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파일:external/images-na.ssl-images-amazon.com/61DsPJAa6%2BL.jpg|width=300]] || || '''제작''' ||[[8ing]] || || '''유통''' ||[[반다이 남코 게임스]] || || '''플랫폼''' ||[[PSP]], [[Wii]] || || '''장르''' ||[[대전격투게임]], 히어로 액션 || || '''발매''' ||[[2012년]] [[11월 29일]] || || '''[[CERO]]''' ||<-2>A (전연령 대상) || ||<-2> [[http://www.bandaigames.channel.or.jp/list/climax_heroes/super/|공식 홈페이지]] / [[https://spclimaxheroes.wiki.fc2.com/|공략 위키]] || [목차] == 개요 == 仮面ライダー超クライマックスヒーローズ [[가면라이더 위자드]]가 주역인 [[가면라이더 클라이맥스 히어로즈 시리즈]]의 마지막... 이 될뻔한 작품[* 2017년 빌드의 방영으로 [[가면라이더 클라이맥스 파이터즈]]란 이름으로 새롭게 나올 예정이다. 현재로썬 12월 7일 발매 예정 ~~잠만, 히어로즈가 아니라 파이터즈잖아?~~] 참고로 超는 スーパー로 읽는다.[* 실제로 타이틀의 후리가나에도 スーパー라고 써져 있다.] 발매일은 2012년 11월 29일. 8way 시스템을 채용하여 전작들에 비해 다양한 움직임과 공간활용이 가능해졌고 공중전을 더 강화하였다. 그밖엔 전작들과 시스템및 게임성은 별 차이가 없으나 작품의 메인 라이더를 재외한 라이더들은 웬만한 더빙은 대역을 사용했던 전작들과 다르게 이번작은 원작에 등장했던 배우들을 대거 기용했다.~~무슨 약을 하셨길래 그런 발상을...물론 좋은 의미로.~~ 전작 포제의 히어로즈 모드를 수정 및 강화한 슈퍼 히어로즈 모드가 추가되었다. 각 미션을 클리어해서 포인트를 벌고 그걸 이용해서 가면라이더들의 능력치를 강화시키거나 스킬을 해금하고 장착시켜서 점차 라이더들의 능력치를 올려서 더 난이도 높은 미션들을 클리어하는 방식이다. 여담으로 랜덤 사이클에 문제가 있는지 랜덤을 돌리면 [[가면라이더 드레이크|드레이크]]나 [[가면라이더 2호]]가 눈에 띌 정도로 많이나온다.[* 드레이크가 아직 안열렸을 경우 [[가면라이더 가이|가이]]가 나온다.] 게다가 랜덤으로 드레이크가 된 상태에서 맵 랜덤을 돌리면 교회맵만 나온다. 이 작품을 마지막으로 클라이맥스 히어로즈 시리즈는 한동안 단종되었고 그 이후부터 무쌍형 액션 게임인 [[가면라이더 배틀라이드 워]] 시리즈가 제작되게 된다. == 시스템 == === 배틀 스타일 === 캐릭터를 선택하면 어떤 배틀 스타일로 플레이할 것인지 묻는다. * 폼 체인지(녹색의 원) 조이스틱을 당기면 자유롭게 폼 체인지를 할 수 있는 스타일. 폼이 2개인 경우에는 그냥 조이스틱을 움직이기만 하면 폼 체인지를 하나, 더 많은 경우에는 특정 방향에 특정 스타일이 대응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 파워업(붉은 색의 정사각형) 조이스틱을 당기면 라이더 게이지를 세 칸 소모하면서 강화/최종 폼으로 변신한다. 제로노스 같은 특이 케이스를 제외하면 강화폼은 한 배틀 당 하나로만 변신할 수 있으며, 캐릭터 선택 창에서 강화폼의 유형을 선택할 수 있다. 강화폼인 상태에서 조이스틱을 당기면 기본 폼으로 다시 돌아온다. 단, 제로노스의 경우에는 게이지 소모 없이 조이스틱을 왼쪽으로 당기면 제로 폼으로, 오른쪽으로 당기면 베가 폼으로 바꿀 수 있다. * 서포트 어택(모래시계) 조이스틱을 당기면 라이더 게이지를 두 칸 소모하면서 서포트 메카를 부른다. 서포트 메카는 강공격과 마찬가지로 붉은 피를 없앤다. 단, 디엔드는 서포트 메카가 아니라 라이더를 소환한다. * 어썰트(스파크) 라이더 게이지를 2칸 이상일 때 조이스틱을 당기면 라이더 게이지를 전부 소모할 때까지 파워업하는 스타일. 이 상태에서는 기술들의 범위나 파워가 증가하며, 이 모드를 사용하는 중에만 쓸 수 있는 콤보들도 있다. * 스피드 업(푸른 도형) 파이즈, 그리고 카부토 시리즈의 라이더들만 사용할 수 있다. 라이더 게이지가 2칸 이상 차있을 때만 사용이 가능하며, 파워업과 마찬가지로 게이지를 지속적으로 소모하는 스타일. [[클락 업(가면라이더 카부토)|상대 편 라이더의 움직임이 급속도로 느려지며]] 사용자만 정상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단, 상대도 속도 업을 사용했을 경우에는 양쪽 다 정상적인 속도로 싸우게 된다. 