방사해 상대를 굳힌 후, 독이 묻은 클로버 엣지를 상대에게 꽂아넣어 맹독을 주입한다. 케르베로스와 융합한 [[텐노지 히로시]]에게, [[가면라이더 블레이드(가면라이더)#s-2.3|블레이드 킹폼]]의 "로얄 스트레이트 플래시"와 [[가면라이더 카리스#s-1.1|와일드 카리스]]의 "와일드 사이클론"와의 연계기로 사용했다. AP 3800 (위력 38톤). * 카드 콤보 기술[* 명칭은 없고 라우저 음성도 나오지 않지만 마치 필살기처럼 기술을 사용한 연출이 나온다.] - ♣3+♣4(스크류+러쉬): 적을 향해 돌격하면서, 렌겔 라우저를 회전시켜 날카롭게 적을 찌른다. AP 1400 (위력 14톤). === 잭 폼 === [include(틀:헤이세이 라이더/4호 라이더 강화 폼)] [[파일:S.I.C.-SIC-Kamen-Rider-Leangle-Jack-Form-Hobby-Japan-Limited-Masked-Blade-01.jpg|width=350]] ||신장: 205cm 체중: 131kg 펀치력: 370AP(3.7톤) 킥력: 580AP(5.8톤) 점프력: 한번에 25m 최대속력: 6초에 100m 주파 각성기: 성장-렌겔 라우저 (강화형) ㄴ초기AP능력치: 8800AP|| '''[[라우즈 업소버]]'''에 퓨전 엘리펀트 [[라우즈 카드]]를 긁어 변신한 렌겔 강화 폼. 카테고리 J의 힘과 융합한 중장갑형태로 라우즈 업소버의 〈인서트 리더〉에 「♣Q Absorb Tiger」를 삽입하면 라우즈 업소버가 기동하고, 「♣J Fusion Elephant」을 추가로 라우즈해서 잭폼으로 강화변신한다. 렌겔에겐 전용 [[라우즈 업소버]]가 없었기 때문에 본편에선 등장하지 않았지만[* 그 대신이랄지, 리모트를 사용해서 엘리펀트 언데드를 부르는 모습이 나오긴 했다.], [[SIC 히어로 사가]] "스페셜 에디션-CLOVER-" 편에서 피규어로 등장했으며(하비재팬 2008년 6월호에 게재)2015년 1월에 실제 SIC 피규어로도 제작되어 한정판매되었다. 원래 렌겔이 블레이드, [[가면라이더 갸렌|갸렌]]보다 후계기에 해당되는 라이더 시스템이기 때문에, 렌겔의 잭폼이 존재했을 가능성은 충분히 있었다. 코끼리의 선조인 [[다이치(가면라이더 블레이드)|엘리펀트 언데드]](♣J)와 융합한 형태이기 때문에, 독수리와 공작이라는 조류와 융합한 다른 두 잭폼과는 달리 중장갑의 파워형태가 되었다. 공격력·방어력 같은 파워면에선 뛰어나지만, 비행능력이 없으며 스피드면에서 많이 뒤떨어진다. 신체의 각 부위가 금빛의 아머·〈디어만테 골드〉로 뒤덮이고, 양어깨에는 〈오리할콘 터스크〉란 4개의 상아가 부착된 중장갑이 형성된다. 흉부에는 [[다이치(가면라이더 블레이드)|엘리펀트 언데드]](♣J)의 코끼리 문장의 〈하이그레이드 심볼〉이 각인된다.(라우즈 업소버에도 코끼리 문장의 하이그레이드 심볼이 생긴다.) 다른 잭폼과 마찬가지로, 이쪽도 기존의 "렌겔 라우저"가 끝부분(라우즈 하는 부분)에 〈디어만테 엣지〉가 장착된 '''강화형'''으로 변형되었다. 또한, 라우저 말고도 [[다이치(가면라이더 블레이드)|엘리펀트 언데드]]가 사용하던 철구도 같이 장비하고 있다고 묘사되었다. "CLOVER" 편에서는, [[스파이더 언데드]]에 조종당한 무츠키가 폭주해서 진화한 모습으로 묘사되고 있다. 덤으로 렌겔 잭폼에게 떡실신돼서 밑에 깔려버린 [[가면라이더 갸렌#s-2.2|갸렌 잭폼]]이 그저 불쌍하다. 