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J1리그)] ||<-2> [[파일:가시와 레이솔 로고.svg|height=270]] || ||<-2><#fff100> '''{{{#231815 {{{+1 가시와 레이솔}}}}}}''' || ||<-2><#231815> '''{{{#fff100 {{{+1 Kashiwa Reysol}}}}}}''' || || '''정식 명칭''' ||柏 レイソル || || '''라이센스''' ||J1 || ||<|2> '''창단''' ||[[1940년|{{{#000,#ddd 1940년}}}]][* 전신인 히타치 축구부의 창단연도] || ||[[1992년|{{{#000,#ddd 1992년}}}]] [[4월 1일|{{{#000,#ddd 4월 1일}}}]] '''^^([age(1992-04-01)]주년)^^'''[* [[https://www.reysol.co.jp/club/clubinfo/|#]]][* 가시와 레이솔의 설립일] || || '''구단 형태''' ||기업구단 || || '''소속 리그''' ||[[J1리그|[[파일:J1리그 로고(가로형).svg|width=70]]]] || || '''연고지''' ||[[치바현]] [[카시와시]] || || '''홈구장''' ||[[히타치 가시와 경기장]] (15,960명 수용) || || '''모기업''' ||[[히타치 제작소|히타치]] || || '''구단주''' ||타츠카와 류이치로 (瀧川龍一郎) || || '''감독''' ||[[이하라 마사미]](井原 正巳) || || '''키트 스폰서''' ||[[요넥스]] || || '''공식 웹사이트''' ||[[http://www.reysol.co.jp|[[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px]]]] | [[https://ja-jp.facebook.com/ReysolOfficial|[[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px]]]]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REYSOL_Official, 크기=20)] | [[https://www.instagram.com/kashiwareysol_officia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px]]]] | [[https://www.youtube.com/user/KashiwaReysolChannel|[[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https://line.me/ti/p/%40blf5167q| [[파일:라인 아이콘.svg|width=20]]]] || || '''역대 한국인 선수''' ||[[홍명보]] (1999~2001) [br] [[황선홍]] (2000~2002) [br] [[박건하]] (2000)[* 2000시즌 [[수원 삼성 블루윙즈]]로부터 임대] [br] [[유상철]] (2001~2002) [br][[박동혁]] (2009~2011)[* 2009시즌 [[감바 오사카]]로부터 임대] [br] [[권한진]] (2013~2015) [br] [[김창수(축구선수)|김창수]] (2013~2015) [br][[한국영]] (2014) [br] [[김보경(축구선수)|김보경]] (2017~2019)[* 2019시즌 [[울산 현대]]로 임대] [br] [[윤석영]] (2017~2020)[* 2018시즌 [[FC 서울]]로 임대][* 2019시즌 [[강원 FC]]로 임대][* 2020시즌 [[부산 아이파크]]로 임대] [br][[박정수(1994)|박정수]] (2018~2020)[* 2019시즌 [[사간 도스]]로 임대][* 2020시즌 [[사간 도스]]로 임대] [br] [[김승규]] (2020~2022) || ||<-2><#231815> '''{{{#fff100 우승 기록}}}''' || || '''{{{#231815 