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드림캐쳐(아이돌)]][[분류:한국 여가수]][[분류:1999년 출생]][[분류:2017년 데뷔]][[분류:분당구 출신 인물]][[분류:한림연예예술고등학교 출신]][[분류:아이돌 래퍼]] [include(틀:드림캐쳐)] ||<-2> '''{{{+1 가현}}}[br]GAHYEO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rom us 가현.png|width=100%]]}}} || || '''본명''' ||이가현 (李佳泫[*훈음 아름다울 __가__ 물 깊을 __현__], Lee Gahyun) || ||<|2> '''출생''' ||[[1999년]] [[2월 3일]] ([age(1999-02-03)]세)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동]]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본관''' ||이씨 || || '''신체''' ||160cm[* 프로필 상 팀 내 최단신. [[수아(드림캐쳐)|수아]](162cm)가 그 다음이다.]|[[AB형]][* 팀 내 유일한 AB형이다.]|240mm || || '''가족''' ||부모님 || || '''학력''' ||[[한림연예예술고등학교]] {{{-2 (실용음악과 / 졸업) }}} || ##|| '''종교''' ||종교 || || '''소속사''' ||[[드림캐쳐 컴퍼니]] || || '''소속 그룹''' ||[[드림캐쳐(아이돌)|드림캐쳐]] || || '''포지션''' ||서브보컬, 리드래퍼[* PIRI 활동부터 랩 파트를 받기 시작했다.]|| || '''데뷔''' ||[[2017년]] [[1월 13일]] [[드림캐쳐(아이돌)|드림캐쳐]] {{{-4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101820" {{{#000,#fff 싱글 1집}}}}}}}}}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01820; font-size: 0.865em" [[악몽 (惡夢)|{{{#f2c763 '''악몽 (惡夢)'''}}}]]}}}[br]{{{-2 (데뷔일로부터 '''[dday(2017-01-13)]일''', '''[age(2017-01-13)]주년''')}}}|| || '''상징 동물''' ||여우(🦊) || || '''별명''' ||분당 가시밭, 김치보꿈밥, 이가탄, 가련이, 찡찡이, 아기여우, 살구[* 막방아이돌 이후에 붙은 별명.], '''회장님'''[* '거미의 저주'의 --약빤-- 뮤비를 찍기 위한 회의에서 붙은 별명. 2019년 이후로 드림캐쳐 갤러리 내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별명이다.], 브이앱 공무원, 가똥이[* [[우주소녀]] [[다영]]과 친해서 서로 전화번호를 교환했는데 다영의 핸드폰에 가현이 '가똥이'라고 저장되어 있었다고 한다. 참고로 가현은 다영을 '임황금똥'이라고 저장했다고(...) --똥쟁이들--], 청순가련[* 고등학교 때 친구들 사이에서의 별명. 휴대폰 자판에서 '가현'의 오타 '가련'으로부터 시작되었다고 한다.], 실세, 공쥬 || || '''MBTI''' ||[[ISTP]]|| || '''링크''' ||[[https://www.instagram.com/fox._.zzlo_/|[[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 '''서명'''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1px; padding: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fff" [[파일:가현_서명.jpg|width=60]]}}} || ||<-2> '''{{{#b49f74 직접 쓰는 프로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직접쓰는프로필_드림캐쳐_가현.jpg|width=10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e9a3; font-size: 1.0em" {{{#000 '''221019 [[파일:주간아이돌 2019 로고.png|width=35px]] 셀프로필'''}}}}}}}}} ||}}}}}}}}} || [목차] [clearfix] == 개요 == >[[드림캐쳐(아이돌)|드림캐쳐]]의 사랑둥이 막내 가현입니다! [[드림캐쳐]]의 멤버. 팀의 막내이며, 리드래퍼, 서브보컬을 맡고 있다. == 상세 == === 외모 === 때묻지 않은 눈망울을 갖고 있다. 동시에 언제 애교나 장난끼가 터질지도 모르는 말괄량이 --안녕하세요 말괄량이 밍스입니다-- 같은 모습도 띄고 있어 前 막내 [[다미(드림캐쳐)|다미]]와는 달리 막내 티가 팍팍 난다. 언니들도 그런 가현을 매우 반기는 분위기. [[사막여우]] 상이다. 쌍꺼풀이 있는 동그란 눈과 올라간 입꼬리가 매력적이다. 마르고 길쭉한 체형의 언니들에 비해 막내라서 그런지, 젖살 때문에 둥글동글한 체형을 가지고 있었지만, 피나는 자기관리를 거듭한 결과, [[2019년]] 들어선 전보다 부쩍 슬림하고 글래머러스한 몸매를 갖게 되었다. 다만 오동통한 다람쥐가 연상되는 특유의 아기자기한 귀여움은 지울 수가 없다. === 성격 === 기본적으로 밝은 성격이며, 애교도 많다. 팬싸인회나 버스킹에서는 매 순간순간이 애교덩어리 그 자체다.[* [[밍스]] 시절 막내였던 다미는 성격상 애교를 잘 못함에도 포지션 상 애교를 보여줘야 할 상황에 놓여 난처했던 경험이 여럿 있었던 걸 생각하면 팬들 입장에선 정말 다행이라고 평가받는다.] 이런 성격 덕분에 팀 내에서도 언니들의 예쁨을 받고 있다. 