게이지가 다 소모되어도 콤보가 끝나지 않는 한, 이 상태는 지속된다. 넉백[* 사실상 넉백 말고는 방법이 없다.]등을 통해서 시전자가 다운되면 강제로 해제된다. * 태그(보라색 평행사변형) 2명의 라이더를 사용할 수 있다. 조이스틱을 좌우로 당기면 태그로 교체를 하며, 상하로 당기면 태그 파트너로 등록한 라이더도 인공지능이 같이 싸워준다. 이 모드 한정으로 강화폼 모습을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나, 그 대신 이 모드를 사용하는 동안에는 전용 공격 연출이 전부 봉인되며, 필살기도 전용 필살기가 아니라 단순한 더블 라이더 킥으로 끝난다. '''모든 라이더들이 가지고 있는 배틀 스타일.''' 일부 라이더들의 조합은 해당 모드로 시작하면 게임 시작 전에 전용 음성 대사가 출력된다. 조합이 맞지 않는 경우에는 먼저 고른 라이더의 대사가 나온다. === 기본 === * 십자 키로 이동. 전후좌우로 움직인다. * △ 버튼은 점프. ○는 강공격. ×, □는 약공격. * 체력 게이지는 녹색. 약공격을 받으면 적한테 입은 데미지의 일정 비율이 붉은 피로 대체된다. 붉은 피는 서서히 다시 녹색 피로 차오르지만, 녹색 피가 0이 되면 붉은 피의 유무와 무관하게 쓰러진다. * 방어는 상대의 공격이 들어오는 타이밍에 공격 방향과 반대 방향의 십자키를 누르면 방어 게이지를 소모하면서 방어를 한다. 방어 게이지는 체력 게이지의 밑에 푸른 게이지이며,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서서히 차오른다. 방어 게이지를 전부 소모하면 약 5초 가량 게이지가 차오르지 않으나, 방어나 넉백은 사용할 수 있다. 단, 사용한 즉시 방어 게이지는 완전히 방전돼서 넉백은 물론, 방어도 방어 게이지가 완전히 채워질 때까지 사용할 수 없으며 그 동안에는 게이지 위에 커다란 X표시가 뜬다. * 피격 중 L과 R 버튼을 동시에 누르면 넉백 기술을 사용한다. 넉백 기술은 남은 방어 게이지를 전부 소모한다. 완전 소모된 상태에서 넉백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방전 상태로 전환. * 적한테 타격을 입거나, 자신이 적을 공격하면 좌측 하단의 라이더 게이지가 서서히 차오른다. 이 게이지를 사용해서 다양한 기술들을 발동할 수 있다. * L 버튼을 사용하면 라이더 게이지를 반 칸 소모해서 빠르게 대시하거나 점프한다. 일부 라이더는 이 상태에서 ○ 버튼을 누르면 전용 라이더 아츠가 나온다. * 플레이어가 바라보는 방향과 반대 방향의 십자 키와 ×키를 입력하면 그랩을 사용한다. 그랩은 강공격 이상의 판정을 가지며, 강공격과 마찬가지로 붉은 피를 없앤다. 시전한 라이더 쪽이 클로즈업된다. 그랩과 반대 방향의 십자 키를 입력하면 회피할 수 있다. * 각 라이더마다 전용 기술표가 따로 있다. 기술표는 전부 정해져있으며, 첫 키에 한해 십자키를 입력하는 기술도 있다. * ×와 □를 동시에 누르면 라이더 게이지 4칸을 전부 소모해서 필살기를 발동한다. 필살기는 발동 시에는 게이지를 2칸 소모하며, 필살기를 성공시키면 남은 게이지를 전부 소모한다. 필살기는 방어가 가능하며, 그랩을 통해서 캔슬시키는 것도 가능. 또한, 상대 라이더가 라이더 게이지가 채워져 있을 경우에는 ○버튼을 눌러서 필살기 대결이 가능하다. 필살기 대결이 일어날 경우에는 양쪽 모두 라이더 게이지를 2칸 소모한다. 필살기 대결 중에는 버튼 입력 패턴이 총 3페이즈 동안 진행되며, 먼저 2번을 채운 쪽의 필살기가 작동되고, 나머지 한 쪽은 무효가 된다. 필살기를 시전한 캐릭터가 파워업 유형이었을 경우, 파워업이 해제되고 다시 기본폼으로 돌아오니 주의. * 어느 쪽이든 타격을 입기 시작할 경우, 타이머를 둘러싼 클라이맥스 게이지가 차오른다. 일정 시간 이상 타격이 없을 경우에는 단계별로 감소하기 시작한다. 클라이맥스 게이지가 전부 차오르면, "CLIMAX TIME"이란 말과 함께, 게이지를 차오르게 만든 라이더 쪽이 비춰지고 밝은 빛의 기둥이 나온다. 