JSL}}}'''[br](1회) ||1972 || || [[J1리그|'''{{{#231815 J1리그}}}''']][br](1회) ||2011 || || [[J2리그|'''{{{#231815 J2리그}}}''']][br](2회) ||2010, 2019 || || [[천황배 JFA 전일본 축구 선수권대회|'''{{{#231815 천황배}}}''']][br](3회) ||1972, 1975, 2012 || || [[J리그컵|'''{{{#231815 J리그컵}}}''']][br](2회) ||1999, 2013 || || [[후지 제록스 슈퍼컵|'''{{{#231815 슈퍼컵}}}''']][br](1회) ||2012 || [[파일:external/u.goal.com/156802hp2.jpg]] 2011년 J리그 디비전 1 우승 [목차] [clearfix] == 소개 == [[파일:attachment/가시와 레이솔/b.jpg]] [[http://www.asianfootballfeast.com/wp-content/uploads/2011/04/Kashiwa-Fans.jpg]] 가시와 레이솔 응원 모습 가시와 레이솔은 1940년에 창단한 J리그 축구팀이다. 팀 이름인 '레이솔'은 스페인어로 '왕'을 뜻하는 'Rey'와 해를 뜻하는 'Sol'에서 따왔다. 이는 모기업인 [[히타치 제작소]]를 뜻하는 말이다. 연고지는 [[치바현]] [[카시와시]]와 [[도쿄도]]의 북동 지역이다. == 경기장 == [[파일:external/www.reysol.co.jp/12.jpg|width=550]] [[파일:external/www.reysol.co.jp/03.jpg|width=550]] [[히타치 가시와 경기장]]. (출처: [[http://www.reysol.co.jp/english/stadium/|가시와 홈페이지]]) [[파일:external/www.reysol.co.jp/access_kashiwa.gif|width=550]] 가시와 스타디움을 찾아가는 교통편. (출처: [[http://www.reysol.co.jp/english/stadium/|가시와 홈페이지]]) == 초창기 == 1940년 [[도쿄도]] 고가네이 시에서 히타치제작소 본사 축구부로 창단했다. 천황배와 J리그 전신인 [[JSL]]에서 우승한 1972년이 최전성기였고, 1986년에 [[치바현]] [[카시와시]]에 자체 전용구장을 지어 옮겼다. 1992년에 JFL에 참가하면서 우승과 J리그 진출을 목표로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 출신의 카레카 선수를 데리고 왔지만 1993년에는 간신히 5위에 머물렀고, 1994년 우승으로 다음 해 J리그로 승격되었다. == [[J리그]] == === 시즌별 리그 순위 === || [[가시와 레이솔|[[파일:가시와 레이솔 로고.svg|height=50]]]][br]{{{-1 {{{#000000 '''시즌별 리그 순위'''}}}}}} || ||<^|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000 시즌 }}}''' || '''{{{#000 부 }}}''' || '''{{{#000 리그 }}}''' || '''{{{#000 순위 }}}''' || || 1995 || 1 || J리그 || '''12''' || || 1996 || 1 || J리그 || '''5''' || || 1997 || 1 || J리그 || '''7''' || || 1998 || 1 || J리그 || '''8''' || || 1999 || 1 || J리그 || '''3''' || || 2000 || 1 || J리그 || '''3''' || || 2001 || 1 || J리그 || '''6''' || || 2002 || 1 || J리그 || '''12''' || || 2003 || 1 || J리그 || '''12''' || || 2004 || 1 || J리그 || '''16''' || || 2005 || 1 || J리그 || '''16''' || || 2006 || 2 || J리그 디비전 