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일반적인 영상물은 하나의 [[화면비율]]을 가지고 있지만(고정 화면비), 작품에 따라서는 특정 장면에 화면비율을 다르게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처럼 한 영상물 내에서 복수의 화면비를 갖고 있는 경우를 지칭하는 용어가 '가변 화면비'(Variable Aspect Ratio)이다. 과거 장면이나 회상 장면처럼 원래 보여주던 시간대와 다른 장면을 보여줄 경우 관객들이 시간대를 구분 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종횡비를 다르게 하는 경우도 있고, 상상, 꿈, 가상현실 처럼 현실이 아닌 장면을 보여주는 경우도 사용된다. 과거 필름 영화제작/상영 시절엔 화면비를 변환하는데 제약이 많아 제한적으로 사용되었으니 디지털 공정이 일반화된 2010년대 이후 보다 폭넓게 쓰이기 시작했다.[*a 현재 장면은 16:9를 사용하다 과거 장면은 21:9를 사용한다는 점은 애니메이션 [[나만이 없는 거리/애니메이션|나만이 없는 거리]]에서 처음 사용된 기법이다.] 가변 화면비를 효과적으로 사용한 대표적인 작품으로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이 꼽힌다. 2.35:1의 화면비와 1.85:1이 화면비, 그리고 1.37:1의 세 가지 화면비를 오가며 진행된다. 영화는 1980년대, 1960년대, 1930년대를 오가는 구성인데, 1980년대 장면은 [[비스타비전]] 비율인 1.85:1이, 1960년대 장면은 [[시네마스코프]] 비율인 2.39:1이, 가장 많은 분량의 1930년대 장면은 30년대 35mm필름 표준(Academy ratio)이었던 1.37:1 화면비가 사용된다. 이는 각 시대별로 당시 보편적이었던 영화 화면비를 사용해 시대상을 표현한 것이다. 단순히 화면비만 바꾼 게 아니라 세트장 구성과 카메라 이동까지 화면비에 철저하게 맞췄는데, 가령 1.37:1 비율을 쓰는 1930년대 파트는 좁은 폭과 카메라의 수직적인 움직임이 강조되고 2.39:1 비율을 쓰는 1960년대 파트는 광활함과 카메라의 수평적인 움직임이 강조된다. 다크 나이트, 다크 나이트 라이즈, 인터스텔라 등 IMAX 카메라와 일반 영화 카메라를 혼합하여 촬영한 [[IMAX]] 영화의 경우 대부분 일반 촬영 장면에서는 2.35:1 비율로 진행되다가, IMAX카메라 촬영 장면에서는 상영관의 스크린을 꽉 채우는 1.43:1~1.90:1 비율로 전환된다. 2010년대 후반 이후 TV에서도 가변화면비를 적용하는 작품들이 많아졌다. [[tvN]]의 [[시그널(드라마)|시그널]]을 시작으로[* 다만 시그널은 [[레터박스]]가 아닌 [[아나모픽]]으로 길게 늘리는 형식을 취한다.] [[쓸쓸하고 찬란하神 - 도깨비|도깨비]], [[내일 그대와]] 등이 16:9 를 기본 비율로 사용하고 과거 장면에서 21:9 비율의 종횡비를 사용한다.[*a] [[미스터 션샤인]]이나 [[SKY 캐슬]]은16:9로 송출화면에 레터박스를 추가해서 기본 종횡비를 21:9로 잡았으며 특정 장면에서만 종횡비를 다르게 한 경우들이다. 또한 [[스토브리그]], [[빅마우스]]는 16:9로 송출화면에 레터박스를 추가해서 기본 종횡비를 2.2:1로 잡았다. [[애니메이션]]에서는 잘 안 쓰이는 기법이었으나 2020년대부터 많이 쓰이게 되었다. 가장 적극적으로 쓰이는 분야는 뮤직비디오로 그 예시를 일일이 열거하기 힘들 정도다. 여러 이미지랑 감성을 담아낼 수 있다는 게 주 포인트인듯. == 예시 == ##제작연도 순으로 편집해 주시기 바랍니다. 영화 작품의 화면비는 2.35:1 / 1.85:1 등의 영화 비율로, TV화면비는 16:9 / 4:3 / 21:9 등의 TV 비율로 기재해 주시기 바랍니다. === 영화 === * 비우티풀 (2010년) : 주인공이 힘겨운 삶을 살아가는 대부분의 장면이 1.85:1 화면비로 나오나, 주인공이 힘든 삶에서 해방된 이후의 장면들은 2.35:1 화면비로 나온다. * [[더 테러 라이브]] (2013년) : 초반 장면은 2.35:1로 진행되고, 테러가 일어난 이후 장면들은 1.85:1로 진행된다. * [[님포매니악]] (2013년): 전체적으로 2.35:1로 진행되나 Mrs.H 에피소드는 예외적으로 1.85:1이다. *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 (2014년): 시대를 넘나드는 액자식 구성에 따라 화면비가 계속 변한다. 80년대 시점에는 1.85:1, 60년대 시점에서는 2.39:1, 그리고 이야기의 주요 배경이 되는 1930년대에는 1.37:1의 비율을 사용한다. 