브이앱에서도 언니들 못지 않게 말을 많이 하는 편이고, 활발하다. 또한 언니들이 돌발발언이나 행동 등으로 어수선해질 때 앞장서서 분위기를 수습하는 모습도 보여준다. 그래서인지 [[막내온탑|팀 내 실세(?)]]이기도 하다. 언니들한테 이쁨을 받음과 동시에 그걸 이용해서 반대로 언니들을 휘어잡는데 능하다. 다만 [[수아(드림캐쳐)|수아]]에게 은근히 약한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수아의 하드카운터로 떠오르는 기미가 보인다. 더 정확히는 서로가 서로를 카운터 치는 관계. 막내의 눈치를 보는 언니들의 모습을 볼 수 있다. == 포지션 == === 보컬 === 서브보컬이지만 실력과 음색에서 잠재력을 갖춘 멤버이며 언제든 포텐셜을 터트릴 수 있는 멤버다. 데뷔곡 Chase me에선 프리코러스를 담당해 곡의 분위기를 이끌었지만 'GOOD NIGHT'에선 단 한 파트밖에 받지 못했다. 2절에서 같은 파트를 부른 [[수아(드림캐쳐)|수아]]와 비교하면 특유의 음색이 곡과 어울리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날아올라'에서는 더 심해져서, 노래도 아닌 ([[다미(드림캐쳐)|다미]]가 더블링해주는) 짧은 랩 파트 하나만 선보이고 끝이다. 데뷔곡 파트와 비교하면 반도 안 되는 분량이다.[* 여담으로 본인 파트의 안무도 Chase Me를 제외하면 GOOD NIGHT에선 앞에서 언니 둘이 가리고 날아올라에선 대열 사이에서 좌우로 왔다갔다해서 오히려 화면에 제일 안 잡히는 멤버다. 심지어 파트 마지막엔 [[한동]]과 일직선상 위치가 같아 바로 뒤에 파트가 있는 한동의 원샷이 더 잘 잡힌다. 그래서인지 스페셜 클립으로 공개된 수록곡 Sleep-Walking의 안무에선 전주 부분에 가현을 주목하게끔 하는 안무를 짰다. 'You And I'에서도 본인 파트에 수아가 가현의 다리 사이로 끌려들어가는 동작이 있다보니 본인 파트에 다리만 나오는 경우도 더러 있다(...)] 그나마 Full Moon에선 나름 파트를 가진 편. You And I와 What에선 1절에서만 등장하는 등 'BOCA' 활동 전까진 활동 지분이 가장 적었다. 다만 발성이 여린 편이라 보컬 비중이 높은 타 멤버들에 비해 중량감이 약했다는 점은 아쉬움으로 꼽혔다. 그러나 갈수록 발성 자체가 탄탄해지기 시작하더니 첫 단독 콘서트 중 [[유현(드림캐쳐)|유현]]과의 유닛 무대에서 [[태연]]의 [[I(태연)|I]]를 불렀는데, 후렴구도 부르는 모습을 보여주며 실력이 더 발전했음을 증명하였다. 심지어 미니 2집 발매 후 나간 팩트인스타 때 했던 파트 바꾸기에선 [[수아(드림캐쳐)|수아]]의 파트인 2절 후렴구까지 잘 소화하는 등 실력적으론 걱정할 것이 없어진 상황. [[2022년]] [[보령머드축제]] 폐막식 축하공연에서는 바람을 뚫고 나오는 엄청난 성량을 보여주었다. Deja Vu에서는 아쉽게도 분량이 감소하였다. 또한 [[다미(드림캐쳐)|다미]]와 함께 랩이 아닌 보컬을 받았다. 뮤비에서도 자신의 첫 파트 말고는 잘 등장하지 않다가, '''처음으로 엔딩 센터를 맡았다!''' 게다가 오프닝 안무도 거의 센터인 듯 센터 아닌 센터 같은 위치에 서 있다. 오프닝과 엔딩 센터가 대부분 [[지유(드림캐쳐)|지유]]나 [[유현(드림캐쳐)|유현]]이었던 것을 생각하면 굉장히 발전했다. 보컬적인 면에서 포텐셜을 갖고 있음을 증명하는 곡들은 발라드 수록곡. 데뷔 싱글의 수록곡 'Emotion (소원 하나)'에서 들을 수 있듯이, 안정감 있게 나긋나긋 되뇌이는 청아한 목소리가 노래 도입부나 곡이 전환될 만한 곳에 적합한 보컬이며, 중음에서의 특유의 음색 덕에 발라드 수록곡에서 [[한동|데뷔 동기]]와 함께 빛을 발하는 멤버다. 이 보컬 실력은 나날히 성장해 'BOCA' 활동때부터 파트가 확 늘기 시작하더니, 'odd eye'에서는 브릿지도 맡고, 'because'에서는 1, 2, 3절의 모든 후렴을 맡고, 엔딩과 도입부 모두 센터를 맡는 등 이젠 드림캐쳐의 핵심 멤버가 되었다. 그 외에 다른 수록곡들에서도 엄청나게 성장한 보컬 실력을 보여주었다. 이젠 실력적으로 언니들에게 전혀 뒤쳐지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https://youtu.be/2l26b0PzoWk|가현의 노래 모아듣기]] ==== Special Clip ==== '''가현의 Special Clip 모음'''[* 개인 혹은 2인 이상의 유닛으로 참여한 곡만 기재합니다. [[드림캐쳐(아이돌)|드림캐쳐]] 전원이 참여한 Special Clip은 [[드림캐쳐(아이돌)/Special Clip|해당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https://youtu.be/FVCfrHgAXY8|[Special Clip] Dreamcatcher(드림캐쳐) 시연, 한동, 가현 '모든 날, 모든 순간']] [youtube(FVCfrHgAXY8)] [[https://youtu.be/LUJThR_nZic|[Special Clip] Dreamcatcher(드림캐쳐) 가현 '이 지금']] [youtube(LUJThR_nZic)] [[https://youtu.be/xCORBPliQ0A|[Special Clip] Dreamcatcher(드림캐쳐) 가현 '월급은 통장을 스칠 뿐']] [youtube(xCORBPliQ0A)] [[https://youtu.be/iYvErpLnQ-8|[Special Clip] Dreamcatcher(드림캐쳐) 가현 'Playground']] [youtube(iYvErpLnQ-8)] [[https://youtu.be/8oFv2iYR0o0|[Special Clip] Dreamcatcher(드림캐쳐) 가현 '화이트 (White)']] [youtube(8oFv2iYR0o0)] [[https://youtu.be/vnXyutRUeDQ|[Special Clip] Dreamcatcher(드림캐쳐) 가현 제주도의 푸른밤]] [youtube(vnXyutRUeDQ)] === 랩 === 미니 4집 타이틀 곡 PIRI에서 처음으로 솔로 랩을 시도했다.