그와 동시에 스테이지 BGM도 해당 라이더가 속한 시리즈의 테마곡이 흘러나오고, 양쪽 라이더의 라이더 게이지를 전부 채운다. == 등장 라이더 == 볼드체는 원작 배우및 성우가 녹음한 캐릭터. ※표시는 신규 참전 캐릭터. ●표시는 플레이어블이 아닌, 어시스트용 캐릭터들, 즉 라이더 아츠용 캐릭터들인 경우. === [[가면라이더(초대)|가면라이더]] === * [[가면라이더 1호]] - [[혼고 타케시]] (CV : [[이나다 테츠]]) * 어썰트 * [[가면라이더 2호]] - [[이치몬지 하야토]] * 어썰트 === [[가면라이더 V3]] === * [[가면라이더 V3(가면라이더)|가면라이더 V3]] - [[카자미 시로]] * 서포트 어택 * [[라이더 맨]][* 플레이어블 캐릭터가 아니라 V3의 서포트 캐릭터로 등장.] - [[유우키 죠지]]● === [[가면라이더 아마존]] === * [[가면라이더 아마존(가면라이더)|가면라이더 아마존]] - [[야마모토 다이스케]] * 어썰트 === [[가면라이더 BLACK]] === * [[가면라이더 BLACK(가면라이더)|가면라이더 블랙]] - [[미나미 코타로]] * 어썰트 * '''[[섀도우 문]]''' - [[아키즈키 노부히코]] '''(CV : [[테라소마 마사키]])''' * 어썰트 === [[가면라이더 BLACK RX]] === * [[가면라이더 BLACK RX(가면라이더)|가면라이더 블랙 RX]] - [[미나미 코타로]] * 파워업 * 가면라이더 블랙 RX → [[가면라이더 BLACK RX(가면라이더)#로보 라이더|로보 라이더]] or [[가면라이더 BLACK RX(가면라이더)#바이오 라이더|바이오 라이더]] === [[가면라이더 쿠우가]] === * [[가면라이더 쿠우가(가면라이더)|가면라이더 쿠우가]] - [[고다이 유스케]] (CV: [[마츠바라 다이스케]]) * 폼 체인지 * [[가면라이더 쿠우가(가면라이더)/폼#마이티 폼|마이티 폼]](위 방향) * [[가면라이더 쿠우가(가면라이더)/폼#드래곤 폼|드래곤 폼]](아래 방향) * [[가면라이더 쿠우가(가면라이더)/폼#페가수스 폼|페가수스 폼]](왼쪽 방향) * [[가면라이더 쿠우가(가면라이더)/폼#타이탄 폼|타이탄 폼]](오른쪽 방향) 필살기 시전시 어메이징 마이티로 일시적으로 변신한다. * 파워업 * 상단의 4개의 폼 중 하나 → [[가면라이더 쿠우가(가면라이더)/폼#최종 폼: 얼티메이트 폼|얼티밋 폼]] * 서포트 어택 * [[고우람]] 필살기 시전시 어메이징 마이티로 일시적으로 변신한다. 이후 어메이징 마이티 킥을 날린다. 라이징 계열과 라이징 얼티밋 계열은 등장하지 않는다. === [[가면라이더 아기토]] === * '''[[가면라이더 아기토(가면라이더)|가면라이더 아기토]] - [[츠가미 쇼이치]] (CV : [[카슈 토시키]])''' * 파워업 * [[가면라이더 아기토(가면라이더)/폼#그라운드 폼 (Ground Form) - 초월육체의 금 (金)|그라운드 폼]] → [[가면라이더 아기토(가면라이더)/폼#트리니티 폼 (Trinity Form) - 삼위일체 전사|트리니티 폼]] or [[가면라이더 아기토(가면라이더)/폼#완성 형태: 샤이닝 폼 (Shining Form) - 광휘 (光輝)로의 각성|샤이닝 폼]] * 서포트 어택 * [[머신 토네이더#머신 토네이더 - 슬라이더 모드|머신 토네이더 - 슬라이더 모드]] 스톰 폼, 플레임 폼, 버닝 폼은 등장하지 않는다. * [[가면라이더 G3-X]] - [[히카와 마코토]] (CV: [[미야케 준이치]]) * 어썰트 * ※[[가면라이더 길스]] - [[아시하라 료]] (CV: [[카네모토 료스케]]) * 어썰트 익시드 길스는 필살기 한정으로 등장한다. [[가면라이더 G3]], [[가면라이더 어나더 아기토]], [[가면라이더 G3-MILD]], [[가면라이더 G4]]는 등장하지 않는다. === [[가면라이더 류우키]] === '''류우키와 나이트를 포함해 전원 서포트 어택 스타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류우키와 나이트는 추가로 파워업 스타일이 있다. 모든 류우키 계열 라이더들은 ○버튼을 이용하면 라이더 게이지를 소모해서 벤트를 활성화한다. 활성화된 벤트는 다른 벤트로 바꾸거나 일정 시간이 지나면 사라진다. 따라서 류우키 라이더들은 강공격이 잡기를 사용하는 방법밖에 없다. 사용하는 벤트는 어드 벤트(서바이브)와 파이널 벤트를 제외할 경우 최대 3종류다. 일반적으로는 이하의 기술표를 따른다. 몇몇 라이더들은 가드 벤트가 없는 경우도 있다. 주무기용 벤트[* 소드 벤트/슛 벤트/스핀 벤트/홀드 벤트/스윙 벤트 등. 이들 중 2종류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 나머지 하나는 보조 벤트의 키에 할당된다.]: ○ 가드 벤트(3칸 소모): ↑↓+ ○, 약공격에 다운되거나 피격 모션이 사라진다. 데미지는 그대로 받는다. 보조 벤트[* 류우키, 나이트, 졸다, 류우가, 오쟈. 이들은 무기 종류가 2종류다.]: ←→ + ○ 어드 벤트: L 스틱 * '''[[가면라이더 류우키(가면라이더)|가면라이더 류우키]] - [[키도 신지]] (CV : [[스가 타카마사]])''' * 파워업 * [[류우키]] → [[류우키 서바이브]] 류우키 상태에서 L키를 눌러서 점프 후 ○키를 누르면 라이더 아츠 성공시 5회 공격하며, 실패하든 성공하든 소드 벤트가 활성화된다. 