2 || '''2''' || || 2007 || 1 || J리그 디비전 1 || '''8''' || || 2008 || 1 || J리그 디비전 1 || '''11''' || || 2009 || 1 || J리그 디비전 1 || '''16''' || || 2010 || 2 || J리그 디비전 2 || '''1''' || || 2011 || 1 || J리그 디비전 1 || '''1''' || || 2012 || 1 || J리그 디비전 1 || '''6''' || || 2013 || 1 || J리그 디비전 1 || '''10''' || || 2014 || 1 || J리그 디비전 1 || '''4''' || || 2015 || 1 || J1리그 || '''10''' || || 2016 || 1 || J1리그 || '''8''' || || 2017 || 1 || J1리그 || '''4''' || || 2018 || 1 || J1리그 || '''17''' || || 2019 || 2 || J2리그 || '''1''' || || 2020 || 1 || J1리그 || '''7''' || || 2021 || 1 || J1리그 || '''15''' || }}}}}}}}} || === 1990~2000년대 === [[파일:external/www.geocities.co.jp/20.jpg]] 2001년의 [[홍명보]] [[파일:external/www.geocities.co.jp/8.jpg]] 2001년의 [[유상철]] [[파일:external/www.geocities.co.jp/18.jpg]] 2001년의 [[황선홍]] 1995년 12위 1996년 깜짝 5위를 제외하고 1997 7위, 1998년 8위 기록하면서 중위권을 맴 도는 팀이 되었다. 그러다가 [[니시노 아키라]] 감독이 취임하고 '''[[홍명보]]'''가 영입되면서 팀이 바뀌게 된다. 1999년 팀 창단 처음으로 J리그컵을 우승하고 팀 최고 성적인 종합 3위를 차지했다. 홍명보는 2000년 외국인으로서 팀의 주장을 맡았다. 이 시기에 [[황선홍]]이 임대 영입되었고 후기리그 준우승을 기록 2년 연속 리그 3위를 차지했다. 2001년 [[유상철]]이 영입되면서 외국인 3명 제한을 모두 대한민국 대표팀 주전으로 채운다. 이른바 '코리안 삼총사' 탄생이다. 홍명보가 일본 축구팬에게도 커다란 존경과 애정을 사는 이유도 이 당시 활약상 때문이다. 그러나 기대와 달리 2001년에는 리그 6위에 머물렀으며 니시노 아키라 감독이 성적 부진으로 사임하게 된다. 2002년 12위로 떨어지게 된다. 2002년 시즌이 끝나기 무섭게 코리안 삼총사도 팀을 떠났으며 2003년 시즌도 작년과 똑같이 12위에 머물게 된다. 2004년 시즌은 16개 팀중 꼴찌인 16위를 기록하고도 2004시즌 한정으로 '15위까지 잔류, 16위는 교체전 진출' 룰 덕분에 운좋게 강등을 피했으나, 2005년 시즌은 18개팀중 16위를 기록한 뒤 J리그 교체전에서 [[방포레 고후]]한테 합계스코어 3:8로 패하며 결국 J2로 강등당하고 만다. 2005년에는 --[[최성국(1983)|최성국]]--이 잠시 임대를 와서 뛰기도 했다. 2006년 J2에서 준우승을 기록해 승격이 확정되었다. 2007년 리그 8위를 기록했지만 2008년 11위 2009년 16위를 기록하면서 다시 강등당하게 된다. === 2010년대 === 2010년 J2에서 우승을 차지하게 되면서 다시 1부리그로 승격하게 된다. 2011년 J리그는 감바 오사카-나고야 그램퍼스-가시와 레이솔 3파전 싸움으로 전개 되었다. 가시와 레이솔은 막 승격한 팀 치고는 무서운 행보를 이어나가고 있어 리그 진행되는 내내 [[감바 오사카]]-[[나고야 그램퍼스]]-가시와 레이솔 3팀중 1팀이 앞선다 싶으면 금방 따라잡거나 역전해 피말리고 피말리는 싸움을 하게되어 우승 경쟁은 안개속으로 가게 된다. 결국 최종 우승은 승점 72점을 기록한 가시와 레이솔에게 우승이 돌아갔고 팀 창단 처음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또한 J리그 최초로 승격한 팀이 바로 우승을 차지한 팀이되는 영광을 누렸다. 