[* 그렇다고 보컬 파트가 아예 없어진 것은 아니고 1절 벌스와 브릿지에 보컬 파트가 있다.] 곡의 랩 파트 자체가 트렌디한 플로우임과 동시에 상당히 어려운 박자[* 소위 '[[연결고리]] 플로우'라 불리는 2음절로 끊어치는 방식.]임에도 불구하고 잘 소화해냈다. 아울러 이 곡에서는 [[시연(드림캐쳐)|시연]]과 [[유현(드림캐쳐)|유현]] 사이에 맞물려 브릿지까지 소화하는 등 비중이 상당히 늘었다. 정규 1집에서 드디어 포텐이 터진 모습을 보여주었다! 우선 타이틀 곡 Scream에서는 PIRI와 마찬가지로 서브래퍼 포지션으로서 랩파트를 가져갔으며, PIRI에서 보여준 것의 이상의 랩과 퍼포먼스 실력을 선보였다. 기존 리드래퍼인 [[수아(드림캐쳐)|수아]]가 랩보단 보컬에 집중하고 있었던 상황이라 사실상 리드래퍼로 분류해도 될 정도.[* Odd Eye때까진 수아가 오히려 서브래퍼 포지션으로 분류되는 편이었으나, 이후 BEcause에서 다시 랩 파트를 맡고, 정규 2집에서 트랩 [[힙합]] 장르의 솔로곡 No Dot을 선보여서 이제는 양대 리드래퍼로 인정받고 있다.] 수록곡에서는 데뷔 초와 비교했을 때 상당히 증가한 분량을 보여준다. Tension에서는 가현 특유의 청량한 발성을 많이 들을 수 있으며, In the Frozen에서는 후반부에 짧지만 진성 고음(D#5)까지 소화해내며 향상된 실력을 아낌없이 드러낸다. 미니 5집에서는 정규 1집 때부터 굳히기 시작한 리드래퍼의 포지션을 더욱 확고하게 가져가기 시작했다. 메인래퍼인 [[다미(드림캐쳐)|다미]]와의 조합이 매우 좋게 어우러졌다고 판단된 듯. 비교해서 들어보면 같은 사람이 불렀다고 믿기 어려울 정도로 보컬용 음색과 랩용 음색을 판단을 잘하여 노래에 잘 맞게 부른다. 3번째 팬송 REASON에서 실로 오랜만에 랩 파트를 맡았는데, 랩을 할 때 나오는 특유의 매력적인 톤이 여전히 살아있음을 보여주며 래퍼로써 가현이 건재함을 드러내었다. 미니 8집 [[Apocalypse: From us]]의 수록곡 DEMIAN에서 가현의 랩을 다시 들을 수 있게 되었다! [[배성재의 텐]]에서 자신의 파트를 부른 후 얼굴이 빨개지는 모습이, 날카로운 톤과는 상반된 매력을 보여준다. [* [[https://youtube.com/watch?v=vw_0RVlutHY&feature=share8|#]] 30분 4초 경.] == 활동 == [[2020년]] [[3월 19일]], [[네이버 나우]] [[어벤걸스]] 절친즈 위크에 [[우주소녀]] [[다영]]의 절친으로 [[앨리스(아이돌)|앨리스]] [[유경(앨리스)|유경]]과 함께 게스트로 출연했다.[[https://twitter.com/kr_now/status/1240622792552243200|#]] [[2023년]] [[1월 30일]], 뮤빗라이브 토끼 아이돌 스페셜에 게스트로 출연했다.[[https://twitter.com/hf_dreamcatcher/status/1620012406008315905?s=20|#1]] [[https://twitter.com/MubeatTV/status/1620082941706776578?s=20|#2]] [[2023년]] [[7월 19일]], 낚시 유튜브 [[힛뜨TV]]의 컨텐츠에 출연해 [[https://youtu.be/LLjP3e2H_cs|쏨뱅이 낚시와 해산물 요리 및 먹방을 진행했다.]] [[2023년]] [[8월 18일]]에 [[두산 베어스]]의 홈 경기에서 시구를 할 예정이었으나, [[우천취소]]로 미뤄졌다. 그리고 마침내 [[10월 2일]]에 다시 초대를 받아, 시타를 맡은 [[한동]]과 함께 [[https://youtu.be/JaXMN1bI3-g?si=_w439F9PVJeX6igO|시구를 진행]]하였다. 그 경기에서 [[두산 베어스]]가 7:2 승리를 가져가며 또 다시 승리요정이 되었으며, 경기 종료 후 [[https://www.instagram.com/p/Cx5Wx4gJr_J/?utm_source=ig_web_copy_link&igshid=MzRlODBiNWFlZA==|허슬플레이상 시상]]에도 참여했다. === 개인 컨텐츠 === [[https://youtu.be/7ubvobYxgBk|[Dreamcatcher GAHYEON] 안녕하세요 이가현입니다 | 제주도🍊 먹투어🍽 1편 (Feat. 컨텐츠 이름을 찾았습니다🙇]] [youtube(7ubvobYxgBk)] [[https://youtu.be/OiKRMmlIK4k|[Dreamcatcher GAHYEON] 안녕하세요 이가현입니다 | 제주도🍊 먹투어🍽️ 2편]] [youtube(OiKRMmlIK4k)] [[https://youtu.be/Gqs7I-b2fOI|[Dreamcatcher GAHYEON] 안녕하세요 이가현입니다 | 제주도🍊 낚시🎣 편]] [youtube(Gqs7I-b2fOI)] [[https://youtu.be/-W2yOM3ARsg|[Dreamcatcher GAHYEON] 안녕하세요 이가현입니다 | 퍼스널 컬러 편]] [youtube(-W2yOM3ARsg)] == 여담 == ||'''데뷔 전'''|| * [[2015년]] [[9월]]에 공개된 王矜霖(Jinlin Wang)의 放學了(Goodbye School) [[https://youtu.be/gsFEQvwxgZ0?t=1m11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뮤직비디오]]에 출연했다.[* 이 뮤직비디오에는 아직 [[프로듀스 101]]에 참가하기 전 시절의 [[김소혜]]도 나온다. 그래서 이 뮤직비디오의 댓글엔 가현과 김소혜를 보러 온 외국인 팬들의 댓글이 많이 올라와 있다. --정작 노래의 주인공에 대한 댓글은 거의 없다(...)