게이지를 반 칸만 소비하는 효율적인 방법이니 참고. * [[가면라이더 나이트]] - [[아키야마 렌]] * 파워업 * [[나이트]] → [[나이트 서바이브]] * [[가면라이더 시저스]] - [[스도 마사시]] * [[가면라이더 졸다]] - [[키타오카 슈이치]] * [[가면라이더 가이]] - [[시바우라 쥰]] * [[가면라이더 라이아]] - [[테즈카 미유키]] * [[가면라이더 오쟈]] - [[아사쿠라 타케시]] * [[제노사이더(가면라이더 류우키)|수제 제노사이더]] 스트라이크 벤트(가이): ←→ + ○ 오쟈는 스트라이크 벤트가 존재하지 않으나, 여기에서의 오쟈는 가이와 라이아를 죽인 이후이므로 가이의 스트라이크 벤트를 사용한다. [[베노 스네이커]]는 나오지 않는다. 또한 시기상 서바이브는 사용할 수 없다. * [[가면라이더 임페러]] - [[사노 미츠루]] * [[가면라이더 타이가]] - [[토죠 사토루]] * [[가면라이더 오딘]] - [[칸자키 시로의 대리인]] * [[가면라이더 베르데]] - [[타카미자와 이츠로]] * [[가면라이더 팜]] - [[키리시마 미호]] (CV : [[츠다 미나미]]) * '''[[가면라이더 류우가]] - [[키도 신지(미러월드)]] (CV : [[스가 타카마사]])''' === [[가면라이더 555]] === * [[가면라이더 파이즈(가면라이더)|가면라이더 파이즈]] - [[이누이 타쿠미]] (CV: [[아이 이치타로]]) * 스피드 업([[가면라이더 파이즈(가면라이더)#액셀 폼|액셀 폼]]) 파이즈만 유일하게 라이더의 모습이 일시적으로 바뀐다. 또한 액셀 폼은 태그로는 쓸 수 없다. * 파워업 * [[가면라이더 파이즈(가면라이더)#파이즈|파이즈]] → [[가면라이더 파이즈(가면라이더)#블래스터 폼|블래스터 폼]] * 서포트 어택 * [[오토 바진#배틀 모드|오토 바진]] * [[가면라이더 카이자]] - [[쿠사카 마사토]] (CV: [[미우라 히로아키]])[* 하이톤의 마사토의 목소리와는 달리 연기할 때 높은 톤~~~흡사 아저씨 목소리~~~이여서 호불호가 갈린다.] * 어썰트 * ※[[가면라이더 델타]] - [[미하라 슈지]] * 어썰트 [[가면라이더 사이가]], [[가면라이더 오가]]는 등장하지 않는다. === [[가면라이더 블레이드]] === * '''[[가면라이더 블레이드(가면라이더)|가면라이더 블레이드]] - [[켄자키 카즈마]] (CV : [[츠바키 타카유키]])''' * 파워업 * [[가면라이더 블레이드(가면라이더)#블레이드|블레이드(노멀로 표기)]] → [[가면라이더 블레이드(가면라이더)#킹 폼|킹 폼]] or [[가면라이더 블레이드(가면라이더)#잭 폼|잭 폼]] 둘 중 한 가지 형태를 고르고 싸운다. 고른 폼에 따라서 필살기가 변동된다. 잭 폼은 추가타가 생기는 것 외에는 기본과 별 차이 없지만, 킹 폼은 기술표가 완전히 바뀐다. 기본 폼에서 라이더 아츠 시전시 라이트닝 소닉을 사용. 잭 폼은 해당 없음. 킹 폼에서는 점프 후 로얄 스트레이트 플래시를 시전. ○: * 블레이드와 잭 폼: 태클. 돌진한다. * 킹 폼: 로얄 스트레이트 플러시. 검기를 발사한다. △+ ○: 라이트닝 블래스트. 모든 폼이 동일하지만, 킹 폼은 라우즈 카드가 반응하는 효과가 없다. ↑↓+ ○: * 블레이드와 잭 폼: 라이트닝 슬래시. 정확하게 따지자면 블레이 라우저에 전격이 휘감아질 뿐, 모션은 그대로. * 킹 폼: 로얄 스트레이트 플러시. 돌진한다. 필살기 * 잭 폼: 라이트닝 슬래시 * 킹 폼: 로얄 스트레이트 플러시(돌진) * '''[[가면라이더 갸렌]] - [[타치바나 사쿠야(가면라이더 블레이드)|타치바나 사쿠야]] (CV : [[아마노 코우세이]])''' * 어썰트 갸렌도 분명히 잭 폼이 존재하지만, 왜인지 잭 폼은 아예 등장하지도 않는다. 블레이드와 달리 팔에 라우즈 업소버가 아예 없다. 필살기 버닝 디바이드 --명장면을 재현한답시고 뜬금없이 사요코를 외친다.-- * '''※[[가면라이더 카리스]] - [[아이카와 하지메]] (CV : [[모리모토 료지]])''' * 어썰트 필살기 한정으로 와일드 카리스가 등장한다. 