액자식 구성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효과적인 연출로 호평받았다. * [[마미(영화)|마미]] (2014년): 거의 사용되지 않는 1:1 정사각형 비율을 채택한 작품으로, 답답한 상황의 주인공을 보여주며 영화가 진행되다, 주인공의 해방감을 표현하는 장면에서 좌우가 늘어나며 1.85:1로 화면비율이 변경되는 장면이 삽입되어 있다. 이 장면에서 전율과 쾌감을 느꼈다는 반응이 많다. 다시 답답한 상황으로 넘어가며 정사각형 비율로 화면이 축소되기도 한다. * [[산하고인]] (2015년): 과거편은 1.37:1, 현재편은 1.85:1, 미래편은 2.35:1로 연출되어 있다. * [[자객 섭은낭]] (2015년): 대부분 1.37:1 의 화면비로 진행되고 중간 중간 1.85:1로 변한다. * [[쎄시봉(영화)|쎄시봉]] (2015년): 주로 등장하는 60년대는 1.85:1 화면으로 진행되며, 주인공의 현재를 다루는 2014년과 90년대는 2.35:1 비율로 진행된다.자유로웠던 과거에 비해 삶의 무게가 더해진 현재를 대비시키는 장치로 화면비율이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 [[조선마술사]] (2015년) : 전체적으로 2.35:1 비율로 진행되나, 마술과 액션 등이 나오는 몇몇 장면에서 1.85:1 화면으로 전환된다. * [[쿠르스크(2018)|쿠르스크]](2018년): 초반부에는 1.85:1이었다가 쿠르스크호가 마지막 출항을 나갈 때부터 러닝타임 대부분 2.35:1가 되고, 종반부에 다시 1.85:1으로 나온다. * [[영화 너무 좋아 폼포 씨]] (2021년) * [[애프터 양]] (2021년) * [[킬링 로맨스]] (2023년) *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ume 3]] (2023년): MCU 영화 중 처음으로 시네마스코프에서 비스타비전으로 황장된다. * [[밀수(영화)|밀수]] (2023년) === TV/비디오 === * [[블랙 미러]] 시즌 2 왈도의 전성시대(The Waldo Moments): 후일담인 마지막 장면에서 오랜 시간이 지났다는 것을 표현하기 위해서인지 레터박스가 추가된다. * [[라제폰]] (2002년): 기본 화면 4:3. 다른 차원의 이야기를 다른 화면비로 표현. * [[포터 로빈슨]]과 [[Mat Zo]]의 노래 [[Easy(포터 로빈슨)|Easy]] 뮤직비디오 애니메이션[[https://youtu.be/at3FPJaAwoY|#]] (2013년): 원래는 16:9 종횡비인데 주인공이 원하는 장소에 도착한 이후로는 레터박스를 추가해 21:1로 나온다. * 벼리다리 치치포포(2009년[* 포털 사이트에서는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34750|2008년작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텔레비전에서는 [[http://www.imbc.com/guide/schedule/area/A/20091223.html|2009년 12월에 방송했으므로]] 방송일을 기준으로 표기했다.]): 초반부는 4:3 화면비로, 나머지 분량은 16:9 화면비로 제작했다. * [[무한도전]] - 무한상사 야유회(2011): [[정형돈]] 캠코더 한정으로 4:3 비율 SD로 제작된다.