--] * FNC 아카데미 출신이며, 당시의 풋풋한 모습을 볼 수 있는 영상이 남아있다. [[https://youtu.be/ubCKD833mKM|#1]] [[https://youtu.be/QEqr4pmbMMY|#2]] * [[KBS 1TV]] [[도전 골든벨]] 서울 [[한림연예예술고등학교]] 편에 참가했다. * [[2017년]] [[2월 10일]], [[한림연예예술고등학교]]를 성적우수자로 졸업했다. 전교 1등을 한 적이 있다고 한다. [* 2016년 3학년 재학 당시 독서와 문법, 생명과학, 일본어, 수학2, 사회문화 부분에서 교과우수상을 탔던 스토리를 올렸다.] [youtube(yYA1LFpuUM8)] * 前 [[밍스]] 멤버였던 5명[* [[지유(드림캐쳐)|지유]], [[수아(드림캐쳐)|수아]], [[시연(드림캐쳐)|시연]], [[유현(드림캐쳐)|유현]], [[다미(드림캐쳐)|다미]].]과는 달리, 첫 연습생 생활을 현 소속사인 [[해피페이스엔터테인먼트]]에서 시작했고, 그다지 길지 않은 연습생 생활 후 드림캐쳐로 데뷔하게 됐다. 팀에 합류하기 전 평가를 받을 때 [[한동]]과 함께 [[오마이걸]]의 '[[CLOSER(오마이걸)|CLOSER]]' 무대를 했다고 했는데, 회사에서 정반대 컨셉으로 데뷔시킬 예정이라고 해서 걱정을 많이 했다고 한다. ||'''친분'''|| * [[아린]]([[오마이걸]]): 데뷔 이후 가장 먼저 친해진 [[1999년]]생 동갑내기 친구. 언니들도 잘 알 정도다. [[https://youtu.be/ZnRDBPCNn1w?t=624|[[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드림캐쳐마인드 10화]]에서 완벽한 찐친 모먼트를 보여줬는데, 제시어 듣기 게임으로 '치맥하자'는 말을 들어야 하는데, 가현이 '맥주'를 유도해도 '''"막걸리?"'''라고 대답한다던지, "그거(치맥하자)를 네가 나(가현)한테 얘기해봐!"라고 유도하자, '''"뭐하냐?"'''고 한다던지... --아 빨리 얘기해봐 ㅠㅠ-- 아린이 [[뮤직뱅크]] MC로 활동하던 도중 Odd Eye 활동이 겹쳤는데, 인터뷰할 때 Odd Eye 안무를 짧게 따라추는 등 만나는 모습이 보일 때마다 친근한 모습이 자주 확인되는 편. * [[다영]]([[우주소녀]]): [[우주소녀 쪼꼬미]]가 [[슈퍼 그럼요]]로 활동할 당시 [[https://www.tiktok.com/@official_wjsn/video/7057073847681453313|[[파일:틱톡 아이콘.svg|width=20]]슈퍼 그럼요 챌린지]]를 찍었다. 바로 위에 언급된 아린과 함께 셋이서 [[https://www.instagram.com/tv/Bo6HlPuAJbZ/|[[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인스타그램 영상]]을 찍은 적도 있다.[* 각각 [[Remember Me(오마이걸)|불꽃놀이]], [[Alone In The City|What]], [[WJ PLEASE?|부탁해]] 활동 때인 듯.] * [[최유정]]([[위키미키]]): 가현이 먼저 [[https://gall.dcinside.com/dccompany/21755|다가왔으며]] 결이 맞아 친해졌다고 하고, 가현의 개인 [[인스타그램]]이 공개되자 '''"예뻐이이잉", "드디어 (개인 인스타그램을) 만들었네"'''라고 댓글을 남기고 팔로우했다. * [[예은(1998)|장예은]]: Scream 활동 당시 대기실에 [[https://youtu.be/pTjU2PX0W3g?t=30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컴백 축하 케이크를]]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hf_dreamcatcher/status/1230451013326270464, 크기=20)]들고 찾아간 적이 있다. 장예은뿐만 아니라 그룹끼리 친한 사이. * 스스로 생각하는 자신의 매력 포인트는 웃을 때 올라가는 양쪽 입꼬리. 멤버들은 가현의 초롱초롱한 눈을 매력으로 생각한다고. * 목소리가 톤이 높다고 한다. 특히 웃을 때나 소리를 지를 때 두성을 써서, 언니들이 옆에서 귀가 아프다고도 하며, 나중엔 '노래에서 고음을 그렇게 내봐.'라고 한 적도 있다고 한다. 성량이 매우 커서, 사이렌같다는 평도 있다. * 가장 좋아하는 음식은 치킨. 딸기우유와 초콜릿도 좋아한다고 한다. 채소류는 대체로 안 좋아하고, 오이는 아예 안 먹는 수준. [[맥도날드]] 상하이버거를 좋아한다. 칠리소스를 추가해서 버거에 뿌려 먹어보라고 매번 추천한다. 그리고 [[민트초코]]를 좋아하는 모습도 보여줬다. 보면 알겠지만, 거의 어린아이 수준의 입맛으로 보인다. * '입덕 멤버'로 손꼽힌다. [[밍스]]의 팬이 아니었던 경우엔, 아무래도 보이지 않는 입덕 진입장벽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인 멤버인 영향이 커 보인다. 외모도 갈수록 물이 오르고 있다. * [[유튜브]] 영상 보는 것을 좋아한다고 한다. [[https://youtu.be/DdtXreQZX0E|이 덕분인지 유앤아이 뮤비 리액션 영상에 참여하신 기자님을 당황시키기도.]] 그 외에도 평소에도 인터넷 검색을 많이 하며, 행사 등의 스케줄도 회사보다 먼저 알려준다고(...) 한다. * 데뷔 3년 전 즈음에 [[볼링]]부에서 활동했다고 하며, 우월한 볼링 실력을 보여줬다. * [[한동]]과 같은 방을 쓴다. 서로가 잘 맞는지, 최근 인터뷰에서는 룸메이트를 하고 싶은 멤버로 현재 룸메이트인 서로를 지목하기도 했다. * 멤버들의 말로는 볼이 말랑말랑하다고 한다. [[https://twitter.com/5rikim/status/862193946188894208|브이앱에서 언급하였다.]] 