필살기 와일드 사이클론 * '''※[[가면라이더 렌겔]] - [[카미죠 무츠키]] (CV : [[호죠 타카히로]])''' * 서포트 어택 * [[다이치(가면라이더 블레이드)#엘리펀트 언데드|엘리펀트 언데드]] 필살기 블리자드 베놈 --[[붕어빵 명인 얼티밋 폼]]--[* 플레이스테이션용 가면라이더 블레이드 게임에서 과거 출연한 적이 있었다.], [[가면라이더 글레이브]], [[가면라이더 라르크]], [[가면라이더 랜스]]는 등장하지 않는다. === [[가면라이더 히비키]] === * [[가면라이더 히비키(가면라이더)|가면라이더 히비키]] - [[히비키(가면라이더 히비키)|히비키]] (CV: 야마모토 케이이치로)[* 원작배우가 더빙했다고 해도 믿을 만큼의 엄청난 싱크료율을 보여주었다.] * 파워업 * [[가면라이더 히비키(가면라이더)#히비키|히비키]] → [[가면라이더 히비키(가면라이더)#히비키 쿠레나이|히비키 쿠레나이]] or [[가면라이더 히비키(가면라이더)#암드 히비키|암드 히비키]] * [[가면라이더 이부키]] - [[이부키(가면라이더 히비키)|이부키]] (CV: [[카네모토 료스케]])[* 길스와 중복 성우다.] * 어썰트 * ※[[가면라이더 토도로키]] - [[토도로키]] * 어썰트 * ※[[가면라이더 잔키]] - [[잔키]] * 서포트 어택 * [[디스크 애니멀]] [[가면라이더 슈키]], [[가면라이더 단키]], [[가면라이더 사바키]], [[가면라이더 에이키]], [[가면라이더 카부키]], [[가면라이더 토우키]], [[가면라이더 키라메키]], [[가면라이더 니시키]], [[가면라이더 하바타키]]는 등장하지 않는다. === [[가면라이더 카부토]] === '''카부토를 포함해 전원 속도 업 스타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카부토는 추가로 파워업 스타일이, 자비는 추가로 서포트 어택 스타일이 있다. 전원 마스크드 폼은 등장하지 않는다. 또한, 야구루마 소우 Ver. vs 펀치호퍼가 가능한 건 물론, '''야구루마 소우 Ver.의 쟈비 vs 킥호퍼'''나, '''카게야마 슌 Ver.의 쟈비 vs 펀치호퍼'''도 가능하다. * [[가면라이더 카부토(가면라이더)|가면라이더 카부토]] - [[텐도 소우지]] (CV : [[타키시타 츠요시]])[* 대역성우지만 싱크료율이 매우 좋다는 평이 많다. 목소리톤이 거의 똑같다기엔 애매하지만 연기톤이 마치 원작배우가 녹음했다고 믿을 만큼 완벽하게 재현해 호평을 받았다.] * 파워업 * [[가면라이더 카부토(가면라이더)#라이더 폼|라이더 폼]] → [[가면라이더 카부토(가면라이더)#하이퍼 폼|하이퍼 폼]] 특정 커맨드를 입력시, 하이버 카부토 상태에서도 클락 업을 시전할 수 있다. * '''[[가면라이더 가탁크]] - [[카가미 아라타]] (CV : [[사토 진|사토 토모히토]])''' * '''※[[가면라이더 자비]] - [[야구루마 소우]]/[[카게야마 슌]] (CV : [[토쿠야마 히데노리]]/우치야마 마사토)''' 특이하게도 '''2명이 별개의 기술표를 가지고 있으며, 필살기 및 플레이스타일도 전혀 다르다.''' 아쉽게도, 야구루마 ver. vs 카게야마 ver.은 불가능하다. * 서포트 어택(야구루마 소우 Ver.) 서포트 어택과는 별개로, ○를 사용하면 클락 업을 시전한다. * [[젝트루퍼]] * 속도 업(카게야마 슌 Ver.) * ※[[가면라이더 드레이크]] - [[카자마 다이스케]] * ※[[가면라이더 사소드]] - [[카미시로 츠루기]] * '''[[가면라이더 킥호퍼]] - [[야구루마 소우]] (CV : [[토쿠야마 히데노리]])''' * '''[[가면라이더 펀치호퍼]] - [[카게야마 슌]] (CV :우치야마 마사토)''' * [[가면라이더 다크 카부토]] - [[의태 텐도 소우지]] [[가면라이더 헤라크스]], [[가면라이더 케타로스]], [[가면라이더 코카서스]]는 등장하지 않는다. === [[가면라이더 덴오]] === * [[가면라이더 덴오(가면라이더)|가면라이더 덴오]] - [[노가미 료타로]]&'''[[모모타로스]]&[[우라타로스]]&[[킨타로스]]&[[류타로스]]&[[지크(가면라이더 덴오)|지크]]''' (CV : [[카스야 유우타]]&'''[[세키 토시히코]]&[[유사 코지]]&[[테라소마 마사키]]&[[스즈무라 켄이치]]&[[미키 신이치로]]'''[* 이마진즈 목소리 담당. 단, 지크는 들을 기회가 좀 적을 것이다. 플레이어블 캐릭터로 윙폼이 없기 때문. [[노가미 료타로]]의 경우에는 대역이 담당.]) * 폼 체인지 * [[가면라이더 덴오(가면라이더)/폼#소드 폼|소드 폼]] * [[가면라이더 덴오(가면라이더)/폼#로드 폼|로드 폼]] * [[가면라이더 덴오(가면라이더)/폼#액스 폼|액스 폼]] * [[가면라이더 덴오(가면라이더)/폼#건 폼|건 폼]] 필살기는 소드 폼으로 통일. * 파워업 * 상단의 4개 폼 중 하나 → [[가면라이더 덴오(가면라이더)/폼#궁극 폼: 슈퍼 클라이맥스 폼|슈퍼 클라이맥스 폼]] 필살기 슈퍼 보이스터즈 킥 * 서포트 어택 * [[덴라이너]] 필살기 한정으로 라이너 폼이 등장한다. 필살기 전차베기 * 태그(덴오) 상단 4개의 폼 중 2개를 태그로 사용하는 모드. 덴오에만 존재하는 독특한 스타일로, 이매진들이 덴오 벨트만 차도 알아서 덴오로 변할 수 있던 설정을 재현한 것. 