준우승은 승점 71점 나고야 그램퍼스 3위는 승점 70점을 기록한 감바 오사카에게 돌아갔다. 이때 3위와 4위 승점이 얼마나 차이가 났냐면 4위 베갈타 센다이는 56점을 기록해 3위와 4위에 승점차가 14점(!)이나 차이났다. 2012년 작년과 같은 무서운 기세는 없어지고 초반 리그 하위권을 헤매다가 중반부터 뒷심을 발휘해 6위를 차지했다. 2013시즌은 10위를 차지해 중위권으로 시즌을 마쳤다. 2017시즌은 4위로 마감했지만 [[천황배]] 4강에 진출해서 ACL 진출의 가능성은 남아있었다. 그러나 [[요코하마 F. 마리노스]]에 패배하게 된다. 천황배 우승팀이 챔스진출을 확정했을 경우 리그 4위에게 ACL 진출 기회가 생기므로 3위로 챔스 티켓을 이미 확보한 [[세레소 오사카]]의 승리를 바랄 수밖에 없었다. 결국 세레소의 우승으로 2018 ACL 예선 진출. 예선에서 [[무앙통 유나이티드]]에 3-0으로 완승하며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다. 2018시즌은 최악의 한해를 보내고 있다. ACL에서는 조별리그에서 일찌감치 광탈했고 리그에서 강등의 가능성이 큰 상태다. 감독도 두번이나 해임되는 등 팀 분위기도 뒤숭숭한 상태. 33라운드 세레소 오사카 원정에서 0:3으로 대승을 거두었지만 강등 라이벌이었던 나고야, 토스, 쇼난이 모두 승리하면서 시즌 1경기를 남기고 강등이 확정되었다. 2019시즌 넬싱요 감독을 복귀시키고 선수단도 어느정도 잘 보존하면서 한 시즌만에 승격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줬다. 그러나 리그 초반엔 어려움을 겪었고 승격팀 [[가고시마 유나이티드]]에게도 패하는 등 생각보다 부진한 성적을 보여줬다. 그러나 다시 각성을 시작했고 골폭격을 펼치면서 1위를 기록하고있다. 압도적인 스쿼드로 2위권과의 승점차를 벌렸고 11월 16일 J2리그 우승을 확정지었다. 특히 우승을 확정 지은 후 가진 경기인 [[교토 상가 FC]]전에서 '''13:1로 승리'''를 거두기도 했다.[[https://jleaguebot.tistory.com/3723|#]][* 재미있는 것은 이 해 같은 지바현을 연고로 하는 [[지바 롯데]]의 2019 시즌 최다 득점이 12점이라는 것이다. 축구가 야구를 능가해 버렸다. 시즌 최종전이다 보니 다른 경기도 모두 동시에 치러졌는데, 경기 소식을 들은 중계진이나 관중들도 황당해 하는 반응이 인상적이다.[[https://youtu.be/nVty1D9X5C4|#]] ] === 2020년대 === 2020시즌 첫 경기인 감바 오사카와의 리그컵 경기에서 승리를 거뒀고 이어서 리그 개막전 콘사도레 삿포로와의 홈경기에서 4-2로 승리하며 기분좋게 시작했다. 최종 성적은 15승 7무 12패 승점 52점으로 7위를 기록했다. == [[AFC 챔피언스 리그]] == 전체적으로 팀의 성적 자체는 4강에서 광저우 헝다를 상대로 맞대결을 할 정도(2013 시즌)의 제법 괜찮은 실력을 보여주는 편이다. ~~홈에서도 일방적으로 발리는건 넘어거자~~ 그리고 특이하게도 전북 상대로 역대전적이 5승 1무 2패로 앞서는 편인데다 그 2패도 2018시즌 최근에 얻은 패배다. 이는 전북이 피지컬 중심의 축구를 하는 데 반해 가시와는 일본 특유의 정교한 패스 축구를 하여 전북의 피지컬이 가시와의 패스 축구를 쉽게 압도하지 못해서 생겨나는 일인 것으로 보인다. 단 최근 시즌에는 가시와 상대로 2연승을 하며 어느 정도 설욕에 성공했다. === 2012년 === 2011년 J리그 우승팀 자격으로 [[AFC 챔피언스 리그]]에 참가해 H조에 배정받아 [[전북 현대 모터스]], [[광저우 헝다]], [[부리람 유나이티드]]와 속하게 되었다. 1차전 부리람 원정에서는 쉽게 승리할꺼라는 예상과 달리 3:2일격을 당해 가시와 팬들에게 당혹감을 안겨주었다. 