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위서(북조))] [include(틀:북사)] [목차] == 개요 == 賈彝 [[오호십육국시대]] [[북위]]의 관료로 자는 언륜(彦倫). == 생애 == 가이의 집안은 본래 무위군(武威郡) 고장현(姑臧縣) 출신이었다. 6대조인 가부(賈敷)는 [[위(삼국시대)|조위]]에서 유주자사(幽州刺史)를 역임했고 광천도정후(廣川都亭侯)로 봉해졌으며, 이후 자손들이 유주로 옮겨 살았다. 가이의 부친은 [[전진(오호십육국시대)|전진]]에서 거록태수(鉅鹿太守)를 역임했으나 뒤에 누군가의 참소로 인해 투옥되었다. 가이는 10살의 나이에 아버지의 억울함을 풀어주고자 장안으로 가서 아버지의 억울함을 호소하였다. 당시 사람들은 가이의 효행에 감동해서 모두 다음과 같이 말했다. >이 아이는 영민하고 준수하며, [[가의(전한)|가의]]의 후손들 중에서는 으뜸이로다. 가이는 이후 약관의 나이에 [[후연]]에서 표기대장군(驃騎大將軍), 요서왕(遼西王) 모용농의 기실참군(記室參軍)이 되었다. [[북위]]의 탁발규는 가이의 명성에 대해서 듣고 일찍이 [[모용수]]에게 사자를 보내 가이를 자신에게 넘겨줄 것을 요청했다. 모용수는 가이를 점점 후하게 대접하고 총애했으며, 표기부 장사로 삼고 창려태수(昌黎太守)를 겸임하게 했다. 395년, 모용수의 태자 [[모용보]]가 북위를 침공했으나 [[참합피 전투]]에서 대패하였다. 가이는 이때 사촌형인 대군태수(代郡太守) 가윤(賈潤) 등과 함께 북위군에 사로잡혔다. 398년, 위왕 탁발규가 황제의 자리에 오른 뒤 가이는 상서좌승(尙書左丞)으로 임명되어 국정에 참여했고 급사중(給事中)이 더해졌다. [[업성]]에 행대(行臺)를 설치한 뒤 가이는 상서 화발(和跋)과 함께 업성에 진수하여 처음 귀순한 백성들을 위무하였으며, 뒤에 평성으로 귀환하였다. 천사(天賜) 연간 말, 가이는 병을 요양할 것을 청했는데 도중에 사로잡혀서 [[후진(오호십육국시대)|후진]]의 [[요흥]]에게 압송되었다. 가이는 몇 년 동안 후진에 구류되었다가 몰래 달아났으나 다시 [[북하]]의 [[혁련발발]]에게 붙잡혀서 북하에 억류되었다. 혁련발발은 가이와 이야기를 나누면서 가이를 마음에 들어해서 그를 비서감(秘書監)으로 임명하였다. 가이는 61세의 나이로 죽었지만 정확한 연도는 알 수 없다. 북위가 북하를 평정한 뒤 가이의 아들인 가수(賈秀)가 가이의 관을 가지고 돌아와서 대군(代郡) 남쪽에서 다시 장례를 치렀다. [[분류:동진 및 오호십육국시대/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