아쉽게도 필살기는 기본 필살기 연출. 플랫 폼은 그렇다고 쳐도, 어째서인지 윙 폼은 존재하지 않는다. 정작 슈퍼 클라이맥스 폼에는 지크가 있다. 일반 클라이맥스는 등장하지 않으며, 라이너 폼은 필살기에서만 등장. * [[가면라이더 제로노스]] - [[사쿠라이 유토]]&'''[[데네브(가면라이더 덴오)|데네브]]''' (CV : [[아카바네 켄지]]&'''[[오오츠카 호우츄]]''') * 파워업 * [[가면라이더 제로노스#알타이르 폼|알타이르 폼]] → [[가면라이더 제로노스#베가 폼|베가 폼]] and [[가면라이더 제로노스#제로 폼|제로 폼]] 특이하게도 제로노스는 양자택일이 아니다. 필살기는 제로 폼으로만 통일. 필살기 버스터 노바 * '''[[가면라이더 NEW 덴오]] - [[노가미 코타로]]&[[테디(가면라이더 덴오)|테디]] (CV : [[사쿠라다 도리]]&[[오노 다이스케]])''' * 어썰트 필살기 카운터 슬래시. 카운트를 10부터 세고 베다가 딱 0이 되는 순간 적이 폭발한다. * '''[[가면라이더 네가 덴오]] - [[네가타로스]] (CV : [[미도리카와 히카루]])''' * 서포트 어택 * [[시간의 열차#네가 덴라이너|네가 덴라이너]] 필살기 네가 와일드 샷 [[가면라이더 가오]], [[가면라이더 유우키]], [[가면라이더 G 덴오]]는 등장하지 않는다. === [[가면라이더 키바]] === * [[가면라이더 키바(가면라이더)|가면라이더 키바]] - [[쿠레나이 와타루]]&'''[[키바트배트 3세]]&[[타츠로트]]''' (CV : 오이시 타츠야[* 잘 알려지지 않은 성우라 정보가 거의 없다. 한때 [[우치야마 코우키]]가 맡았다는 정보가 돌았는데 실제론 이 성우가 맡았다.]&'''[[스기타 토모카즈]]&[[이시다 아키라]]''') * 파워업 * [[가면라이더 키바(가면라이더)/폼#키바 폼 (Kiva Form)|키바]] → [[가면라이더 키바(가면라이더)/폼#최종 폼: 엠페러 폼 (Emperor Form)|엠페러 폼]] 라이더 아츠 시전시 파이널 잔밧트 참을 사용한다. 필살기 엠페러 문 브레이크 * 서포트 어택 * [[캐슬 도란]] 필살기 다크니스 문 브레이크 기본 폼들인 가루루, 밧샤, 도가 폼은 분명히 폼 체인지 스타일로 구현이 가능할 터인데, 이들 셋은 등장조차 안 한다. 그나마 가루루 세이버, 도가 해머는 엠페러 폼이 사용하기라도 하지, 밧샤 매그넘은 등장조차 안 한다. 도가바키 계열들은 등장하지 않는다. * [[가면라이더 이크사]] - [[나고 케이스케]] - (CV: [[하시즈메 토모히사]]) * 파워업 * [[가면라이더 이크사/모드#세이브 모드 (Save Mode)|세이브 모드]] → [[가면라이더 이크사/모드#버스트 모드 (Burst Mode)|버스트 모드]] 버스트 모드는 분명히 현대 시점에서 '''기본 폼'''으로 사용되는 모습이고, 세이브 모드는 현대 시점에선 거의 등장조차 안 하거나, 변신할 때만 잠시 등장하는데, 정작 '''진짜 강화 폼인 라이징 폼'''은 등장하지 않았다. * ※[[가면라이더 사가]] - [[노보리 타이가]] * 서포트 어택 * [[가면라이더 사가#마더 사가크|마더 사가크]] [[가면라이더 다크 키바]], [[가면라이더 레이]], [[가면라이더 아크]]는 등장하지 않는다. === [[가면라이더 디케이드]] === * '''[[가면라이더 디케이드(가면라이더)|가면라이더 디케이드]] - [[카도야 츠카사]] (CV : [[이노우에 마사히로]])''' * 폼 체인지 [[가면라이더 디케이드(가면라이더)/가면라이드|9명의 1호 라이더들 중 하나로 변신할 수 있다.]] 단, 변신할 수 있는 라이더는 오직 하나만 선택할 수 있으며, 기본 폼으로만 변신이 가능하고, 해당 라이더의 특수 기술 연출은 사용할 수 없다. 검을 사용할때는 파이즈를 제외하고는 라이드 북커 소드모드를 사용하고[* 파이즈는 라이드 북커 소드모드가 아닌 파이즈 엣지를 휘두른다.], 필살기도 디멘션 킥만 사용된다. 또한 위/아래 방향키 + 필살기 커맨드 입력시 [[파이널 폼 라이드]]를 불러낸다. 변신할 라이더와 같든, 다르든 상관없다. * 파워업 * [[가면라이더 디케이드(가면라이더)/폼#디케이드|디케이드]] → [[가면라이더 디케이드(가면라이더)/폼#컴플리트 폼|컴플리트 폼]] 컴플리트 폼 21은 시기상 --당연히-- 등장하지 않는다. 또한 네오 디케이드라이버가 아니므로, 더블~위자드 같이 2기 헤이세이 라이더로는 변신하지 못한다.-- 애초에 2012년에 발매됐는데?-- * '''[[가면라이더 디엔드]] - [[카이토 다이키]] (CV : [[토타니 키미토]])''' * 서포트 어택 [[가면라이드#디엔드|라이더 하나를 불러내서 2명이서 같이 싸울 수 있다.]] 