2차전 홈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전북 현대를 5:1로 뭉개버리면서 전북 [[이흥실]] 감독대행에게 '''"흥겹게 실점하는 축구"''', '''"흥겨운 실점"''' 축구를 정착시켜주는데 큰 도움을 준다. 3차전 광저우와 홈경기에서 득점없이 0:0으로 비겼다. 4차전 부리람 유나이티드를 홈으로 불러들여 1:0으로 이겼다. 그러나 5차전 광저우 원정에서 3:1로 패하게 된다. 6차전 마지막 경기는 전북 원정 4팀 다 16강 진출이 불투명할 뿐더러 가시와는 비기면 탈락이라는 부담을 안고 원정을 떠나게 된다. 하지만 경기는 가시와가 전북을 밀어 붙여 싱겁게 2:0으로 끝났다. 최종 성적은 3승 1무 2패를 기록하면서 16강 진출을 확정지었고 최종 순위는 광저우와 부리람 경기 결과를 기다려야 했다.[* 광저우가 질경우 조1위로 16강 진출이 확정되어 F조 2위 FC 도쿄와 붙게 된다.] 태국 원정을 떠난 광저우는 부리람을 상대로 막판 PK골로 부리람을 2:1로 꺾으면서 가시와와 똑같은 3승1무2패를 기록하게 되었고 승자승에 앞서 조1위를 차지했고 조2위는 가시와 레이솔로 확정되었다. 조2위로 16강에 진출한 다음 상대는 F조 1위인 [[울산 현대]]로 확정되었고 울산 원정 경기를 갖게 되었다. 16강 울산과 경기에서 치열한 공방을 펼쳤지만 서로 득점을 내지 못한 상태에서 전반을 마치게 된다. 그러다가 전반 9분 김신욱에게 헤딩골을 얻어 맞게 된다. 하지만 재정비를 하고 계속 울산을 밀어 붙여 울산 수비진이 우왕좌왕하기 시작했고, 상대 롱 드로인 상황에서 어이없게 실점해 1-1 동점을 만들었다. 그러나 다시 이어진 울산 공세에서 [[이호(1984)|이호]]의 패스가 가시와 수비수의 자책골이 되어버려 다시 2-1로 역전당하게 된다. 그리고 [[이근호]]가 [[김신욱]]의 절묘한 힐 패스를 받아 골을 성공시키며 3:1로 패배하나 싶었지만... 인저리 타임에 극적인 골로 3:2로 따라 붙었지만 이후 추가득점을 올리지 못했고 경기는 이대로 종료되고 가시와는 16강에서 탈락하게 된다. === 2013년 === AFC 챔피언스 리그에선 H조에 속해 [[수원 삼성 블루윙즈]],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 [[구이저우 런허]]와 속해 4승 2무로 16강에 진출했으며 16강에서 [[전북 현대 모터스]]를 만나 원정에서 2:0, 홈에서 3:2승리를 거두어서 일본 팀으로서 유일하게 8강에 진출했다. 8강전에서 사우디아라비아 [[알 샤바브]]에게 안방에서 1:1로 비기면서 불리해졌으나 원정에서 2:2로 비기면서 원정 다득점으로 겨우 4강에 진출했다.(알 샤바브는 리그 우승을 거둔 미셸 프뢰돔 감독을 이 탈락을 빌미로 해고) 하지만 [[광저우 헝다]]와의 4강전에선 안방에서 [[다리오 콘카]]에게 2골을 허용한 것을 비롯하여 1:4로 대패하면서 사실상 결승진출은 물건너갔다. 2차전에서도 엘케슨에게 1골, 다리오 콘카에게 1골, 무리퀴에게 2골 총 4골을 얻어맞으면서 0:4로 대패하고 1, 2차전 1:8대패를 당하면서 4강 탈락하게 된다. === 2015년 === 전년도 4위의 성적으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여 태국 촌부리를 이기고 조별예선에 진출하였고, E조에 속해 [[전북 현대 모터스]], [[산둥 루넝]], 빈즈엉과 같은 조가 되었다. 예상을 깨고 E조에서 가장 먼저 16강 진출을 확정지었다. 8강전에서 [[광저우 에버그란데]]와 격돌하게 되었는데 홈경기에서 1-3으로 패하며 원정경기는 어렵게 되었다. == 김진현 인종차별 논란 == 2018년 3월 10일, 세레소 오사카 전에서 [[김진현(축구선수)|김진현]]에게 가시와 서포터즈가 무례한 행동을 하는 바람에, 김진현이 심판한테 가시와 서포터들이 일종의 동양인 비하인 눈찢는 행위를 하는 바람에 불쾌함을 표시했다고 한다. 이때문에 세레소 팬들도 가시와에 대해 반감이 커졌다고 한다. 세레소 팬들은 김진현이 한국 선수라는 이유만으로 가시와가 비하하고 있는게 아니냐면서 J리그의 10년차인 선수한테 너무하다면서 가시와 서포의 행동을 비난했다.