본인도 아는 듯하다. [[브이라이브]] 도중 [[유현(드림캐쳐)|유현]]이 직접 깨물기도 하였다. [[https://youtu.be/j2sD67ByF1Y?t=113|[[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2018년]] [[5월]], 미니 앨범 2집으로 컴백하면서 머리를 조금 긴 중단발로 자른 후, 리즈 갱신이란 평이 많았다. 이 스타일을 유지하다가 [[2019년]] 하반기 이후로는 머리카락을 기른 상태로 활동하고 있다. 그리고 [[2022년]] 1월, 처음으로 완전 단발로 자르면서 다시 리즈를 갱신했다. * 가현의 어머니께서는 가끔 [[드림캐쳐(아이돌)|드림캐쳐]] [[V앱]]에 댓글을 다신다. 어머니 댓글만큼은 일시정지 한 것처럼 잘 보인다고 한다. 참고로 '네가 알아서 해.'라든가, '웃을 때 좀 예쁘게 웃으면 안 되니?' 등의 내용을 보아, 꽤 시니컬한 성격이신 듯. * [[드림캐쳐(아이돌)|팀]]에서 팬들과의 소통을 가장 많이 하는 멤버이다. 공식 앱에 가장 사진을 많이 올리고, 휴식기에도 [[V앱]]을 켠다든가, 채팅을 열기도 한다. 이 때문에 농담삼아 '브이앱 공무원'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 Deja Vu 뮤비에서 처음으로 앞머리를 내리고 씬을 찍었는데, 예뻐서 환호하는 팬들이 많다. 여기에 [[2020년]] 여름엔 머리를 분홍색으로 염색한 것이 확인되었다. --또 다시 리즈 갱신-- * [[드림캐쳐(아이돌)|드림캐쳐]] 공식 [[유튜브]]에서 공개된 [[BETWEEN DREAMCATCHER AND ME|인터뷰]] 영상인 [[https://youtu.be/YGY87Ru4D6Y|멤버들에게 하고 싶은 말]]에서 울음을 터뜨렸다. 이후 [[2020년|20]][[9월 2일|0902]] [[브이앱]]에서 왜 울었는지 [[https://twitter.com/GH_V203/status/1301155672927604738?s=19|까닭]]을 밝혔다. * [[2021년]] [[9월 19일]],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고, 자가격리에 들어갔다. 2021년 [[9월 30일]], 음성 판정을 받고 퇴원했다. * [[2021년]] [[10월 15일]], [[https://www.youtube.com/watch?v=E2W4qcbh7_0|전주얼티밋뮤직페스티벌 2021]]에서 데뷔 후 첫 공개행사의 MC[* [[손동표]]와 공동 진행.]를 맡게 되었다. 중간중간 썸냐들의 호응과 박수를 유도하는 장면은 덤. ~~여러분 나 MC하는 거 봤엉?~~ * [[2022년]] 정규 2집 [[Apocalypse: Save us]] 컴백을 앞두고 흑단발로 헤어 스타일을 변경하며 멤버들과 인썸니아들에게 감탄을 자아냈다. * [[2022년]] [[4월 20일]], [[쇼챔피언]]에서 정규 2집 [[Apocalypse: Save us]]의 타이틀 곡 [[MAISON]]이 드림캐쳐가 데뷔한 지 1924일만에 첫 1위를 안겨주었는데, 이 날 진행된 [[https://www.vlive.tv/post/1-28860252|첫 1위 기념 V LIVE]]에 따르면, 쇼챔피언 스태프 분들이 대기실 꾸미기 투표 1위 관련 컨텐츠를 찍는다고 해놓고, 정작 무대로 가라고 하길래 투정을 부리듯 물어보고 따라갔다고 했다. 이는 이후 공개된 [[https://www.youtube.com/watch?v=93FSJDOV-PM|드림캐쳐 노트 4편]]의 7분 44초 경에 잠깐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찍...v^_^v~~ * [[2022년]] [[4월 26일]] 진행된 [[더 쇼]]에서 [[MAISON]]이 2관왕에 오르자 첫 1위 때 대성통곡을 하던 모습과 달리, 가현은 신이 난 모습으로 멤버들과 썸냐들에게 사랑한다는 말[* [[https://www.youtube.com/watch?v=wZyG-tEoSg0&t=124s|이때 하고 싶었는데 못했던 말인 듯하다.]] 라이브 걱정하는 것은 덤.]을 소감으로 전했다. * 공주 캐릭터를 좋아한다. 드림캐쳐는 2018년 부터 매년 할로윈 코스프레를 하고있는데 가현은 계속해서 공주 캐릭터를 코스프레 했다.[* [[백설공주]] - [[자스민(디즈니 캐릭터)|자스민]] - [[메라(DC 확장 유니버스)|메라]] - [[신데렐라]] - [[엘사]]] 다음에 하고 싶은 캐릭터로는 [[슈렉 시리즈]]의 [[피오나 공주]]를 골랐는데 인간의 모습과 오우거로 변한 모습 두가지를 같이 하고 싶다고 한다. [[https://youtu.be/V8aTQKkrSJM?t=69|[[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수아를 여왕이라고 부르는 것처럼 자기도 '공듀'라고 불러주길 바란다고 한다.[[https://entertain.naver.com/read?oid=408&aid=0000170519|#]] * 프롬에서 팬들을 부르는 애칭은 찡구(찡이 친구) * 야구 찐팬이다. 좋아하는 팀은 [[두산 베어스]]. 데뷔 초엔 야구 좋아한다는 말은 했으나 공공연하게 어느 구단의 팬인지는 밝히지 않았었다. 하지만 2023년 6월 27일 잠실에서 열린 [[두산 베어스]]와 [[NC 다이노스]] 경기에서 [[https://m.naver.com/shorts/?mediaId=9F17FD5A4CE327C511C8FC00F15DF45674A3&serviceType=SPORTS&recType=SPORTS&h=V1.4118adc5568b761f|두산 유니폼을 입고 응원하는 모습이 중계 화면에 찍혔다.]] 이날 두산이 3-2로 역전승하며 승리요정이 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YwddvxDKlCk|공식 채널에 올라온 직관기 영상]][* [[베어스티비]](구단 공식 유튜브 채널)도 이 영상을 본 듯 하다. 이후 구단에서 시구 요청이 들어왔고, 8월 18일 (공교롭게도) NC전에 시구를 할 예정이었으나, [[https://youtube.com/shorts/kIvp_binWmI?si=3Oio12f0uO70DYxU|그 날 경기가 비로 취소되어 시구를 하지는 못했다.]]] * [[최강야구]] 51회(2023년 8월 14일 방송) 이자 2023년 7월 9일 [[고척 스카이돔]]에서 열린 경기도 독립리그 올스타와의 직관 경기 녹화화면에 계속 포착(투수 투구화면 좌측 상단)되어 경기를 직관한게 확인되었다. * 낚시 유튜브 [[힛뜨TV]]에 출연할 당시, 동행한 스태프들과 다르게 배멀미에 강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 퍼스널 컬러는 겨울 쿨톤. == 역대 프로필 사진 == ||<-4>
