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팔]][[분류:근육]] [include(틀:근육)] ||||
{{{#ffffff ''' ''infraspinatus'' '''}}}[br]{{{#ffffff ''' ''(가시아래근, 극하근)'' '''}}} || |||| [[파일:가시아래근.jpg|width=100%]] || || 이는 곳[br](origin) || 어깨뼈 가시아래오목[br](suprascapular fossa of scapula) || || 닿는 곳[br](insertion) || 위팔뼈 큰결절 윗면[br](superior surface: greater tubercle of humerus) || || 동맥[br](artery) || 어깨위동맥, 어깨휘돌이동맥[br](suprascapular artery, circumflex scapular artery) || || 신경[br](nerve) || 어깨위신경[br](suprascapular nerve) || || 기능[br](action) || 위팔 가쪽돌림, 접시오목에 위팔뼈 고정[br](lateral rotation of humerus, fixation of humerus) || [목차] [clearfix] == 개요 == 가시아래근(infraspinatus muscle)은 [[어깨뼈]]에서 일어나 [[위팔뼈]]에 닿는 가는 세모꼴의 근육으로, [[돌림근띠 근육]](rotator cuff mm.)들 중 하나이다. 개정 이전 용어는 극하근([[棘]][[下]][[筋]])[* [[가시 극]], [[아래 하]], [[힘줄 근]].]. == 구조 == || [[파일:어깨관절가쪽.webp|width=100%]] || [[파일:돌림근띠근육.jpg|width=100%]] || || 어깨관절 가쪽 그림 || 어깨관절 뒤쪽 그림 || 가시아래근은 팔뼈대를 몸통뼈대(axial skeleton)에 붙이는 뒤팔이음근육(posterior thoracoappendicular mm.) 중에서, 근육의 이는곳과 닿는곳이 모두 어깨뼈와 위팔뼈에 존재하는 어깨의 자체기원근육(intrinsic shoulder mm.)에 속한다. 어깨뼈에서 위팔뼈로 이어지는 근육이므로 어깨위팔근육(scapulohumeral mm.)으로 묶이기도 한다. 가시아래근의 이는곳은 어깨뼈의 어깨뼈가시(scapular spine) 밑쪽의 가시아래오목이며, 대략 그 중의 위쪽 2/3에서 3/4 정도를 덮는다. 닿는곳은 위팔뼈 큰결절 중간 정도의 표면이다. 근육을 지배하는 신경은 [[팔신경얼기]](brachial plexus) 위줄기에서 유래한 [[어깨위신경]](suprascapular n.)이다. 혈액을 주로 공급하는 동맥은 [[갑상목동맥]](thyrocervical a.)의 가지인 [[어깨위동맥]](suprascapular a.)과 [[겨드랑동맥]](axillary a.) 셋째부분 가지인 [[어깨밑동맥]](subscapular a.)의 가지인 [[어깨휘돌이동맥]](circumflex scapular a.)이다. == 기능 == 어깨관절에서 [[작은원근]](teres minor m.)과 함께 [[협동근]]으로서 위팔의 가쪽돌림에 작용한다. 주로 위팔을 안쪽으로 돌리는 [[어깨밑근]](subscapularis m.)과는 [[대항근]]이다. 또한, 다른 돌림근띠 근육들과 함께 위팔뼈를 어깨관절(어깨뼈의 접시오목)에서 고정시키고 안정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