[[https://youtu.be/YcOMjfAstYM|해당영상]] * [[킬라킬]] (2013년) - 기본 16:9, 회상 시에 4:3으로 바뀐다. * [[http://program.kbs.co.kr/1tv/culture/urkorea/pc|당신이 대한민국입니다]] (2014년): 타이틀 영상은 16:9로, 본편은 21:9로 제작해서 방송했다. * [[르까프]] 광고 - [[https://youtu.be/k6JcofAe9PE|바람막이]] / [[https://youtu.be/r-62AutE_gI|젊음의리듬]] (2015년): 과거 80~90년대 복고풍 스타일의 4:3의 필러박스로 광고가 진행되다 후반부 현대 장면으로 넘어오면서 16:9가 된다. *[[f(x)]] [[4 Walls]] 뮤직비디오 - [[https://youtu.be/4j7Umwfx60Q|4 Walls MV]] (2015년): 영상시작부터 1:11쯤 빅토리아가 물을 밟고 미끄러지면서 1:1 비율에 21:9 비율로 변하게 된다. * [[나만이 없는 거리/애니메이션|나만이 없는 거리]] (2016년): 현재 장면은 16:9지만 과거 장면은 [[레터박스]]를 추가한 21:9로 나온다. * [[닌자 슬레이어 프롬 애니메이시욘]] (2016년): 기본 화면비 4:3. 최종화 클라이맥스만 16:9. * [[시그널(드라마)|시그널]] (2016년): 현재 장면은 16:9지만 과거 장면은 21:9 비율에다가 [[아나모픽]]으로 늘려져서 진행된다. 다른 작품들과 달리 [[레터박스]]를 쓰지 않고 [[아나모픽]]을 쓴게 특징. * [[쓸쓸하고 찬란하神 - 도깨비]] (2016년): 일반의 장면은 16:9지만 [[고려]] 시대 장면은 [[레터박스]]를 추가한 21:9로 나온다. * [[과호흡]] (2017년): 현재 장면은 16:9지만 과거 장면은 [[레터박스]]를 추가한 21:9로 나온다. 제작자가 직접 밝히바에 따르면 현재 장면은 1920x1080이고 과거 장면은 1920 800 이라고 한다.[[https://twitter.com/lewin00000/status/846211240401756160|#]] * [[닥터후]] Twice Upon a Time (2017년): 에피소드 [[https://youtu.be/suPARGUQpSg|처음 시작 부분]]과 나중에 [[https://youtu.be/_qDuLK_IRH4|1대 닥터가 재생성하는 장면]]에서 과거 올드시즌 에피소드에서 현재 장면으로 넘어갔다 돌아가는 연출이 사용되었는데 여기서 화면비율 변경이 이루어졌다. * [[교향시편 유레카 세븐: 하이에볼루션]] (2017 ~ 2021): 화면비가 수시로 바뀐다. 화면비가 일종의 [[복선]]이다. * [[내일 그대와]] (2017년): 현재 장면은 16:9지만 과거 장면은 [[레터박스]]를 추가한 21:9로 나온다. * [[NCT DREAM]] 세계관 영상 NCTmentary (2018년): 꿈이냐 현실이냐의 여부에 따라 종횡비가 다르게 나온다. * [[검법남녀]] (2018년): 현재 장면은 16:9지만 과거 장면은 [[레터박스]]를 추가한 21:9로 나온다. * [[두니아 ~ 처음 만난 세계]] (2018년): 리얼 상황에서는 16:9로, 언리얼(연기) 상황에서는 21:9로 진행된다. * [[미스터 션샤인]] (2018년 9월 30일 방송분): 기본적으로는 21:9 비율이라서 레터박스가 추가된 상태로 방송이 되었지만 마지막화의 태극기가 나오는 장면에서는 서서히 16:9 비율로 바뀌면서 풀화면으로 바뀌어 임팩트를 더해준다. * [[손 the guest]] (2018년): 과거 장면과 현재 장면 모두 21:9 비율이나, 과거 장면은 [[아나모픽]]으로 늘려져서 나온다. [[시그널(드라마)|시그널]]과는 달리 [[레터박스]]를 쓰면서 동시에 아나모픽을 사용했다. * [[SKY 캐슬]] (2018년): 기본적으로는 21:9 비율이나, 과거 장면은 4:3 종횡비로 나온다. * [[봄이 오나 봄]] (2019년): 과거 장면은 레터박스를 추가한 21:9 비율로, 현재 장면은 16:9로 나온다. * [[라디오 스타(황금어장)|라디오스타]] (2019년 3월 27일 방송분): [[채연]]이 [[2000년대]]식 댄스를 출 때 [[필러박스]]를 씌웠다. * [[캠핑클럽]] (2019년 7월 21일 방송분): [[영원한 사랑]] 라이브 장면에서 [[필러박스]]를 씌웠다. * [[웰컴2라이프]] (2019년): 현재 장면은 16:9지만 과거 장면은 [[필러박스]]를 씌웠다. * [[저 너머의 아스트라/애니메이션|저 너머의 아스트라]] (2019년): 현재 시점은 2.39:1 비율을 사용하지만, 과거 회상 등에서는 16:9로 바뀐다. * [[호텔 델루나]] (2019년): 현재 시점은 2.2:1 비율로, 과거 시점은 4:3 종횡비로 나온다. 6회 