[[https://twitter.com/mikihouse4/status/972384605356478465?s=20| 김진현 '''가시와 서포터즈가 너무 불쾌해요....인종차별 아닌가요? 눈찢는 행동합니다''']] J리그팀 팬들은 가시와 레이솔의 인종차별에 응원가를 개사해서 '''가시와는~ 세계에~ 인종차별을~ 보내~ 일본인외에는 사람이 아니아~ 우리들의 가시와~'''라며 조롱하기 시작했다. 팬들은 없다고 발뺌하려 했으나 이미 구단에서 추가 조사중인 상태여서 단체로 침묵에 빠졌다. 세레소 팬들은 단체로 얼굴을 기억한다는 김진현을 위해 문제의 장면을 수없이 돌려보면서 이들의 인종차별 모습을 찾았다고 한다. 이에 비해 J리그팀 팬들은 '''가시와도 우라와랑 비슷해 마찬가지로 팀 팬들이 쓰레기 진현 불쌍하다'''며 비난이 이어졌다. 김진현에 대한 인종차별 사건의 파장으로 인해, 가시와 팬들도 세레소 팬들이랑 싸우고 있다. == 선수단 == [include(틀:가시와 레이솔)] == 주요 선수 == * [[일본]] * [[나카야마 유타]]: 2015-2019 * [[다마다 게이지]]: 1999-2005 * [[리 타다나리]]: 2005-2009 * [[사카이 히로키]]: 2003-2012 * [[에사카 아타루]] : 2018-2021 * [[오카야마 카즈나리]][* [[재일교포]]로, 한국 이름은 '''강일성(康一成)'''이다.]: 2006-2007 * [[이토 준야]]: 2016-2018[* 2019년부터 [[KRC 헹크]]로 임대. 2020년부터 완전 이적.] * [[쿠도 마사토 ]]: 2009-2015 * [[호소가이 하지메]]: 2017- * [[AFC]] * [[권한진]]: 2011-2013 * [[김보경(축구선수)|김보경]]: 2017-2019 * [[김창수(축구선수)|김창수]]: 2013-2015 * [[박건하]]: 2000 * [[박정수(1994)|박정수]]: 2018-2020[* 2019년부터 2020년까지 [[사간 도스]]로 임대. 임대 복귀 후 [[성남 FC]]로 이적.] * [[안영학]]: 2011-2012 * [[유상철]]: 2001-2002 * [[윤석영]]: 2017-2020 * [[최성국(1983)|최성국]]: 2005 * [[한국영]]: 2014 * [[홍명보]]: 1999-2001 * [[황선홍]]: 2000-2002 * [[김승규]]: 2020-2022 * [[UEFA]] * [[사샤 드라쿨리치]]: 2000 * [[세르히오 에스쿠데로(일본)]]: 2001-2002 * [[흐리스토 스토이치코프]]: 1998-1999 * [[CONMEBOL]] * [[네투 바이아누|네또]]: 2012 * [[지에구 올리베이라 지 케이로스|디에고]]: 2016- * [[호제르 호드리게스 다 실바|로저]]: 2010-2011 * [[뽀뽀(축구선수)|뽀뽀]]: 2008-2009 * [[에우피지우 시우바|실바]]: 1997-1998 * [[카레카]]: 1993-1996 * [[마이클 올룽가]]: 2018~2020 == 역대 감독 == || 대수 || 이름 || 재임기간 || == 기타 == 2020년 4월 12일부터 [[JR 동일본]] [[조반 쾌속선]] [[카시와역]]의 발차 멜로디를 이 팀의 응원가로 바뀌었다. J1과 J2 양쪽의 합산 최다득점 경기의 주인공이다. J1은 1998년 8월 8일 세레소 오사카에게 7-5로 승리한 것이며([[https://youtu.be/XW5nnzVNjYo|하이라이트]]), J2는 상기한 2019시즌 최종전인 11월 24일 교토 상가에게 13-1로 승리한 것이다.([[https://youtu.be/a4AeZ4l1FT0|하이라이트]]) 단 J1의 한 팀 최다득점은 1998년 4월 15일 주빌로 이와타가 세레소 오사카에게 9-1로 승리한 것. == 둘러보기 == [include(틀:치바현/스포츠)] [include(틀:히타치 제작소 산하 스포츠단)] [[분류:가시와 레이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