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함정 카드. [목차] == 설명 ==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 [[파일:FakeTrap-DM3-JP-VG.png|width=100%]] || [[파일:FakeTrap-DDS-NA-VG.png|width=100%]] || ||<-2>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I 삼성전신강림]] || || 한글판 명칭 ||'''가짜 함정'''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ruby(偽物, ruby=にせもの)]のわな'''|| || 영어판 명칭 ||'''Fake Trap'''|| ||<-2> 일반 함정 || ||<-2>공격해봤자 아무 일도 안 생긴다. 상대를 속이기 위한 함정 카드.||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 암계결투기]]에서부터 등장. [[제곧내|설명 그대로]] 아무런 효과도 없이 그저 상대를 [[블러핑]]하기 위해서만 존재하는 함정 카드다. [[유희왕 진 듀얼몬스터즈]]에서는 상대 몬스터의 공격을 무효로 하는 효과로 나오며, 이는 후에 [[메시아의 개미지옥]]으로 계승되었다. [[유희왕 진 듀얼몬스터즈|유희왕 진 듀얼몬스터즈 II 계승된 기억]]에서는 [[해피의 깃털]]에만 반응하여 무효로 하는 지속 함정이 되었다. 참고로 해당 게임에서는 묘지로 떨어진 카드를 승리 후 슬롯을 돌려서 입수할 수가 있는데, 묘지로 간 카드가 적으면 이 카드가 대신 슬롯에 나타난다. 덱 코스트가 적다고는 해도 굳이 이 카드가 들어간 것은 말 그대로 '꽝(スカ)'이라는 것을 표현하기 위해서리라.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 || [[파일:external/livedoor.blogimg.jp/3b74c601.jpg|width=100%]]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FakeTrap-SDJ-NA-C-UE.png|width=100%]] || || 내수판 || 수출판 ||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가짜 함정, 일어판명칭=偽物(にせもの)のわな, 영어판명칭=Fake Trap, 효과1=자신 필드 위의 함정 카드를 파괴하는 마법/함정/효과 몬스터의 효과를 상대가 사용했을 때 발동 가능. 이 카드를 대신 파괴하고\, 다른 함정 카드는 파괴되지 않는다. 세트된 카드가 파괴될 경우에는 그 카드를 전부 뒤집어 확인한다.)] 상대의 제거 효과로부터 자신의 함정 카드를 지키는 효과를 가진 일반 함정 카드이다. 이 카드는 파괴 효과를 가진 카드의 발동에 대해 체인으로 발동한다. 따라서 효과 처리시에 파괴되는 자신의 함정 카드를 넘겨 확인시키고, 그 이외를 파괴한다. 파괴하는 효과에 체인하는 형태로만 발동할 수 있으며, [[유발효과]] 동시 발동 등에 의해 그 후 다른 처리를 실행하는 체인이 쌓였을 경우라면 이 카드는 발동할 수 없다. [[더스트 토네이도]], [[싸이크론]], [[BF(유희왕)|델타 크로우-안티 리버스]] 등을 비롯한 많은 제거 계열 카드로부터 함정을 지킬 수 있으며, [[해피의 깃털]] 등으로 한꺼번에 2장 이상의 함정이 당하더라도 이 카드 한 장만으로 모두 지킬 수 있다. 단 마법 카드를 파괴하는 경우나 [[신의 심판|신심]]이나 [[마궁의 뇌물|마궁]]같은 카운터 함정 카드에는 무력. 또한 세트된 카드를 지킬 경우, 함정 카드를 상대에게 확인시켜야 하기 때문에 본의 아니게 손해를 보게 된다. [[고철의 허수아비]] 등 제거되기 쉬운 일반 함정과 상성이 좋으며, 덕분에 카드의 필드 유지에 한 결 도움을 줄 수가 있다. [[매크로 코스모스]], [[시모치의 부작용]], [[신염황 우리아]]같은 지속 함정 카드를 핵심 전력으로 사용하는 덱이라면 쓸 여지는 있다. 하지만 2장 이상의 카드가 파괴되는 경우라면 더 범용성 높은 [[스타라이트 로드]]나 [[대혁명 반전]]이 존재한다. [[스킬 드레인]] 등의 지속 함정을 지키는 경우라면 [[궁정의 관습]] 쪽이 더 좋으며, 일반 함정을 지키는 경우라도 [[대역의 암흑]]이 존재하기 때문에 효과 한 번 무효로 하고 끝나며 상대에게 정보를 주는 이 카드를 덱에 투입할 여지는 별로 없을 것이다. 초기 카드답게 텍스트가 애매하다. 이런 류의 카드 효과는 보통 '~하는 효과를 무효로 해 파괴한다.'등의 텍스트인 반면에, 이 카드는 '이 카드를 대신 파괴'란 텍스트가 적혀 있다. 무효화 내성을 지닌 카드에 사용하면 괜찮을 듯한데, 카운터 함정이 아닌 것이 아쉽다. 일러스트에 나와있는 몬스터는 이 카드 발매 후 5년 뒤에 [[고블린(유희왕)|스카 고블린]]으로 등장하게 된다. 일러스트에서는 "낚였다!"라고 외치는듯한 스카 고블린의 표정이 일품. 그리고 그 이후로 그는 붓글씨로 FALSE[* 일본판에서는 スカ(꽝)~~한글로 보면 ㅈㄲ~~][* 일본판 일러스트는 완벽한 붓글씨지만 해외판 일러스트는 당시 로컬라이징 수준의 한계로 인쇄체에 가까운 모습을 하고 있다. 