블레이드나 갸렌과는 달리 잭폼으로 변신 후에 새 무기를 하나 더 들었기에 이질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블레이드의 킹 폼이나 와일드 카리스 또한 원래 무기 외에 다른 무기를 소환한 전력이 있으니 그리 이상할 건 없다. ~~남들은 킹폼일때 하는 경우를 잭 폼일 때 하다니 과연 최강(웃음)의 라이더!~~ 그리고 위 사진에서는 잘 안 보이나, 피규어로 보면 렌겔 라우저의 카드 리더기 부분에도 블레이드, 갸렌의 잭폼처럼 추가 칼날이 생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변신음 || '''{{{#!html ABSORB QUEEN! FUSION JACK!}}}''' || === --킹 폼-- === [[파일:external/www.geocities.jp/b-42-6.jpg|width=500]] >'''"[[가면라이더 블레이드(가면라이더)|블레이드]], 내 킹 폼을 봐라."''' - [[카미죠 무츠키]] >'''"드디어 내 힘을 쓸 수 있게 되었구나. [[죠 히카루|그녀]] 덕분이야."''' - [[시마 노보루]] '''[[라우즈 업소버]]'''에 에볼루션 타란튤라 [[라우즈 카드]]를 긁어 변신한 렌겔 최종 폼. 42화, 무츠키가 [[가면라이더 갸렌|갸렌]]의 [[라우즈 업소버]]를 이용해서 킹 폼으로 변신하려고 했지만 [[스파이더 언데드|카테고리 에이스]]와 분리되기만 했다. 따라서 렌겔의 새 폼인 킹 폼은 등장하지 않고, 변신이 풀려 맨몸이 된 무츠키가 블레이드 킹 폼에게서 넘겨받은 킹 라우저를 들고 스파이더 언데드와 결투한다. 단순히 맨 몸으로 싸우는 것이지만 무츠키가 타란튤라 언데드의 모습으로 변해서 싸우는 듯이 계속해서 타란튤라 언데드의 모습이 오버랩되는 연출을 보여준다. 다만 여기에는 무츠키를 [[스파이더 언데드|카테고리 에이스]]의 저주에서 풀어 주기 위해서 무츠키가 [[시마 노보루|카테고리 킹]]의 힘을 쓸 수 있도록 도와 주려는 [[죠 히카루]]의 계획이 숨어 있었다. 그 증거로 작중에 그녀가 [[타치바나 사쿠야(가면라이더 블레이드)|타치바나]]에게 부탁해서 [[라우즈 업소버]]를 빌리는 장면[* 42화 22분 11초 부근에서 타치바나의 회상으로 등장. 이 빌린 업소버를 그녀가 가지고 있다가 무츠키에게 일부러 봉인당하면서 떨어뜨려(42화, 15분 49초 부근) 사용하도록 유도했다.], 무츠키가 자기 내면 속에서 만난 시마 노보루가 겨우 자신의 힘을 쓸 수 있게 되었다고 말하는 장면, 무츠키가 스파이더 언데드와 싸울 때 타란튤라 언데드와 겹치는 장면, 그걸 보고 무츠키가 시마 노보루의 힘을 쓰고 있다고 타치바나가 말하는 장면 등이 있었다. 라우즈 업소버가 '''[[죠 히카루|카테고리 퀸]]의 힘을 빌려서 [[시마 노보루|카테고리 킹]]과 융합하게 해 주는 물건'''이었다는 점, [[히로세 요시토]] 등 작중 인물들의 언급을 볼 때 '''킹 폼이란 카테고리 킹과의 융합을 의미한다'''는 점을 생각해 보면 이 또한 엄연한 킹 폼이라고 볼 수 있다. --맨몸의 킹 폼...-- 아이러니하게도 블레이드의 킹 폼이 켄자키의 비정상적인 융합계수로 인해 스페이드 카테고리의 모든 카드와 융합한 형태인 반면 무츠키의 킹 폼은 오로지 카테고리 킹하고만 융합한 형태이므로 '''본편에 등장한 킹 폼중 정상적인 킹 폼에 가장 가까운''' 모습이라고 볼 수 있다. 무츠키가 킹 폼으로 변신하려고 할 때 변신이 풀린 것도 시스템이 달라서 그랬던 게 아니라 무츠키에게서 스파이더 언데드를 분리시켜 완전히 봉인하기 위해 '''시마 노보루가 일부러 변신을 풀도록 도와 준 것이다.''' 