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 * 한국 소설에 대한 내용은 [[가시고기(소설)]] 문서를, 《아기공룡 둘리》에 등장하는 캐릭터에 대한 내용은 [[가시고기(아기공룡 둘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모바일 게임 《쿠키런: 오븐브레이크》에 등장하는 펫에 대한 내용은 [[쿠키런 시리즈/펫/ㄱ#가시고기|이 링크]]를 참고하십시오. ---- ||<-2> '''{{{#fff {{{+1 가시고기}}}[br]Amur stickleback}}}'''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ungitius sinensis sinensis.jp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Pungitius sinensis'' '''[br]Guichenot, 1869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조기어강]](Actinopterygii)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쏨뱅이목(Scorpaeniformes)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큰가시고기과(Gasterosteid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가시고기속(''Pungitius'') ||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가시고기(''P. sinensis'')''' || [목차][clearfix] == 개요 == 쏨뱅이목(Scorpaeniformes)의 민물고기. [[파일:Pungitius sinensis sinensis.jpg]] 학명 :''Pungitius sinensis sinensis'' (Guichenot) 몸이 길고 옆으로 납작하며 등에 뾰족한 가시가 있는 것이 특징으로, 대부분 큰가시고기와 구분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참고로 가시고기과가 아닌 쏨뱅이목 큰가시고기과에 속한다. 큰가시고기가 조금 더 크고 혼인색이 화려하며, 등에 큰 가시가 2개 있다. 반면, 가시고기는 자잘한 가시가 8~9개 가량 있으며, 큰가시고기에 비해 홀쭉하다. [[파일:큰가시고기1.jpg]] 큰가시고기의 모습 == 상세 == 몸길이는 대체로 50mm-60mm로 황강달이와 비슷한 외모를 가지고 있다. 주로 물이 맑은 하천 중류 기수구역이나 2급수 또는 물풀이 많은 곳에서 살며 새우나 작은 수서생물, 식물성 먹이를 먹는다. 국내에선 [[강원도]]와 [[경상북도]]의 일부 및 [[제천시]]의 [[의림지]] 등에 분포하며, [[북한]] [[중국]] [[일본]] 등에도 존재한다. 먹을 건덕지가 거의 없어서 그런지 식용으로서의 가치는 거의 희박하다. 대부분의 다른 어류들과는 다르게 가시고기는 알을 보살핀다. 수컷이 맑은 물이 고인 웅덩이에 수초로 둥지를 만들어 놓으면 암컷이 와서 교미한 후 알을 낳고 죽거나 떠나 버린다. 그리고 수컷은 알을 보호하다가 새끼가 부화하면 죽고, 태어난 새끼들은 죽은 수컷의 살을 뜯어먹는다. 수컷은 자기 몸까지도 새끼의 먹이로 내준다. 이 습성은 알을 낳은 이후로는 거기에 대해 별다른 관심을 쏟지 않는 여타 어류들과 비교해 보면 상당히 특이한 습성이며, 부성애를 강조할 때마다 인용되는 아주 유명한 이야기이다.[* [[베타(어류)|베타]]나 [[버들붕어]]도 수컷이 알을 돌본다. [[시클리드]] 중에는 암수 한 쌍이 공동으로 치어를 양육하는 종도 적지 않다.] [youtube(P-J_Qc3pzbQ, start=27)] 소설 [[가시고기(소설)|가시고기]]로 알을 돌보는 습성이 유명해지자 한동안 관상어로 각광받기도 했다. 하지만 사료 순치가 잘 되지 않고[* 일단 인공먹이에 맛을 들리면 잘 먹는 편이긴 하지만 그렇게까지 길들이기가 쉽지 않다.] 영역 싸움이 심해서 어항에서 기르기에는 상당히 어렵다. 관상어로 기르고자 남획이 이루어지고 서식지의 파괴까지 겹쳐 개체수가 줄어들었으며, 2012년 5월 31일 멸종위기야생동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큰가시고기과에 속하는 물고기 중 잔가시고기는 보호종이 아니다. 잔가시고기는 일본에서는 수로 콘크리트화로 절멸했다고 알려져 있으나, 모식종이 발견된 관서 지역과 다소 떨어진 야마가타, 아키타에서 개체군이 재발견되었다.[* 다만 모식종과 완전히 같지는 않다고 한다.] [[파일:잔가시고기1.jpg]] [[분류:쏨뱅이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