부를 수 있는 라이더는 이하와 같다. 소환된 류우키 시리즈의 라이더들은 간혹 플레이어블로 사용할때 처럼 무장을 소환하는 어드벤트 카드를 사용할때가 있다. * [[가면라이더 오쟈]] * [[가면라이더 라이아]] * [[가면라이더 시저스]] * [[가면라이더 가이]] * [[가면라이더 펀치호퍼]] * [[가면라이더 팜]] --류우키 시리즈의 라이더들이 대다수인 건 넘어가자.-- 디엔드 컴플리트 폼은 등장하지 않는다. [[가면라이더 키바라]], [[가면라이더 어비스]], [[가면라이더 아마키]], [[가면라이더 쿠우가(가면라이더 디케이드)|쿠우가 오노데라 Ver.]]은 등장하지 않는다. 디케이드 격정태도 이번 편에선 등장하지 않는다. === [[가면라이더 W]] === * '''[[가면라이더 W(가면라이더)|가면라이더 W]] -[[히다리 쇼타로]]&[[필립(가면라이더 W)|필립]] (CV : [[키리야마 렌]]&[[스다 마사키]])''' * 폼 체인지 [[가면라이더 W(가면라이더)/폼#기본 폼|기본 폼 9개로 모두 변신할 수 있다.]] 조이스틱을 왼쪽으로 밀면 soul 사이드 메모리를 각각 사이클론→히트→루나→사이클론 순으로 바꾸고, 오른쪽으로 밀면 body 사이드 메모리를 각각 조커→메탈→트리거→조커 순으로 바꾼다. 위로 밀면 양쪽 사이드를 동시에 한 칸씩 이동한다. 아래로 밀거나 일정 시간 기다리면 바꾼 메모리로 즉시 변신한다. 필살기는 사이클론 조커의 조커 익스트림으로 통일. * 파워업 [[가면라이더 W(가면라이더)/폼#사이클론조커|사이클론조커]] → [[가면라이더 W(가면라이더)/폼#사이클론조커 엑스트림|사이클론조커 엑스트림]] * 어썰트 특이하게도 어썰트 종류가 하나가 아니다. * [[가면라이더 W(가면라이더)/폼#팡조커|팡조커]] 팡조커로만 조작한다. * [[가면라이더 조커]] * [[가면라이더 조커]] & [[가면라이더 사이클론]] 아쉽게도 사이클론은 라이더 아츠 시전시에만 등장한다. 필살기도 일반 조커와 동일. 사이클론조커 골드 엑스트림, 그리고 시기상 팡메탈, 팡트리거는 등장하지 않는다. 그리고 사이클론액셀 익스트림도 이번 편에선 불참했다. * '''[[가면라이더 액셀]] - [[테루이 류]] (CV : 키노모토 미네히로)''' * 파워업 * [[가면라이더 액셀/폼#액셀|액셀]] → [[가면라이더 액셀/폼#액셀 트라이얼|트라이얼]] 액셀 부스터는 등장하지 않는다. * ※[[가면라이더 이터널]] - [[다이도 카츠미]] * 어썰트 무한을 상징해서인지, 필살기의 hit 콤보수는 정확히 88이다. * ※[[가면라이더 스컬]] - [[나루미 소우키치]] (CV : [[칸나 노부토시]]) * 어썰트 가면라이더 이터널 레드 플레어, 가면라이더 스컬 크리스탈은 등장하지 않는다. === [[가면라이더 오즈]] === * '''[[가면라이더 오즈(가면라이더)|가면라이더 오즈]] - [[히노 에이지]] (CV : [[와타나베 슈]])''' * 폼 체인지 독특한 형태의 폼 체인지를 사용한다. 우선 캐릭터 선택 화면에서 [[타토바 콤보]]에 쓰이는 타카, 토라, 바타 메달 이외의 세트용 메달을 총 3세트 고를 수 있다. 고를 수 있는 세트는 이하와 같다. * [[가타키리바 콤보]] * [[라토라타 콤보]] * [[사고조 콤보]] * [[타쟈도르 콤보]] * [[샤우타 콤보]] 조이스틱을 왼쪽으로 당기면 머리 슬롯의 메달을, 위로 당기면 상반신 슬롯의 메달을, 오른쪽으로 당기면 하반신 슬롯의 메달을 순서대로 바꿀 수 있다. 필살기는 폼 체인지에 타쟈도르 콤보가 있다면의 어떤 콤보를 사용해도 마그나 블레이즈를 사용하고, 폼 체인지에 타쟈도르 콤보가 있지 않다면 오즈 배시를 사용한다. * 파워업 * [[타토바 콤보]] → [[프트티라 콤보]] or [[브라카와니 콤보]] 이상하게도, 브라카와니 콤보 선택시 필살기 연출은 타토바 콤보인 상태에서 오즈 배시를 사용한다. [[슈퍼 타토바 콤보]], [[타마시 콤보]]는 등장하지 않으며, 시기상 [[타쟈도르 콤보 이터니티]]도 등장하지 않는다. * '''[[가면라이더 버스]] - [[다테 아키라]]/[[고토 신타로]] (CV : [[이와나가 히로아키]]/키미지마 아사야)''' 특이하게도 '''2명이 별개의 기술표를 가지고 있으며, 필살기 및 플레이스타일도 전혀 다르다.''' 아쉽게도, 다테 ver. vs 고토 ver.은 불가능하다. * 어썰트 별도의 조작 없이는 다테 ver.을 , 조이스틱을 한 번 기울여 고토 ver.을 선택하고 배틀을 시작할 수 있다. * 태그(버스) [[가면라이더 버스 프로토 타입|프로토 버스]]가 태그 파트너로 사용된다. 다테와 고토가 동시에 등장하며, 한쪽 ver.을 선택하면 나머지 한 명이 프로토 버스로 등장한다. 