[[파일:드림캐쳐(아이돌) 로고.sv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악몽가현_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악몽가현_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AITM가현_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AITM가현_2.jpg|width=100%]]}}} || ||<-2> {{{-2 '''[[악몽 (惡夢)|{{{#f2c763 악몽 (惡夢)}}}]]'''}}} ||<-2> {{{-2 '''[[악몽·Fall asleep in the mirror|{{{#f2c763 악몽·Fall Asleep In The Mirror}}}]]'''}}}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requel가현before_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requel가현after_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TE가현outside.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TE가현inside.jpg|width=100%]]}}} || ||<-2> {{{-1 '''[[Prequel|{{{#f1eff5 Prequel}}}]]''' }}} ||<-2> {{{-1 '''[[악몽·Escape the ERA|{{{#f2c763 악몽·Escape the ERA}}}]]'''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ITC가현light.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ITC가현shade.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EON가현stability.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EON가현instability.jpg|width=100%]]}}} || ||<-2> {{{-2 '''[[Alone In The City|{{{#fce8f1 Alone In the city}}}]]''' }}} ||<-2> {{{-2 '''[[The End of Nightmare|{{{#f2c763 The End of nightmare}}}]]'''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OD가현A.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OD가현B.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TOL가현E.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TOL가현V.jpg|width=100%]]}}} || ||<-2> {{{-2 '''[[Raid of Dream|{{{#f2c763 Raid of Dream}}}]]''' }}} ||<-2> {{{-1 '''[[Dystopia: The Tree of Language|{{{#e7e2c5 Dystopia: The Tree of Language}}}]]'''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TOL가현I.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TOL가현L.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n_가현.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M가현_1.jpg|width=100%]]}}} || ||<-2> {{{-1 '''[[Dystopia: The Tree of Language|{{{#e7e2c5 Dystopia: The Tree of Language}}}]]''' }}} || {{{-1 '''[[Endless Night(드림캐쳐)|{{{#ff0000 Endl}}}''''''{{{#00bfff ess N}}}''''''{{{#52d017 ight}}}]]''' }}} || {{{-1 '''[[Dystopia: Lose Myself|{{{#dce8f8 Dystopia: Lose Myself}}}]]'''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M가현_2.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M가현_3.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M가현_4.