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일본 문부과학대신)] ---- || {{{#fff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역대 일본 내각관방장관)] ----- ||<-5> [[중의원|[[파일:shuugiin_logo.png|width=100px]]]] {{{#000000,#e5e5e5 '''[[일본|{{{#000000,#e5e5e5 일본}}}]] [[중의원|{{{#000000,#e5e5e5 중의원}}}]] ([[야마구치현 제3구|{{{#000000,#e5e5e5 야마구치 3구}}}]])'''}}} || || ''선거제도 개편'' || → || '''제41~48대[br]카와무라 타케오''' || → || '''제49대'''[br][[하야시 요시마사]] || }}} || ---- ||<-2> '''{{{#fff 일본국 제3·4대 문부과학대신}}}[br]{{{#white {{{+1 카와무라 타케오}}}[br]河村建夫 | Kawamura Takeo}}}'''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가와무라다케오.png|width=100%]]}}} || ||<|2> '''{{{#fff 출생}}}''' ||[[1942년]] [[11월 10일]] ([age(1942-11-10)]세) || ||[[야마구치현]] 아부군 산미손 (現 [[하기시]])[* 현재는 [[우베시]]에서 산다고 한다.] || ||<|4> '''{{{#fff 재임기간}}}''' ||제3·4대 문부과학대신 || ||[[2003년]] [[9월 22일]] ~ [[2004년]] [[9월 27일]] || ||제76대 내각관방장관 || ||[[2008년]] [[9월 24일]] ~ [[2009년]] [[9월 16일]] || ||<:>'''{{{#ffffff SNS}}}''' ||[[http://tspark.net/|[[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takeokawamura, 크기=20)] | [[https://www.facebook.com/takeo.kawmaura|[[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facebook.com/tspark.net|[[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T's Park 계정] | [[https://www.instagram.com/hecunjianfu/|[[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fff 학력}}}''' ||야마구치현립 하기고등학교 {{{-2 (졸업)}}}[br][[게이오기주쿠대학]] 상학부 {{{-2 (상학과 / 학사)}}} || || '''{{{#fff 가족}}}''' ||아버지 가와무라 사다카즈[* 전 [[야마구치현]]의회 의원.][br]어머니 가와무라 도시코[* 하기여자단기대학 명예학장.][br]동생 다나카 후미오[* 현재 하기시장이다. 형제간에 성씨가 다른것을 보면, 다른 집안에 양자(혹은 데릴사위)가 된것으로 추정된다.][br]배우자, 아들 가와무라 겐이치[* 아버지의 보좌진 출신으로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기타간토 비례대표로 출마하였지만, 낙선하였다.], 딸 가와무라 나오코[* 미용 관련 사업가라고 한다.], 딸 두 명 || || '''{{{#fff 정당}}}'''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 '''{{{#fff 파벌}}}''' ||[[지수회]] {{{-2 (전 회장대행, 은퇴)}}} || || '''{{{#fff 지역구}}}''' ||[[야마구치현 제3구|야마구치 3구]] || || '''{{{#fff 의원 선수}}}''' ||'''10''' (중) || || '''{{{#fff 의원 대수}}}''' ||'''39, 40, 41, 42,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3]],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4]],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5]],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6]],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7]],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8]]''' || || '''{{{#fff 약력}}}''' ||세이부 석유 근무[br]야마구치현의회 의원[br]舊 야마구치현 제1구 [[중의원]][br][[야마구치현 제3구]] [[중의원]][br]법무 정무차관[br]문부총괄 정무차관[br]문부과학부대신[br][[문부과학성|문부과학대신]][br][[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정무조사회장대리[br][[내각관방장관]][br]중의원 징벌위원장[br]자유민주당 선거대책위원장[br]중의원 예산위원장[br]중의원 의원운영위원장[br]자유민주당 지방창생실행통합본부장 ||}}}}}}}}}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정치인. == 생애 및 정치 활동 == [[야마구치현]] 출신으로, 야마구치현립 하기 고등학교, [[게이오기주쿠대학]] 상학부를 졸업했다. 