엔딩에서는 2.2:1 [[레터박스]]가 밀려 들어가며 16:9 비율로 바뀐다. * [[IZ*ONE]] [[https://youtu.be/kBnPEKF1pBM|Target]] MV (2019년) * [[모브사이코 100 Ⅱ]] (2019년) * [[주술회전(애니메이션 1기)|주술회전]] (2020~2021년): 과거 회상 및 엔딩 영상을 가변 화면비로 연출 * [[좀비 랜드 사가 리벤지]] (2021년): 3화에서 [[콘노 준코|준코]]가 기타를 연주하는 장면을 4:3으로 표현. * [[86 -에이티식스-/애니메이션|86 -에이티식스-]] (2021년): 10화에서 카메라로 찍은 영상을 4:3으로 표현. 22, 23화에서도 사용. * [[완다비전]] (2021년): 매 에피소드마다 달라지는 시대별 시트콤과 드라마의 스타일을 표현하기 위해 각 시대를 대표하는 화면비를 사용했다. 특히 등장인물이 헥스를 넘나드는 장면에서는 레터박스의 변화가 시각적으로 두드러지게 보여진다. * [[선배가 짜증나는 후배 이야기/애니메이션|선배가 짜증나는 후배 이야기]] (2021년): 오프닝에서 스마트폰으로 촬영하는 장면을 가변 화면비로 표현. * [[코미 양은 커뮤증입니다(애니메이션 1기)|코미 양은 커뮤증입니다]] (2021년) * [[역전세계의 전지소녀]] (2021년) * [[그 비스크 돌은 사랑을 한다(애니메이션 1기)|그 비스크 돌은 사랑을 한다]] (2022년) - 작중작인 <플라워 프린세스 烈>를 묘사할 때 4:3으로 표현된다. * [[웃는 아르스노토리아 킁!]] (2022년) - warning 파트는 [[시네마스코프]] 비율로 연출된다. * [[이세계 미궁에서 하렘을/애니메이션|이세계 미궁에서 하렘을]] (2022년) * [[마법소녀 매지컬 디스트로이어즈]] (2023년) * [[좀100 ~좀비가 되기 전에 하고 싶은 100가지~/애니메이션|좀100 ~좀비가 되기 전에 하고 싶은 100가지~]] (2023년) * [[16bit 센세이션 ANOTHER LAYER]] (2023년) === 기타 === * [[슈퍼 마리오 어드밴스]] (2001년) : 게임시작전 타이틀 로고가 나오는 오프닝 컷씬이 초반에 윈도박스를 추가해서 [[게임보이]]의 해상도(160X144)와 10:9화면비로 나오다가 타이틀 로고가 나오기 직전에 윈도우박스가 서서히 사라지면서 [[게임보이 어드밴스]]의 3:2로 화면비로 변한다. 단, 윈도박스로 가려진 부분은 불이꺼진것 처럼 실루엣이 보이기때문에 완전한 가변화면비 연출은 아니다. *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 (2017년): F5키로 리마스터/클래식 모드 전환이 가능하다. [[필러박스]]는 덤이다. * [[스타크래프트 2]] 무료 플레이 홍보영상[[https://youtu.be/V-tTea38o6s|#1]] [[https://youtu.be/i94ZJHvtKCI|#2]] (2017년): 다른 장면들은 과거 80~90년대 복고풍 스타일의 4:3의 필러박스로 나오는데 게임 플레이 장면은 16:9로 나온다. * [[이시하라 타츠야]] : 애니메이션 본편 연출로는 잘 안 쓰지만 오프닝을 만들 때 많이 쓴다. * [[쿄다 토모키]] : 이 연출이 애니메이션에도 많이 퍼진 2020년대 이전엔 이 연출을 쓰는 몇 안 되는 감독이라 애니메이션 시청자에게 불편하다고 비판받는 경우가 많았다. * [[안도 마사오미]] : 장르에 따라 연출색을 바꾸는 만큼 주로 [[사이언스 픽션|SF]]나 진지한 분위기의 작품을 맡을 때 많이 쓴다. * [[카와고에 카즈키]] * [[이토 토모히코]] * [[히라오 타카유키]] == 관련 링크 == [[https://news.joins.com/article/16787077|중앙일보-다 같은 사각형이 아닙니다]] [[http://mn.kbs.co.kr/news/view.do?ncd=2997934|KBS NEWS -'독특한 스크린' 영화 화면 비율의 미학]] [[https://extmovie.com/movietalk/3986327|익스트림무비-[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 화면비 이해]] [[분류:화상 규격]][[분류:방송 디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