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M가현.jpg|width=100%]]}}}|| ||<-3> {{{-1 '''[[Dystopia: Lose Myself|{{{#dce8f8 Dystopia: Lose Myself}}}]]''' }}} || {{{-1 '''[[NO MORE(드림캐쳐)|{{{#b40d15 NO}}}''' '''{{{#2eb3d6 MORE}}}]]'''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OddEye가현_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OddEye가현_2.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OddEye가현_3.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H가현_1.jpg|width=100%]]}}}|| ||<-3> {{{-1 '''[[Dystopia: Road to Utopia|{{{#373737 Dystopia: Road to Utopia}}}]]''' }}} || {{{-1 '''[[Summer Holiday(드림캐쳐)|{{{#fafeff Summer Holiday}}}]]'''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H가현_2.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H가현_3.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S가현_1.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S가현_2.jpg|width=100%]]}}}|| ||<-2> {{{-1 '''[[Summer Holiday(드림캐쳐)|{{{#fafeff Summer Holiday}}}]]''' }}} ||<-2> {{{-1 '''[[Apocalypse: Save us|{{{#b49f74 Apocalypse: Save us}}}]]'''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S가현_3.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U가현_1.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U가현_2.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U가현_3.jpg|width=100%]]}}}|| || {{{-1 '''[[Apocalypse: Save us|{{{#b49f74 Apocalypse: Save us}}}]]''' }}} ||<-3> {{{-1 '''[[Apocalypse: Follow us|{{{#ea0b2a Apocalypse: Follow us}}}]]'''}}}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rom Us 가현 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rom Us 가현 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rom Us 가현 3.jpg|width=100%]]}}} || || ||<-3> {{{-1 '''[[Apocalypse: From us|{{{#aeee01 Apocalypse: From us}}}]]'''}}} || === Behind Photo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ITC비하인드가현.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약우비하인드가현_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약우비하인드가현_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약우비하인드가현_3.jpg|width=100%]]}}} || || {{{-2 '''[[Alone In The City|{{{#fce8f1 Alone In The City }}}]]''' }}} ||<-3> {{{-2 '''{{{#fce8f1 약속해 우리[br](July 7th) }}}''' }}}[*A '[[Alone In The City]]'의 수록곡.]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onderland비하인드가현_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onderland비하인드가현_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onderland비하인드가현_3.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EON비하인드가현_1.jpg|width=100%]]}}} || ||<-3> {{{-2 '''{{{#fce8f1 Wonderland }}}''' }}}[*A [[Alone In The City]]'의 수록곡.]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EON비하인드가현_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EON비하인드가현_3.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EON비하인드가현_4.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EON비하인드가현_5.jpg|width=100%]]}}} || ||<-4> {{{-2 '''[[The End of Nightmare|{{{#f2c763 The End of Nightmare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EON비하인드쥬싱갛.