졸업 후 세이부 석유에서 회사원으로 근무하다가 현의회 의원이던 아버지의 사망으로, 1976년에 아버지의 뒤를 이어 야마구치현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해 당선되면서 정계에 입문한다. 이후 4선을 달성한다. 1990년 제39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당시 자민당 소속으로 구 야마구치현 제1구에 출마해 당선되면서 원내에 진출한다. 소선거구제 전환 이후에는 [[야마구치현 제3구]]가 지역구다. [[고이즈미 준이치로]] 내각에서 문부과학대신을 맡았으며, [[아소 다로]] 내각에서 내각관방장관을 맡았다. 후임은 [[히라노 히로후미]].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본인의 지역구인 [[야마구치현 제3구]]에 [[하야시 요시마사]] 참의원 의원이 전업을 선언했고 가와무라는 처음엔 저항을 시도했지만 이미 지역 조직이 하야시에게 다 넘어가버려, 처음엔 무소속 출마를 불사하려 했으나 결국 같은 지역구에 출마한 의원과 경쟁해 당이 분열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불출마하고 정계은퇴하겠다는 의향을 굳혔다고 한다. [[https://www3.nhk.or.jp/news/html/20211014/k10013306511000.html|#]] 대신 그의 아들인 가와무라 겐이치가 비례 주고쿠 블럭 중의원에 공천받는 조건으로 가와무라 다케오가 물러난 것이었는데, 자민당 야마구치현련 회장을 겸하는 [[기시 노부오]]의 이례적 요청에 따라 강경 보수 성향을 드러낸 여성 의원 [[스기타 미오]]를 비례 주고쿠 블럭 상위에 공천하고, 가와무라 겐이치는 비례 기타간토 블럭으로 쫓겨나게 되었다. [[https://special.jimin.jp/candidate/202188.html|#]] 니카이가 실각하자마자 가와무라 가문은 금세 야마구치 정계에서 배제되게 되었다. 가와무라 겐이치는 본인 지반과 전혀 상관없는 비례 기타간토 블럭에 공천되었고, 윗 순번 후보자들이 석패율로 구제받는 바람에 낙선하였다. 이후 [[제26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전국 비례구에 출마했지만 당연히 경력도 일천하고 인지도도 낮아서 5만표 정도 받고 낙선했다.[* 이 표도 대부분 야마구치의 지지자들에게 받은 것이겠지만, 자민당이 압승해 한껏 낮아진 당선 라인도 11만표 내외로 턱없이 부족했다.] == 성향 == 단순한 우익 인사라고 단정 짓기에는 우파적인 면모와 개혁적인 면모를 동시에 가지고 있어 성향이 매우 복합적이라고 볼 수 있다. ‘다함께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하는 국회의원 모임’과 ‘[[일본회의]] 국회의원 간담회’에 속해 있고 문부과학대신 시절에는 [[새역모]]에서 만든 교과서를 칭찬한 적도 있으며, 인권보호법안에 반대하는 등의 행보를 보면 우파 성향이 있는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다른 우파 정치인들과는 달리, 외국인 참정권 도입에 적극적으로 찬성하는 입장이다. 특히 2007년 [[재일본대한민국민단]]에서 주최한 영주외국인 지방참정권 조기 입법화를 촉구하는 궐기대회에 참석해 [[후쿠다 야스오]] 당시 총리에게 외국인 참정권 도입을 촉구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와 더불어 [[재일 한국인]]의 지방 참정권 문제는 일본 사회의 성숙도를 나타내는 것이라면서 인권이나 반차별에 대한 교육이 약한 것도 원인이라고 언급하는 등 재일 한국인 지방 참정권 부여에 신중한 입장인 일본인들을 비판하기도 했다. 또한 선택적 부부별성 제도 도입에 찬성했으며, 관련 의원 모임의 임원도 맡은 적이 있다. 상술한 재일 한국인 참정권 발언과 더불어 [[지한파]] 행보를 보인 적이 많다. 한일 의원 연맹 간사장과 [[조선 통신사]] 교류 의원 모임 회장을 맡고 있으며, 2014년에는 방한해 당시 한국의 여당인 [[새누리당]]의 [[황우여]] 대표와 만나 [[일본군 위안부]]의 해결책을 마련하겠다고 한 적도 있다. 이러한 성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해보면 [[이시바 시게루]]와 비슷한 성향인 것으로 보인다. 2020년 10월 18일 한국을 방문하여 일한의원연맹 간사장 자격으로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당대표와 비공개 회동을 가졌다. 2021년 3월 28일 조선인 출신으로 일본군에 강제징집되어 태평양 전쟁에 참가했으며 전후 재판을 통해 B•C급 전범이 된 후, 강제징집되었던 조선인 동료들과 함께 일본 정부에 은급, 원호 등의 구제와 명예회복을 요구하는 단체 동진회를 만들고 이끈 이학래 옹이 사망하자, 4월 1일 중의원 제2의원회관에서 열린 추모 집회에 참석하여 “살아계셨을 때 뭐라도 해드리고 싶었다. 이 씨의 죽음이 헛되지 않게 다시 한 번 당내에 (구제 및 명예회복) 절차를 진행시키고 싶다”고 밝혔다.