작중에서 무츠키에게 시마 노보루가 그를 카테고리 에이스의 주박에서 해방시키겠다고 말하거나 죠 히카루가 카테고리 에이스를 다시 봉인하라고 말하는 장면, 무츠키가 킹 폼으로 변신하려고 할 때 [[스파이더 언데드]]의 오리하르콘 엘리먼틀(보라색)이 [[시마 노보루|타란튤라 언데드]]의 오리할콘 엘리먼틀(황금색) 때문에 깨져서 스파이더 언데드가 분리되어 나오는 장면 등을 보면 이 점이 분명하게 나타난다. 무츠키 역을 맡았던 [[호죠 타카히로]]는 렌겔의 킹 폼이 있는 것 같다는 다른 배우들의 거짓말을 그대로 믿었다가 상처받았다는 말을 했다. 그래도 [[가면라이더 아웃사이더즈]]에서 갸렌의 킹 폼이 등장했기 때문에 렌겔 역시 킹 폼이 등장할 가능성이 생겼다.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Leangle_King.jpg]] 2차 창작에서는 블레이드와 갸렌 킹폼, 와일드 카리스처럼 흉부에 타란튤라 언데드의 문장이 새겨지고 라우저는 보통 '''도끼창([[할버드]])''' 형태로 만든다. 공식적으로 정해진 디자인이 없기 때문에 만드는 사람마다 제각각이다. == [[가면라이더 렌겔/라우즈 카드|라우즈 카드]] == [include(틀:상세 내용,문서명=가면라이더 렌겔/라우즈 카드)] == 각 신체 부위 == [[파일:9d0e98da.png]] * 01. 카이저 스톤 : 클로버 문장에 박힌 3개의 원형 파츠. 장착자의 투쟁심을 높이는 기능이 있다. * 02. 숄더 가드너 : 신비의 초금속 스피리추어 에메랄드로 된 숄더 가드. * 03. 스피리추어 리그렛 : 상완부와 허벅지를 보호하는 링형 파츠. 분노나 증오에 의해 발생한 에너지로 펀치나 킥의 위력을 높인다. * 04. 니 아머 : 신비의 초금속 스피리추어 에메랄드로 된 니 가드. * 05. 스태빌라이즈 앵클렛 : 신비의 초금속 스피리추어 에메랄드로 된 종아리 프로텍터. * 06. 골든 실드 : 특수란 아머로 보호받는 발끝으로 강렬한 킥을 날린다. * 07. 브레이커 소울 : 킥을 날릴 시 강력한 에너지를 언데드에게 때려넣는다. 발바닥에는 클로버의 문장이 새겨져 있다. * 08. 블레싱 실드 : 신비의 초금속 스피리추어 에메랄드로 된 체스트 아머. 눈에 보이지 않는 실드를 발생시켜 적의 공격을 무력화한다. * 09. [[렌겔 버클]] : 라이더 시스템을 기동시키기 위한 카드리더. 장착자를 가면라이더 렌겔로 변신시킨다. * 10. 스피리추어 뱅글 : 신비의 초금속 스피리추어 에메랄드로 된 암 가드. * 11. 파워 리벳 : 언데드에게 강력한 공격 에너지를 때려넣는, 손 장갑에 박힌 징형 파츠. * 12. 미스릴 로브 : 어떤 공격에도 견디며 몸을 감싸는 이너 슈트. * 13. 스트라이크 스퍼트 : 신비의 초금속 스피리추어 에메랄드로 된 발뒤꿈치 프로텍터. === 등 === [[파일:84085920.png]] * 01. 포스 쿨링 리버 : 잉여 에너지를 방출해 각 아머를 식힌다. * 02. 백본 아머 : 미스릴 로브 내부에 숨겨진 장갑. 장착자의 척추를 보호한다. * 03. 너브 커넥터 : 장착자와 렌겔 크로스를 신경접속시킨다. === 두부 === [[파일:adba169c.png]] * 01. 마스크 오브 모노리스 : 독소나 가스를 순식간에 정화한다. * 02. 제너럴 스코프 : 1000배 줌 인과 투시 기능을 가진 눈. * 03. 에메랄드 셀 : 눈에 보이지 않는 실드를 항상 발생시켜 두부를 보호한다. * 04. 골든 엘리멘트 : 각종 에너지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 05. 스파이더 스피리추어 : 장착자에게 [[스파이더 언데드]]의 「거미의 의지」를 주입한다. * 06. 