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OD비하인드가현_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OD비하인드가현_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OD비하인드가현_3.jpg|width=100%]]}}} || || {{{-2 '''[[The End of Nightmare|{{{#f2c763 The End of Nightmare Unit ver. }}}[* 다른 멤버는 유닛 사진 없음.]]]''' }}} ||<-3> '''[[Raid of Dream|{{{#f2c763 Raid of Dream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TOL비하인드가현_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TOL비하인드가현_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TOL비하인드가현_3.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TOL비하인드가현_4.jpg|width=100%]]}}} || ||<-4> {{{-1 '''[[Dystopia: The Tree of Language|{{{#e7e2c5 Dystopia: The Tree of Language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OCA가현-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OCA가현-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OCA가현-3.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OCA가현-4.jpg|width=100%]]}}} || ||<-4> {{{-1 '''[[Dystopia: Lose Myself|{{{#dce8f8 Dystopia: Lose Myself}}}]]'''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tU비하인드가현-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tU비하인드가현-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tU비하인드가현-3.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tU비하인드가현-4.jpg|width=100%]]}}} || ||<-4> {{{-1 '''[[Dystopia: Road to Utopia|{{{#000000 Dystopia: Road to Utopia}}}]]'''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H비하인드가현-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H비하인드가현-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SU비하인드가현-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SU비하인드가현-2.jpg|width=100%]]}}} || ||<-2> {{{-1 '''[[Summer Holiday(드림캐쳐)|{{{#fafeff Summer Holiday}}}]]''' }}} ||<-2>||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SU비하인드가현-3.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SU비하인드가현-4.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FU비하인드가현-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FU비하인드가현-2.jpg|width=100%]]}}} || ||<-2> {{{-1 '''[[Apocalypse: Save us|{{{#0e0c11 Apocalypse: Save us}}}]]''' }}} ||<-2>||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FU비하인드가현-3.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FU비하인드가현-4.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FU비하인드가현-5.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FrU비하인드가현-1.jpg|width=100%]]}}} || ||<-3> {{{-1 '''[[Apocalypse: Follow us|{{{#ea0b2a Apocalypse: Follow us}}}]]''' }}} || {{{-1 '''[[Apocalypse: From us|{{{#000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FrU비하인드가현-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FrU비하인드가현-3.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FrU비하인드가현-4.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FrU비하인드가현-5.jpg|width=100%]]}}} || ||<-4> {{{-1 '''[[Apocalypse: From us|{{{#aeee01 Apocalypse: From us }}}]]'''}}} ||