[[https://www.asahi.com/articles/ASP416JJJP41UTIL00D.html|#]] == 소속 정당 == || '''{{{#fff 소속}}}''' || '''{{{#fff 기간}}}''' || '''{{{#fff 비고}}}'''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1976 - || 정계 입문 || == 선거 이력 ==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지역구}}}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1976 || 야마구치현의회 의원 보궐선거 ||<|4> [[야마구치현]]의회[br]하기시 선거구 ||<|14>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 (?%)''' ||<|4> '''당선 (1위)''' || '''초선''' || || 1979 || [[통일지방선거|제9회 통일지방선거]] || '''? (?%)''' || '''재선''' || || 1983 || [[통일지방선거|제10회 통일지방선거]] || '''? (?%)''' || '''3선''' || || 1987 || [[통일지방선거|제11회 통일지방선거]] || '''? (?%)''' || '''4선'''[* 1990.1 사퇴 (중원선 출마)] || || 1990 || 제3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2> [[야마구치현 제1구(중선거구)|야마구치 1구]] || '''77,506 (18.8%)''' || '''당선 (4위)''' || '''초선''' || || 1993 || 제4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65,467 (16.2%)''' || '''당선 (3위)''' || '''재선'''[*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의 마지막 중선거구제.] || || 1996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8> [[야마구치현 제3구|야마구치 3구]] || '''108,995 (69.53%)''' ||<|8> '''당선 (1위)''' || '''3선''' || || 2000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20,527 (68,07%)''' || '''4선''' || || 2003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11,658 (63.25%)''' || '''5선''' || || 2005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18,412 (62.21%)''' || '''6선''' || || 2009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15,757 (60.08%)''' || '''7선''' || || 2012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07,833 (70.85%)''' || '''8선''' || || 2014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93,248 (68.37%)''' || '''9선''' || || 2017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03,173 (71.32%)''' || '''10선''' || == 기타 == * 취미는 골프, 우표 수집, 탁구, 체조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일본 제48대 중의원 의원/자유민주당)]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의 계파 분류)] [각주] [[분류:일본의 남성 정치인]][[분류:일본의 도도부현의회의원]][[분류:일본 내각관방장관]][[분류:일본 문부과학대신]][[분류:제39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40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41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42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43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44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45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46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47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48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자유민주당(일본) 국회의원]][[분류:1942년 출생]][[분류:하기시 출신 인물]][[분류:일본의 정치인 자녀]][[분류:게이오기주쿠대학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