소나 피봇 : 두부 좌우에 설치된 청각을 담당하는 부위. 10km 너머의 바늘 떨어지는 소리도 들을 수 있다. == 전용 바이크 - [[그린 클로버]](Green Clover)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그린 클로버)] == 기타 == 작품 내에서 유일하게 '''다른 폼이 안 나왔다.''' 라우즈 업소버는 블레이드용과 갸렌용 2개만이 중반에서야 나왔고, 거기에 렌겔은 블레이드나 갸렌과는 시스템이 달라 제작에 시간이 더 오래 필요했을 것으로 짐작된다. [[SIC 히어로 사가]]에서는 결국 잭폼으로 변신해서 갸렌 잭폼을 떡실신시킨다. 사실 본편에서도 갸렌 잭폼의 필살기를 막아낸 전적도 있다. 처음엔 '''최강의 라이더'''라고 소개되었지만 다른 라이더들이 전부 강화되는데 혼자 강화되지 못한 비운의 라이더[* 실제로 본편에서 [[죠 히카루]]가 이점에 대해 지적했다.]. 특히 극장판의 최종전에서 블레이드와 갸렌은 잭폼으로 변신해서 날아가는데 혼자서 「♥4 FLOAT」 카드를 사용해서 붕 뜨는 장면은 두고두고 놀림당하고 있다. 그나마 그 플로트 카드도 자기 카드가 아니라 [[가면라이더 카리스|다른 라이더]]의 카드. 다만 극장판의 경우는 렌겔의 라우즈 카드 중에 비행이나 점프 관련 능력을 지닌 카드가 전혀 없다는 근본적인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으며 킹 폼이 있다 한들 렌겔은 여전히 공중전이 불가능하다. 처음에는 최강의 투신이라고 소개되다가 스토리가 지나면서 처량한 샌드백이 되는 역할은 이후 [[가면라이더 카부토]]의 [[가면라이더 가탁크]]로 이어졌다. 다만 렌겔은 [[스파이더 언데드]]에게 지배당해 힘을 추구하게 되는 인간으로 변모해 자신보다 강해보이는 적에게 덤벼드니까 그렇게 된 것이고, 가탁크는 난폭한 사람만이 다룰 수 있다 했으나 [[카가미 아라타|장착자]]는 그렇게 난폭하지 않았다. 더군다나 렌겔은 샌드백 신세가 되어도 죽지는 않고 그나마 버텼으나 가탁크는 적에게 당해 2번이나 사망했다.[* 게다가 둘 다 그냥 치명상 수준이라 끙끙 앓다 자력으로 살아나는 게 아니라, 누군가의 도움을 받아서 살아났다. 심지어 극장판 포함하면 총 3번 죽는데 이 때도 하이퍼 카부토가 도와줘서 겨우 살았다.] 또 렌겔은 인간상태에서 비록 언데드의 힘을 빌렸으나 스파이더 언데드를 봉인해 작중 라이더 중 유일하게 변신하지 않고 언데드를 봉인한 라이더가 됐으며 후반에 가서는 그렇게 초라하지 않았다. [[다크로치]] 떼에 둘러 싸인 [[가면라이더 블레이드(가면라이더)|블레이드]]를 무사히 구출했고 후에 비록 패배했으나 [[조커 언데드]]를 상대로 좋은 모습을 보였다. 비록 가탁크도 마스크 폼에서 성체를 죽이고, [[캇시스 웜]]을 쓰러뜨리긴 했으나 그때쯤 이미 캇시스 웜은 능력의 효능이 다해서 양산형인 킥 호퍼 & 펀치 호퍼에게도 얻어맞을 정도로 약화되었고, 가장 결정적인 차이점은 렌겔의 장착자 [[카미조 무츠키]]는 싸움을 무서워하는 고교생이나, 가탁크의 장착자는 전투기술을 익힌 [[ZECT|부대]]의 대원이다. 사실상 리모트 하나로 먹고 사는 라이더 같은 느낌. 거기다가 등장이 늦었던 탓에 공식 포스터와 작품 공개 당시 PV에서도 4명의 라이더 중 혼자만 나오지 못했다. [[분류:가면라이더 블레이드/등장 가면라이더]][[분류:아머형 가면라이더]][[분류:절지동물이 모티브인 가면라이더]][[분류:4호 라이더/헤이세이 라이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