붓으로 저렇게 깔끔하게 쓰는 것도 보통 재주는 아닐테지만. [[선물교환|도깨비 제비뽑기]]의 FALSE는 붓글씨스럽게 나왔다.]를 완벽하게 쓰기 위해 매일마다 정진하고 있다. 어찌보면 스스로의 글씨를 보고 잘 썼다고 감복하는 모습 같기도 하다. ~~아하. 그리고 우리가 그걸 또 파괴하는 거군요~~ 또한 외수판에선 뿔이 탄압돼있는데 이후 나온 스카 고블린을 시작으로 관련 일러스트에서는 뿔이 탄압되지 않았다. 애니메이션 시리즈에서는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서 첫 등장. [[타이잔 타이라]]의 과거 회상으로 나왔는데, 이 때는 드로우 운이 지독히 없었던 시절에 마지막 희망으로 뽑았던 카드가 이거였다. 더군다나 상대 필드에는 [[인조인간 -사이코 쇼커-]](...) 일본판 가짜 함정에 꽝이라 쓰여져있는 것 때문에 '너님 꽝뽑음'이란 의미로 넣은 듯. [[유희왕 5D's]] [[유희왕 5D's/WRGP 편|WRGP 편]] 에서는 [[팀 태양]]의 세컨드 휠러인 타니가와 진베이가 팀 5D's의 퍼스트 휠러인 [[잭 아틀라스]]와의 듀얼에서 사용. 잭이 [[스피드 월드|스피드 월드 2]]의 효과를 발동하여 [[스크럼 포스]]를 파괴하려 들자 발동하여 지켜냈다. 하지만 이로써 잭 아틀라스는 팀 태양이 [[잠자는 거인 즈신|뭔가]]를 노리고 있다는 점을 직감으로 확신하게 된다. 재미있게도 이후 스크럼 포스가 OCG화되면서 해당 카드가 파괴될 때 자신 필드의 다른 마법/함정 카드 한 장을 대신 파괴하는 효과가 추가되었다. [[유희왕 VRAINS]] 30화에서 깨알같이 재등장했다. [[벳쇼 에마|고스트 걸]]과 [[아이(유희왕)|아이]]가 간 두가지 분기점을 결정하는 게임에서 등장했는데, 고스트 걸의 덱에서 더 멋진 카드를 뽑은 쪽이 먼저 코스를 선택한다는 규칙으로, 아이가 뽑은 게 다름아닌 이 카드였다. 낙담한 아이에게 고스트 걸은 하나도 안 멋지다며 디스를 날려주고는, '''본인은 카드도 안 뽑고''' 멋대로 코스를 선택한 뒤 떠나버린다. [[후지키 유사쿠|Playmaker]]가 저 덱에는 꽝 밖에 안 들어있을 거라며 추측한데다 게임 전 셔플 장면에서 함정 카드 색만 나온 것을 보면 게임 자체가 낚시였던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이 때 확인할 수 있는 텍스트는 당시 OCG에는 없던 10기 사양으로 나온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볼륨(유희왕)|Vol.5]] || || [[노멀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br]절판 || || 暗黒魔竜復活-REVIVAL OF BLACK DEMONS DRAGON- || RB-56 || [[레어(유희왕)|레어]] || 일본 || 절판 || || [[부스터(유희왕)|BOOSTER R3]] || B3-43 || [[레어(유희왕)|레어]] || 일본 || 절판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城之内編- || JY-48 || [[노멀]] || 일본 || 절판 || || DUELIST LEGACY Volume.2 || DL2-131 || [[노멀]] || 일본 || 절판 || || [[비기너즈 팩|BEGINNER'S EDITION.1]] || BE1-JP164 || [[노멀]] || 일본 || || || [[토너먼트 팩|トーナメントパック2007 Vol.2]] || TP02-JP012 || [[노멀]] || 일본 || 비매품 || || [[비기너즈 팩|BEGINNER'S EDITION.1 (7기)]] || BE01-JP138 || [[노멀]] || 일본 || || || [[강철의 습격자|Metal Raiders]] || MRD-EN056 || [[레어(유희왕)|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스타터 덱|Starter Deck: Joey]] || SDJ-049 || [[노멀]] || 미국 || || || [[비기너즈 팩|Dark Beginning 1]] || DB1-EN164 || [[노멀]] || 미국 || || || [[강철의 습격자]] || MRD-K056 || [[레어(유희왕)|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스타터 덱|스타터 덱 -조이 편-]] || SDJ-KR049 || [[노멀]] || 한국 || || || [[비기너즈 팩|비기너즈 팩 1]] || BP1-KR164 || [[노멀]] || 한국 || || || [[토너먼트 팩|토너먼트 팩 2008 Vol.2]] || TP02-KR012 || [[노멀]] || 한국 || 비매품 || == 관련 카드 == === [[고블린(유희왕)#스카 고블린|스카 고블린]] === 일러스트에 나와있는 몬스터. === [[왕가의 저주]] === === [[궁정의 관습]] === [[분류:유희왕/OCG/일반 함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