아쉽게도 필살기 연출은 기본 필살기 연출. [[가면라이더 코어]]는 어쩔 수 없지만, [[가면라이더 아쿠아]], [[가면라이더 포세이돈]]도 등장하지 않으며, 시기상 [[고대왕 가면라이더 오즈]], [[가면라이더 고다]]는 등장하지 않는다. === [[가면라이더 포제]] === * '''[[가면라이더 포제(가면라이더)|가면라이더 포제]] - [[키사라기 겐타로]] (CV : [[후쿠시 소타]])''' * 폼 체인지 필살기는 모두 로켓 드릴 킥으로 통일. * 스위치 선택 [[아스트로 스위치]]들 중 기본 1~4, 폼 체인지용 스위치(10,20,30,31,40) 이외의 31개의 스위치 중, 각각의 파츠에 맞는 스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조이스틱을 옆으로 당기면 ●,×,▲,■ 의 부위 쪽으로 커서가 옮겨지고, 그 상태에서 조이스틱을 위로 당기면 스위치가 교체된다. * [[가면라이더 포제(가면라이더)/스테이츠#일렉 스테이츠|일렉 스테이츠]] 조이스틱을 당기면 로켓 스위치가 일렉 스위치로 바뀐다. * [[가면라이더 포제(가면라이더)/스테이츠#파이어 스테이츠|파이어 스테이츠]] 조이스틱을 당기면 로켓 스위치가 파이어 스위치로 바뀐다. * 파워업 * [[가면라이더 포제(가면라이더)/스테이츠#베이스 스테이츠|베이스 스테이츠]] → [[가면라이더 포제(가면라이더)/스테이츠#최종 폼 - 코즈믹 스테이츠|코즈믹 스테이츠]] * 서포트 어택([[가면라이더 포제(가면라이더)/스테이츠#중간 폼 - 마그넷 스테이츠|마그넷 스테이츠]]) * [[파워다이저]] 마그넷 스테이츠로 고정된다. * [[가면라이더 포제(가면라이더)/스테이츠#메테오 퓨전 스테이츠|메테오 퓨전 스테이츠]](어썰트)(히든) 포제로 들어가 태그를 픽하고, 이후에 '''start 버튼을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메테오를 고른다. 그러면 잠깐의 딜레이 후 즉시 상대 플레이어 쪽으로 넘어가는데, 배틀을 시작하면 퓨전 스테이츠로 변한 걸 볼 수 있다. 반대로는 안 된다. 이 모드는 '''히든 캐릭터'''라서 슈퍼 히어로 모드(스토리 모드)의 바닷가 맵에서 "우정의 힘"(友情の力) 미션을 클리어한 후에만 사용할 수 있다. 로켓 스테이츠, 로켓 드릴 스테이츠, 메테오 나데시코 퓨전 스테이츠는 등장하지 않는다. * '''※[[가면라이더 메테오]] - [[사쿠타 류세이]] (CV : [[요시자와 료]])''' * 파워업 * [[가면라이더 메테오#메테오|메테오]] → [[가면라이더 메테오#메테오 스톰|메테오 스톰]] [[가면라이더 나데시코]]는 등장하지 않는다. === [[가면라이더 위자드]] === * '''※[[가면라이더 위자드(가면라이더)|가면라이더 위자드]] - [[소우마 하루토]] (CV : [[시라이시 슌야]])''' * 폼 체인지 * [[가면라이더 위자드(가면라이더)/스타일#플레임 스타일|플레임 스타일]] * [[가면라이더 위자드(가면라이더)/스타일#워터 스타일|워터 스타일]] * [[가면라이더 위자드(가면라이더)/스타일#허리케인 스타일|허리케인 스타일]] * [[가면라이더 위자드(가면라이더)/스타일#랜드 스타일|랜드 스타일]] * 파워업 * [[가면라이더 위자드(가면라이더)/스타일#플레임 스타일|플레임 스타일]] → [[가면라이더 위자드(가면라이더)/스타일#플레임 드래곤|플레임 드래곤]] * 어썰트 플레임 스타일만 사용 가능해서 위 둘의 하위호환처럼 보일 수도 있으나, 저들 둘과는 다른 위자드링을 사용할 수 있어서 일장일단이 있는 편. * 태그 * [[가면라이더 위자드(가면라이더)/스타일#허리케인 드래곤|허리케인 드래곤]] 일반적으로 태그는 딱히 특별한 게 없긴 하지만, 허리케인 드래곤은 파워업으로는 사용할 수 없고, 오직 태그로만 사용할 수 있다. 방영 시기상[* 허리케인 드래곤이 데뷔한 12화는 발매 4일 전인 11/25일날 방송했다.] 어쩔 수 없었던 것으로 추정. 방영 시기상 13화 이후는 반영되지 않아서 스페셜 러시[* [[가면라이더X가면라이더 위자드&포제 MOVIE 대전 얼티메이텀]]에서 등장했다. 해당 영화의 개봉 시기는 2012년 12월 8일.], 워터 드래곤, 랜드 드래곤, 올 드래곤, 인피니티 계열은 등장하지 않는다. 게임 출시 시기상 [[가면라이더 비스트]], [[가면라이더 메이지]], [[가면라이더 소서러]]는 등장하지 않는다. 또한, [[후에키 소우|스포일러 방지]]를 위해서였는지 [[가면라이더 와이즈맨|하얀 마법사]]는 등장하지 않는다. [[분류:가면라이더 클라이맥스 시리즈]][[분류:Wii 게임]][[분류:PlayStation Portable 게임]][[분류:2012년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